대선필패 예측, 성급하지 않나제537호 ‘부시와 나’ 11인 릴레이 기고 각양각색 반응… 사학비리 추적 계속 주문·대마초에 대한 입장 궁금 ▣ 김수현 기자 groove@hani.co.kr 지난 한달간의 표지이야기에 대한 평가와 함께 9기 독자편집위원회의 두 번째 ...
535호를 보고제536호 경기활성 위한 장기책 세워야 표지이야기 ‘한국 경제 부활 프로젝트’를 읽으니 총체적인 위기에 내몰린 우리 경제를 정밀하고 냉철하게 진단하고, 이에 대한 각계각층의 중지를 모아 살려야겠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경기침체가 장기화되고 서민층과 중소기업의 고통...
534호를 보고제535호 한나라당 정체성을 보여달라 534호 한나라당 원희룡 의원 인터뷰는 시의적절했다. 변화하겠다는 한나라당의 모습은 이제 더 이상 보이지 않는다. 명백하게 좌파 논쟁은 색깔론의 재판이며, 4대 개혁입법에 국가 정체성 운운하는 것은 한나라당의 정체성이 어떤 것인지 보여줄 뿐이다....
[반론보도문] 534호 ‘춤의 거미집에 클릭하세요’ 관련제535호 <한겨레21> 534호(11월9일 발간) 57쪽 ‘춤의 거미집에 클릭하세요’ 가운데 “춤 관련 전문지도 동호회지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부분에 대해 관련 매체에서 반론을 보내왔습니다. 기사에서는 춤 관련 전문지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이 적은 탓에 매체들의 ...
[반론보도문] 531호 등급제 쇼크? 차가운 캠퍼스 관련제534호 <한겨레21> 531호(2004년 10월28일 발행) 11쪽 이주의 공간 ‘등급제 쇼크? 차가운 캠퍼스’ 기사와 관련해 이화여대 학보사에서 다음과 같이 반론을 보내왔습니다. 이화여대 학보사는 위 기사 내용 중 “이화여대 학보사의 한 학생기자는 ‘고교등급제는 ...
533호를 보고제534호 또 다른 ‘캄푸’를 막기 위해 캄푸의 이야기는 <한겨레21> 첫 기사부터 의 연속 보도와 533호 기사까지 관심을 가지고 봤다. 우리가 처한 현실이 추하더라도 언론이 끝까지 그것을 밝히고 고치려고 노력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
“다양성의 토양에 힘 보태련다”제533호 [9기 위원의 자기 소개] 김혁 : 지난 6개월간 꾸준히 기사를 모니터링했지만 그것이 과연 <한겨레21> 편집에 영향을 주는지 의심스러울 때도 있었다. 하지만 이게 한두번으로 가능한 일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토론 내용이 반복되면서 내 생각도 정리가 돼간...
“이웃 향한 눈길 계속되요”제533호 [휴먼다큐멘터리 사진공모 시상식] ▣ 곽윤섭 기자 kwak1027@hani.co.kr <한겨레21> 창간 10돌을 기념해 마련한 2004년 휴먼다큐멘터리 사진공모전의 시상식이 지난 10월28일 한겨레신문사에서 ...
532호를 보고제533호 정부가 점자책에 관심을 내가 <한겨레21>을 좋아하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지 못하지만 꼭 관심을 가져야 할 이슈를 적절히 얘기해주기 때문이다. 시각장애아의 박물관 관람기 기사도 기대에 부응해줬다. 국내에 지금까지 시각장애인용 안내...
성매매 논란, 대담으로 끝?제533호 ‘<한겨레21>의 주장’ 강조한 9기 첫 모임… 말라카해협 특집기사, 정치·광고 분석 기사 흥미로워 ▣ 김수현 기자 groove@hani.co.kr 새로운 위원을 맞이한 <한겨레21> 독자편집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