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물 주사법제529호 [몸살리기] ▣ 전세일/ 포천중문의대 대체의학대학원 원장 재건요법은 천연물을 주사하는 치료법이다. 결합조직의 생장을 자극해 약해졌거나 손상된 심줄(腱) 또는 인대를 강화해준다. 척추나 관절을 탄탄하게 연결하고 견고한 자세를 유지해주는 것이 인대나 건이다. 이런 ...
[출판] 마음의 숨구멍을 찾아서제529호 안도현 새 시집 <너에게 가려고 강을 만들었다> ▣ 고영직 / 문학평론가 역시, 은유는 힘이 세다. 안도현의 시집에 등장하는 뭇 사물들은 의인(擬人)화의 의장을 걸치고 간절한 그리움을 표현하고자 한다. 염소, 뱀, 눈보라, 사과나무, 툇마루 등속...
[미술] ‘드로잉’을 사랑합니다제529호 젊은 작가들의 아지트 갤러리 피쉬… 미술사 변두리 습작 넘어 섬세함 살린 드로잉 기획전들 돋보여 ▣ 유경희/ 미술평론가 20세기 초·중반 서구 예술가들의 토론과 회합의 장소로서 갤러리와 카페를 기억하는 사람들은 도대체 오늘날의 예술가들은 어디서 모여 무엇을 하고...
[새책] <시민단체의 갈등중재 역할> 외제529호 시민단체의 갈등중재 역할 김영수 지음, 한국학술정보(주)(031-908-3181) 펴냄, 1만8천원 사회 현안을 둘러싼 갈등의 합리적 해결을 위해 갈등 전문가를 양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행정학을 전공한 저자는 국회·정부가 갈등 조정 메커니즘...
[영화] ‘부산 영화’ 또 나왔데이제529호 싸나이다움을 질박하게 보여주는 형제 멜로 <우리 형> ▣ 이성욱/ <씨네21> 기자 lewook@cine21.com 어린 동생은 언청이로 태어난 형의 비애를 받아들일 틈이 없었다. 그의 눈에...
‘철’ 모르면 철부지제529호 [정남구 기자의 주말농장] ▣ 글 · 사진 정남구 기자/ 한겨레 경제부 jeje@hani.co.kr 24절기를 순서대로 말해보라 하면, 제대로 대답할 사람이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나도 자주 헷갈리다 올해 들어서야 비로소 틀리지 않고...
가난한 삶들의 마약제529호 [겸이 만난 세상] ▣ 겸/ 탈학교생 queer_kid@hanmail.net 애초 난 담배에는 관심이 없었다. 세상에 대한 지독한 경멸과 약간의 겉멋에 빠져들어 아나키즘 사이트를 들락날락하던 2년 전, 지리멸렬한 삶에 새로움을...
꽃나무를 사들이다제529호 [김경의 스타일 앤 더 시티] 전우익 선생의 깨우침을 얻은 뒤 나섰던 종로5가 종묘상 나들이 ▣ 김경/ 패션지 <바자> 피처 디렉터 세상에는 들어야 할 말이 그다지 많지 않다 하였으니 가능하면 듣고 싶은 것만 듣고 보고...
창 밖을 보면 화가 납니까?제528호 조망권은 어디까지 법적인 보호대상이 될 수 있나… 재산가치 하락 등 구체적 기준 있어야 보상 판결 ▣ 조계완 기자 kyewan@hani.co.kr “앞집에 갑자기 아파트가 들어서 햇빛이 안 들어오고 산도 안 보입니다.” “3m 앞에 5층 건물이 ...
제비야 반갑다제528호 [정남구 기자의 주말농장] ▣ 글 · 사진 정남구 기자 jeje@hani.co.kr 여물어가는 단수수 씨앗이 새들을 유혹하는 모양이다. 농장주는 “덕분에 새들이 날아온다”고 즐거워했다. 이삭 가운데 몇개는 벌써 새들이 반이나 쪼아먹어 일찌감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