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도 난민 축구팀이 있어? 동두천에 있어!제1494호 2023년 4월16일 오전, 경기도 동두천종합운동장 앞엔 이른 아침부터 운동하기 위해 찾은 이들로 바글바글했다. 축구장 크기 약 4분의 1 규모 풋살장에 아프리카 이주민 30명 남짓이 모였다. ‘프리덤 에프시’(Freedom Football Club) 팀원들이...
‘볼빨간’ 언니들 “김연경보다 잘한 거예요”제1494호 “무릎! 무으르읖! 팔 펴고! 팔꿈치를 붙여! 팔꿈치를 펴줘!”매주 금요일 정오를 넘긴 시간이면 서울 마포구 서강대 체육관에서는 세 가지 소리가 쉴 새 없이 번갈아 들렸다. 김윤혜(56) 포항시체육회 배구단 감독이 던진 공을 수강생들이 받아서 치는 소리, 김 감독이 수강생들의 자세를 지도하며 목이 터져...
모두의, 모두에 의한, 모두를 위한 운동제1494호 2023년 12월 마지막 주가 왔다. 매년 이맘때면 치르는 의식은 새해맞이 계획 세우기. 우리 국민이 가장 많이 세우는 단골 새해 계획 1위는 운동, 그만큼 지키지 못하는 새해 계획도 운동이란다.<한겨레21>도 새해를 맞아 운동에 주목했다. 국민 생활체육 참여율이 60...
안 보여도 “자존감 회복 차차차, 분명 느껴질 자이브”제1494호 눈을 감고 춤을 춰본 사람은 안다. 영화 <여인의 향기> 속 한 장면처럼 앞이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파트너와 춤추는 게 실은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를. 안대를 낀 채 뛰어오르거나 몸을 흔들면, 이내 균형감각을 잃고 비틀거린다. 팔다리가 제멋대로 움직여도 거울을 보고 확인할 길이 없다...
‘농식품부 장관 특혜쌀’이라는 ‘쌀에 속은 밀’제1492호 2023년 11월7일, 전남 구례 우리밀가공공장에서 밀알을 하나 씹어봤다. 쌀알과 밀알을 몇 알이라도 씹어본 적이 있다면 알 것이다. 밀은 밀, 쌀은 쌀이다. 밀알은 십수 번만 씹어도 ‘껌’ 같은 끈끈한 물질이 남는다. 바로 글루텐이다. 밀가루 반죽이 끈끈해지는 것도, 빵이 부풀어 오르는 이유도 바로 ...
“밀 자급률 5%? 이거 다 사기인 거 아시죠?”제1492호 벼 수확을 마친 2023년 11월 전남 구례군 광의면은 갈색·초록색·노란색 세 가지 색이다. 드문드문 젖은 흙색은 갈아엎은 밀과 보리를 심은 농토다. 보름 뒤가 되면 파릇파릇 초록으로 덮일 것이다. 한쪽으로 벌써 보이는 초록은 10월에 벼가 서 있을 때 파종(입모종살포)한 조사료(라이그래스 등 ...
일본 밀은 다 계획이 있구나…자급률 한국의 17배제1492호 1984년 밀의 정부 수매를 폐지한 뒤 자취를 감춘 밀 정책이 이명박 정부 때인 2008년 되살아났다. 이때 밀 자급률 목표를 2017년까지 10%로 설정했다. 현실은 너무 달랐다. 2022년 한국의 국산밀 자급률은 1%밖에 되지 않는다. 미국·캐나다·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서 봇물처럼 ...
미국과 대기업 이해관계 맞아 사라진 우리밀…되살릴 방안은제1492호 “밀가루를 노릇하게 볶아 꿀·참기름·청주를 넣어 반죽한다. 반죽을 밀어 약과 크기로 썰어 기름을 두르고 지져 조청을 묻힌다.”(1670년대 요리책 <음식디미방> 중 연약과법) 밀은 아주 오래전부터 쌀에 이은 제2의 우리 주식이다. <규합총서> <정조...
“우리 농촌에는 매년 세 번 흉년이 옵니다”제1492호 “아주 가파른 비탈길을 늙은이들이 가쁜 숨을 씩씩 쉬면서 올라가고 있어요. 그게 지금 농촌이에요. 이 사람들이 사라지면 농촌·농업은 완전히 붕괴되는 거예요.”2023년 11월7일 전남 구례군 광의면 구만리 우리밀가공공장에서 최성호 대표를 만났다. 30여 번 체포되며 1970~1980년대 수세 ...
우리밀로 무엇이든 만들 수 있다제1492호 씨알이 굵은 대부도 바지락으로 낸 국물에 삶아먹는 우리밀 칼국수는 매끄럽고도 쫄깃했다. 2023년 12월4일 낮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 ‘대부면가 우리밀 칼국수’ 음식점에서였다. 대부면가는 1992년 대부도에서 ‘우리밀 칼국수’를 가장 먼저 내놓은 음식점이다. 이 대부면가의 채만식 대표는 “우리밀로 만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