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소는 ‘루나’ 사태 책임 없나제1415호 루나 코인 가격 폭락 사태 이후 국내 주요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소는 ‘투자자 보호’를 이유로 루나를 상장폐지하고 있다. 고팍스는 2022년 5월16일, 업비트는 5월20일, 빗썸은 5월27일 루나 거래지원을 종료했다. 코인원과 코빗은 각각 6월1일과 3일에 종료할 계획이다. ...
역대급 초과세수가 진짜 가리키는 것제1410호 문재인 정부 5년간 경제정책을 관통하는 단어가 있다면 바로 초과세수다. 얼핏 보면 세금이 훨씬 더 걷혔다는 의미로 읽히지만, 실상은 정부가 한 해 예산을 편성할 때 내놓았던 세입 전망치가 잘못됐다는 얘기다. 2021년 예산안에서 기획재정부(기재부)는 중앙정부 몫인 국세 수입이 282조7천억원이 될 것으로 ...
‘나쁜 엔저’ [뉴스큐레이터]제1410호 일본의 우여곡절에 따라 엔화 역시 참으로 독특한 길을 걸어왔다. 요컨대 ‘재난이 발생한다 → 엔화가 초강세를 보인다 → 경기가 침체한다 → 국제사회의 양해를 구한다 → 엔화 가치를 억지로 떨어뜨린다’의 경로. 고베 대지진(1995년) 이후 역플라자합의(G7 국가들의 엔화 약세 용인)가 그랬다. 동일본 ...
‘널뛰는 보수’의 탄생제1398호 20대 대선은 여러 측면에서 이전 선거와 사뭇 다르다. 그중 하나는 보수정당 후보 지지율이 널뛰기하듯 움직인다는 것이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정례조사 기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 지지율은 2021년 12월13일(공표일 기준) 42.0%에서 2022년 1월9일 35....
남겨진 한 동, 남겨진 질문제1391호 ‘흔적’으로 남겨두던 아파트 건물의 운명이 달라질지도 모른다.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는 2021년 12월15일 회의를 열어 ‘흔적 남기기’ 대상인 개포주공 1단지 1개동, 4단지 2개동의 철거를 논의한다. ‘흔적 남기기’는 건축사·문화사적 가치가 있는 건축물을 전부 또는 일부 남겨 주거생활박물관 등으...
주택소유통계, 오답노트로 활용하세요제1389호 2021년 11월17일 통계청이 ‘2020 주택소유통계’를 발표했다. 문재인 정부 임기가 6개월도 채 남지 않은 시점에 발표된 터라 일종의 성적표 노릇을 해 백가쟁명식 해석이 쏟아진다.역시나 대표적인 해석은 청년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대출)이다. 주택 소유 가구주를 연령대별로 비교했을 때 3...
겨우 ‘요소수 대란’ 넘었다제1388호 요소수라는 낯선 단어가 온 나라를 뒤덮었다. 요소수는 경유를 넣는 자동차가 뿜어내는 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을 줄여주는 물질로, 요소와 물을 섞은 것이다. 2014년부터 강한 환경 규제가 적용되면서 새로 나온 경유차에는 대부분 들어간다. 차에 기름 넣듯 요소수 역시 주기적으로 채워줘야 하는데, 전국적으로 ...
페이스북은 메타의 하나로제1387호 페이스북이 사명을 ‘메타’로 바꿨다.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책임자는 2021년 10월28일 ‘커넥트 콘퍼런스’에서 이번 사명 변경을 통해 소셜미디어 플랫폼에서 메타버스 기업으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메타버스란 ‘넘나들다’는 뜻의 접두사 ‘meta’와 ‘우주’(universe)의 합성...
전기료 인상됐다는데 고지서는 그대로?제1382호 2021년 전기요금은 큰 변화를 맞이했다. 전기요금 체계가 개편된데다 4분기에 들어서면서 8년 만에 첫 요금 인상이 이뤄졌다. 그런데 전기료 고지서를 받아보니 이전과 달라진 게 없어 보이는데? 2020년 12월 한전은 새로운 전기요금 체계를 발표했다. 가장 큰 변화는 연료비 연동제(원가연계형 요금제) ...
카카오, 네이버 ‘떡락’ 이어지나?제1381호 쭉쭉 잘나가던 카카오와 네이버 주식이 확 떨어졌다. 2021년 9월8일부터 10일까지 카카오 주가는 15.58% 떨어졌고, 네이버 주식 역시 2개월여 만에 40만원 지지선에서 내려와 30만원대를 기록했다. 이는 정부와 여당의 압박 때문이다. 문어발식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골목상권을 침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