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지역언론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 오드리 쿠퍼 편집국장이 ‘샌프란시스코 홈리스 프로젝트’를 시작한 계기와 진행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왼쪽). 샌프란시스코 홈리스 프로젝트에는 80여 개 지역언론사가 참여했다. 박상현 한겨레21 교육연수생, 샌프란시스코 홈리스 프로젝트 웹사이트 갈무리
하지만 쿠퍼 편집국장은 “우리는 새롭다는 평가가 불편하다”고 단호하게 이야기했다. 정치를 대신해 사회문제의 구체적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 프로젝트의 목적이 있지 않았다는 것이다. “(샌프란시스코 시민들에게) ‘거리에서 홈리스를 그만 마주치고 싶은가? 그렇다면 이만큼의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고 알려주고 싶었다. 시민들이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의 가치를 따져보게 하고 싶었다.” 그래서 <크로니클>은 데이터 시각화에 공들였다. 홈리스 프로젝트의 문을 연 사설에서 <크로니클>은 지금까지 샌프란시스코시가 홈리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쏟은 예산 규모와 홈리스 증가 추세를 세분화해 보기 좋게 가공했다. 사설로 안 보일 정도로 사실관계를 촘촘히 엮었다. 스크롤 기술을 활용해 독자가 기사를 읽어 내려갈 때 중요한 수치가 부각되게 했다. 1인 미디어부터 지역 최대 언론사까지 “(자유를 중시하는 도시 분위기 때문에) 홈리스를 모두 시설이나 감옥에 넣자고 하면 화내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누구도 침착하게 앉아 문제를 들여다보려 하지 않는다.” 쿠퍼 편집국장이 말했다. 문제는 오래되고, 복잡했다. 홈리스 문제가 고질화된 원인을 찬찬히 들여다봤다. 한 사람이 처음 홈리스가 되고 나서 다시 “지붕 있는 곳에서 잠을 자는 데까지” 얼마만큼의 시간이 걸렸는지, 그 시간의 격차가 홈리스 완전 탈피까지 걸리는 시간까지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 꼼꼼히 따졌다. 단순히 홈리스가 많고 적음을 넘어, 초기 대응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문제의 뿌리가 깊어졌다는 걸 규명했다. 프로젝트에 참여한 매체들은 역대 샌프란시스코 시장들의 목소리도 들었다. 전직 시장들이 보내온 편지는 이들이 겪은 행정적 고충을 구체적으로 전달했다. 냉정한 시각을 유지하는 일도 중요했다. 별다른 이해관계가 얽혀 있지 않을 것처럼 보이는 홈리스 문제이지만, “정치적으로 매우 복잡한 문제”이기 때문에 냉정함이 중요하단 게 쿠퍼 편집국장의 설명이다. “순전히 불운에 의해 거리로 몰린 사람은 극소수다. 홈리스 가운데는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는 사람도 많고, 마약중독이나 알코올중독, 그러니까 자신의 문제에 의해 홈리스가 된 경우도 많다.” 따라서 각자가 생각하는 해결책도 수용시설을 늘리는 것부터 마약중독 치료 지원을 늘리는 것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이 펼쳐진다. 이런 복잡한 문제에 감정이 섞여서는 곤란하다는 게 쿠퍼 편집국장의 생각이다. 9개월간의 실험은 문제를 해결할 힘을 가진 사람들의 행동을 이끌어냈다. 거대한 미디어 연합체가 홈리스 문제에 관심을 보이자, 샌프란시스코 시장은 홈리스 보호소를 지으려던 계획을 당초보다 앞당겼다. 한 기업 최고경영자(CEO)의 투자로 홈리스 보호소를 짓는 데 필요한 기금도 마련됐다. 또 지난해 지방선거에 출마한 후보들은 홈리스 문제 해결책을 제각기 공약에 밝혔다. 미국 내 다른 도시로도 비슷한 프로젝트가 확산됐다. 샌디에이고의 ‘샌디에이고 홈리스 어웨어니스’가 대표적이다. 쿠퍼 편집국장은 식상한 문제를 다르게 전달하기 위해 변화를 거듭하는 것 역시 언론의 역할이라고 강조한다. 그 과정에서 “각 언론사가 가장 자신 있는 스토리텔링 방식을 구사하면 된다”는 것이다. 탐사보도에 강한 <크로니클>은 홈리스 프로젝트에서도 긴 기간의 취재로 장점을 발휘했다. 영상이나 인터랙티브 뉴스를 시도하는 것도 놓치지 않았다. 온라인 매체 <버즈피드>는 ‘오늘 밤 잘 곳을 찾으셨나요?’라는 비디오게임을 제작해, 홈리스들이 매일 부딪히는 문제에 독자가 한번에 이입할 수 있게 했다. 대형 언론사뿐 아니라 프리랜서 다큐멘터리 제작자, 대학 라디오 방송국도 각자의 방식대로 참여했다. 도널드 트럼프는 대통령이 되자마자 언론사들을 “페이크 뉴스나 만드는 것들”이라고 몰아가며 언론에 전쟁을 선포했다. 한편 보고 싶은 것만 보여주는 언론이 트럼프 당선에 일조했다는 비판도 시민들 사이에서 제기된다. 오래된 문제에 새로운 질문 던지는 역할 하지만 쿠퍼 편집국장은 “샌프란시스코 홈리스 프로젝트를 통해 미국 시민들이 다시 언론에 대한 자부심을 갖게 됐다”고 스스로 평가했다. “언론사들이 힘을 합쳐 한 가지 문제에 파고드는 모습을 보인 덕에, 정부를 감시·비판하고 해결책까지 촉구하는 언론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시민들이 다시금 느끼게 됐다.” ‘넥스트 저널리즘’은 따로 있는 게 아니었다. <크로니클>처럼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일간지에나, 막 뉴스 스타트업을 시작한 나에게나 결국 시민들에게 사회문제에 대한 정보를 얼마나 정확하게 몰입하고 싶게 전달할지 고민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은 다르지 않다. 샌프란시스코(미국)=정인선
독자 퍼스트 언론, <한겨레21> 정기구독으로 응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