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카’ 피해자의 고통을 그린 영화 <나를 기억해>의 한 장면. 씨네그루 키다리이엔티 제공
디지털 성범죄 영상물 올리며 수익 올리고 <그것이 알고 싶다> ‘죽어도 사라지지 않는-웹하드 불법 동영상의 진실’ 편 역시 3년 전 음란물 유출로 자살한 친구의 영상을 지우려는 여성의 행보를 따라가면서, 디지털 성범죄가 단순히 남성의 관음적 본능이나 호기심으로 일어나는 개인적 일탈이 아니라 찍는 자, 올리는 자, 유포하는 자, 보는 자가 유기적으로 맞물린 거대한 산업이라는 사실을 드러냈다. 피해자도 모르는 사이에 촬영된 영상이 국내외 사이트에 자극적인 제목으로 퍼졌고, 100~150원에 거래됐다. 영상을 촬영한 남자는 처음부터 영상을 제작할 목적으로 여성을 유인했다. 영상을 올린 이들은 수천 개 영상을 유포하고 있는 ‘헤비 업로더’였다. 합법적으로 운영되는 웹하드 사이트에 디지털 성범죄 영상이 일본에서 정식 제작된 포르노처럼 제휴 콘텐츠로 등록돼 팔리고 있었다. 웹하드 업체가 헤비 업로더들의 범죄행위를 돕고 있었으며, 특정 영상물을 걸러내는 필터링 업체를 사실상 소유하고 있었다. 서로 연결된 업자들이 디지털 성범죄 영상물을 올려 수익을 올리고, 필터링으로 다시 수익을 올리고, 피해자들에게 삭제 비용을 받으며 또다시 수익을 올리는 메커니즘이었다. 프로그램을 본 시청자의 허탈감은 ‘불편한 용기’ 4차 시위에 나온 또 다른 삭발자의 발언에 잘 녹아 있다. “올리는 놈, 파는 놈, 지우는 놈에 심지어는 경찰까지 다 한통속인데도 몰카국이 아니란 소립니까! 불법 촬영물을 팔아 억대 연봉을 버는 헤비 업로더에게 벌금 5만원 물리는 나라가 몰카국이 아니란 소립니까!” <그것이 알고 싶다>가 불법 촬영의 산업적 성격을 잘 파헤친 방송이라면, 그보다 앞서 불법 촬영의 문화적 측면을 고발한 프로그램이 있다. 2016년 8월28일 방송된 SBS 《SBS스페셜》 446회 ‘몰카 천국 대한민국’ 편은 한국의 몰카 문화가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경악스러운 것임을 고발했다. 프랑스인 로빈은 ‘길거리’라는 검색어를 쳤을 때, 외국은 그냥 길이 나오는 반면, 한국에서는 변태적인 몰카 사진이 즐비하다고 꼬집었다. 2017년 젠더 토크쇼 교육방송 <까칠남녀>와 온스타일 <뜨거운 사이다>에서도 불법 촬영 문제를 다뤘다. <까칠남녀>에 출연한 시사평론가 정영진은 “합법적인 포르노를 즐길 수 없어서 빚어진 현상이니, 남성들이 합법적인 포르노를 즐길 수 있는 권리와 양질의 콘텐츠를 내놓으라”는 뻔뻔한 요구를 들려주기도 했다. “화장실 구멍들을 향한 여성들의 송곳” 올해 1월27일 방송된 tvN 단막극 <파이터 최강순>에서 최강순(강예원)은 직장상사 유 차장과 가진 하룻밤 성관계 동영상이 유출돼 프레젠테이션 도중에 재생되는 굴욕을 겪는다. 유 차장은 불법 음란물 사이트를 운영하며, 여러 여성과 성관계를 맺고 불법 촬영한 영상을 인터넷에 뿌려왔던 ‘유본좌’였다. 최강순은 그에게 피해를 본 여성들을 모아 복수한다. 유본좌가 운영하는 사이트의 파티에 잠입해, 그들의 가면을 벗게 해 생중계로 내보낸다. 올해 개봉한 영화 <나를 기억해>에서 결혼을 앞둔 교사 한서린(이유영)은 불법 촬영을 당하고, 동영상을 유출하겠다는 협박을 받는다. 영화는 몇 번의 반전을 통해 인터넷 음란 사이트와 불법 촬영 문화가 청소년과 어린이들의 일상에까지 파고들었음을 고발한다. 현재 여성·청소년들은 일상적인 여성혐오 문화와 디지털 성폭력의 위협에도 노출돼 있다. 이런 상황에서 KBS <도전! 골든벨>에서 최후의 1인으로 남은 학생이 ‘사이버 불링’(온라인상에서 폭력·집단적으로 따돌리거나 집요하게 괴롭히는 행위)의 위험에도, “동일범죄 동일처벌”을 답판에 적은 것은 자기 삶의 절박한 문제를 개선하려는 용기를 담은 것이었다. 하지만 이 문구는 블러(흐리게) 처리됐다. ‘첨예하게 주장이 엇갈리는 정치적·종교적·문화적 이슈의 경우 한쪽 주장을 일방적으로 방송할 수 없다’는 이유였다. 반면 여성혐오 뜻이 담긴 ‘보이루’란 인사말이 적힌 남학생의 답판은 그대로 방송에 나갔다. <연예가 중계>에서 ‘페미니스트’란 말이 조롱 조로 언급되고, 언급해서는 안 될 단어인 양 편집됐던 것에 이어 페미니즘을 입에 담을 수 없는 불온한 것으로 지워버리는 백래시(반격)가 일어나고 있다. 이 와중에 여성주의 인터넷 커뮤니티 ‘워마드’ 운영진 1명에 대한 체포영장이 발부돼 경찰이 추적에 나섬으로써, 편파수사 논란에 기름을 붓고 있다. “화장실의 구멍들을 향한 여성들의 송곳은 곧 당신들에게 향할 것”이라는 피맺힌 경고를 부디 심각하게 받아들이길 바란다. 황진미 대중문화평론가
독자 퍼스트 언론, <한겨레21> 정기구독으로 응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