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까밀로와 뻬뽀네>, 혹은 <신부님, 우리들의 신부님>이라는 제목으로 찾아야 할지 모르겠다. 혹시 당신이 이들을 만나본 적이 없다면, 먼저 서점에서 그 이름을 찾아라. 제2차 세계대전 직후 이탈리아 시골 마을을 배경으로 과격파 공산주의자 읍장과 뚱뚱한 가톨릭 신부가 펼치는 온갖 소동들. 종교와 이데올로기, 꼬장꼬장한 성격과 불 같은 성질을 뒤섞어 오븐에 구워 내놓은 멋진 유머들. 먼저 그것을 맛보고 나서 이 이야기를 하자.
<까칠한 가족>(부키 펴냄)은 교황을 비롯해 세계 40개 언어권의 애독자를 거느렸던 작가 조반니노 과레스키의 가족 일기다. 작가랍시고 까탈스럽게 구는 남편을 못마땅해하는 부인 마르게리타, 학교에서 뭣 좀 배웠다고 집안의 이방인이 돼가는 아들 알베르티노, 도발적인 궤변으로 아버지를 궁지에 몰아넣는 딸 파시오나리아. 과레스키는 이들 사이에서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작가라는 자부심은커녕, 가장으로서 변변한 권위도 얻지 못한다. 다른 걸 떠나 글 쓰는 일을 직업으로조차 인정해주지 않는 그들의 태도에 화가 난다.
어느 날 초등학생인 아들이 과레스키에게 묻는다. 친구에게서 아빠가 책을 몇 권 썼다는 이야기를 들었단다. 맞느냐고? 틀린 말은 아니다. 책장 두 번째 칸에 꽂혀 있는 것들이다. 시큰둥하게 책을 들고 가는 아들. 그러자 부인이 당혹해하며 말한다. “자식들은 아버지가 쓴 책을 절대 읽지 않아야 해요. 화학이나 물리학 같은 과학책이라면 모를까, 문학은 절대로 안 돼요. 당신이 쓴 책은 특히 그래요.” 그게 무슨 소리야? 자신이 나름 사랑받는 작가이며, 외국에도 자신의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있다고 항변하는 아버지. 그러나 부인의 말이 옮았다. 아들 알베르티노의 반응은 이랬다. “대충 서둘러서 썼더군요.” 뭐라고? 그렇다면 이 집안의 생계는 누가 무슨 일로 책임지고 있단 말인가? 과레스키는 가족들에게 복수를 하기로 한 것 같다. 그들을 은근슬쩍 책 속에 등장시켜 밥벌이에 동참시킨 것이다.
그의 작전은 대성공이었다. 책의 곳곳에서 두 아이의 천진난만하고 도발적인 생각과 행동이 독자를 사로잡는다. 엄마는 저녁 무렵 멜로드라마의 감성으로, 자기가 죽으면 차가운 땅에 묻히고 아이들이 자신을 잊어버릴 걸 걱정한다. 그러자 아이들은 아빠와 엄마가 죽으면 자전거를 자신에게 달라며 상속 놀이를 시작한다. 아이들은 달변으로 부모를 농락한 뒤 온 집안에 녹색과 빨간 쪽지를 붙인다. 자신들이 상속받을 물건을 미리 배분해둔 것이다. 아빠는 근엄하게 그들의 잘못을 훈계한다. 그 결과, 이마에 빨간 쪽지를 붙이게 된다.
때는 영화 <로마의 휴일>로 이탈리아가 세계적인 관광국가로 발돋움하던 시대. 작은 자동차를 타고 고향인 밀라노 근교에서 남쪽으로 여행을 떠난 가족들. 그러나 조토가 만든 피렌체의 종탑도 로마의 콜로세움도 이들에겐 관심 밖이다. 아들은 <도널드 덕> 만화잡지에 파묻혀 있고, 아내는 “당신 아이들의 엄마에게 소홀히 하는 것보다는 로마를 소홀히 하는 게 훨씬 나아요”라고 말한다. 결국 전형적인 로마 식당에서 점심을 먹기로 했는데… 간판엔 ‘볼로냐 식당’이라 적혀 있고, 토스카나 출신의 식당 주인은 파비아식 수프와 밀라노식 스테이크를 식탁에 올린다.
<까칠한 가족>의 구성원들은 언제나 작은 전쟁들을 만들어내고, 공교육, 노사 대립, 민주주의와 평등 같은 그 시대를 뒤흔들던 온갖 논쟁의 소재들을 저녁 식탁 위에 올린다. 50년이 훌쩍 지난 지금도 우리는 같은 문제 속에 살고 있다. 그러나 그들 가족만큼 그 문제를 즐기고 있지는 못한 것 같다. 동네마다 똑같은 이름으로 자리잡은 제과 체인에 질린 사람들이여, 마르게리타가 만든 ‘연옥 케이크’를 먹어보고 싶지 않나?
저술업자
조반니노 과레스키의 〈까칠한 가족〉
저술업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