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21 ·
  • 씨네21 ·
  • 이코노미인사이트 ·
  • 하니누리
표지이야기

우물 속 놋화로

1456
등록 : 2023-03-23 21:40 수정 : 2023-03-29 13:24

크게 작게

일러스트레이션 슬로우어스

2년 전 서울 세운상가에 있던 작업실을 어머니 옆집으로 옮겼다. 청계천을 산책하고 세운상가에 서 있는 로봇을 내 남자친구라고 자랑하던 시절을 끝내야 했다. 어머니는 점점 눈이 흐려지고 다리도 아파 매일 주간보호센터를 다녀오신 뒤에도 여러 도움이 필요했다. 내가 이사한 뒤로는 그때그때 필요한 걸 사다드리고, 쓰레기봉투도 내다버리고, 일주일에 두세 번 같이 저녁을 먹는다. 그때마다 반찬처럼 어머니의 어린 시절 이야기를 듣는다. 경기도 파주 임진강가 장단이 고향인 어머니는 어느 날은 임진강 참게 이야기를 하셨다.

쇠고기 먹고 살 오른 참게

“참게를 잡아다가 독 안에 넣고 쇠고기를 잘게 다져서 넣어.”

“쇠고기를 아깝게 왜 참게한테 줘요?”

“참게들이 그 고기를 먹고 살이 통통하게 오르거든. 그걸로 게장을 담그면 아주 맛나지.”

참게에게는 최후의 만찬이었다. 어머니는 지금 어떤 유명한 음식점 게장도 그 맛이 안 난다고 하신다. 그러면 나는 그때는 먹을 게 귀하니 더 맛나게 느껴졌을 테고 지금은 맛난 게 많은 세상이니 그만큼 우리가 뭘 먹어도 감동을 못 받는 거라고 우긴다. 그렇지만 속으로는 진짜 맛나겠다고 생각한다. 그 맑은 물에서 자란 참게가 쇠고기까지 먹고 살이 올랐고, 농약 따위 없으니 어쩔 수 없이 유기농으로 기른 콩으로 담근 묵은 간장에 절였으니 어찌 맛이 없을 텐가. 부세를 구운 날은 조기 이야기를 하신다.

“조기배가 들어오면 나가서 조기를 한 바구니 사와. 그걸 말려서 소금독에 묻어두고 하나하나 꺼내서 구워 먹지. 머리가 남으면 불돌에 바싹 구워. 그러면 하얀 개이빨 같은 딱딱한 뼈만 못 먹고 다 먹어.”

어느 날 어머니 친구분이 가자미를 보내주셨다.

“가자미도 살을 다 먹고 난 다음 불돌에 올려 더 구우면 가자미 가시는 약한 편이라 가시까지 다 먹을 수 있는데.”

불돌이라니 대체 그게 무언지 알 수가 없었다. 아궁이 안에 넣는 돌인가?

“불돌이 뭐예요?”

“불돌을 몰라? 화로에 얹는 납작한 돌이야.”

“화로 쓰는 걸 본 적이 없으니까 모르죠.”

“아, 화로를 못 봤구나. 나 어릴 적 우리 집에 화로가 두 개 있었어. 안방에는 놋화로고 하나는 질화로였어.”

“난 어릴 적 외할머니 집에서 요강은 봤어요. 화로는 못 보고.”

“그때는 놋그릇을 일본 사람들이 다 뺏어갔잖아. 그래서 우리 집은 놋그릇은 바구니에 담아서 우물 속에 숨겨뒀지. 우리 노할머니가 바구니 엮는 거를 잘하셔서 바구니가 많았어. 놋화로는 추운데 안 쓸 수도 없고 해서 우리 노할머니가 놋화로에 흙을 발라 질화로처럼 보이게 하고 썼어.”

“요즘 골동품가게에서 놋화로 되게 비싼데 그거 어디로 갔어요?”

“한국전쟁 나서 피란 나올 때 놋제기며 놋화로며 우물에 다 던져뒀지.”

“아깝다.”

“소랑 소달구지도 피란길에 버려두고 갔는데, 뭐.”

고향에 다시 가거든

한국전쟁 이후 어머니는 다시 고향으로 돌아갈 수 없었다. 지금은 비무장지대가 되어 그 우물은 다 메워지고 풀밭이 됐을 거라 하셨다. 우물을 메우기 전에 누군가 그 제기와 놋화로를 꺼내 갔을까? 아직도 땅속에서 놋제기들과 놋화로가 녹슬어가고 있을까? 언젠가 비무장지대 유적 탐사를 하는 날, 우물 자리 땅속도 파보아주시길….

임정진 동화작가
좋은 언론을 향한 동행,
한겨레를 후원해 주세요
한겨레는 독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취재하고 보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