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남역 여성살인사건’ 직후인 2016년 5월21일 오후 서울 강남역 10번 출구 앞에서 살해된 희생자를 추모하는 침묵 행진이 열려 참가자들이 손팻말을 들고 있다. 한겨레 이정아 기자
페미사이드 기사 모아보기
1부 어디나 강남역
‘지금’까지도 지난했다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1376.html우리는 아직 이 죽음의 행렬을 부르지 못하네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1375.html남성이 여성보다 많이 살해됐는데요?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1372.html죽을 만한 일은 없었다 [페미사이드 500건 분석]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1357.html아무도 모른다,여성이 어디서 어떻게 죽었는지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1363.html헤어진 그 사람은 죽을 때까지 따라다녔다https://h21.hani.co.kr/arti/world/world_general/51354.html카이네 메어, 니 우나 메노스https://h21.hani.co.kr/arti/world/world_general/51349.html2부 가장 친밀한 살해
맞는 아내 넘쳐나도 한번도 인정 못 받은 ‘정당방위’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1351.html30년간 ‘인질극’ 같은 결혼의 끝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1358.html“헤어질 거면 같이 죽자” 문자는 예견했다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1359.html마포구 교제살해 유족의 물음 “왜 살인이 아니란 말인가”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1362.html처벌하지 않는 국가가 공모자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1368.html3부 변방에서 죽다
‘장애여성다움’에 가둔 그 보호는 가해였다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1353.html가장 오래된 폭력, 가장 사소한 죽음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1367.html존엄의 벼랑 끝에서 소리 내어 울 수 없었다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1369.html오늘도 법정에 간다, 죽음이 모욕당하지 않도록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1373.html4부 들리지 않는 비명
함께 떠난 두 소녀, 살릴 수 있었던 세 번의 기회http://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1390.html“복종해, 빌어” 메시지창 가득한 비수http://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1391.html“함께 죽자” 가장 파괴적인 남성성의 결말http://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1401.html5부 살아남을 미래를 위하여
생존자의, 아니 우리 모두의 이야기http://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1397.html‘배우자’인지도 모르는 젠더 범죄통계, 바로잡는다 http://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1398.html교제 살인과 술자리 시비 살인이 같다?http://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1394.html*폭력적인 배우자와 결별하는 과정에서 여성들이 어떤 선택을 해야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 <한겨레21>의 ‘페미사이드 500건의 기록’ 특별 웹페이지(stop-femicide.hani.co.kr)에 접속해 확인해보세요.

한겨레21 페미사이드 특별웹페이지

한국언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