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4일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에 있는 일회용품 없는 카페 ‘보틀팩토리’에서 만난 정다운(왼쪽)·이현철 대표.
쉽게 쓰고 쉽게 버리는 플라스틱은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세계는 플라스틱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한 나라만의 일이 아니다. 버려진 플라스틱이 전세계 바다를 떠돌면서 지름 5㎜ 이하 미세플라스틱으로 잘게 분해된다. 미세플라스틱을 먹은 바다생물들이 인간의 식탁에 오르고, 결국 인간의 몸속으로 들어간다. 전세계 해양쓰레기에서 80% 정도가 바로 플라스틱이다.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꼽히는 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선 아시아의 사회적기업들이 있다. 이들은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거나 재활용 등의 방법으로 지속가능한 순환경제로 전환하는 일을 꾀한다. <한겨레21>은 기획연재 ‘플라스틱을 대하는 오늘의 아시아’라는 주제로 3회에 걸쳐 한국, 홍콩, 일본, 인도네시아 등에 있는 환경 관련 사회적기업가들의 목소리를 전한다. 이들은 7월2일 서울에서 열리는 ‘2019 아시아청년사회혁신가국제포럼’(한겨레신문사/씨닷 주최·<한겨레21>/씨닷 주관·서울시 후원)에 참석해 환경보호와 자원순환을 통한 변화 사례를 이야기할 예정이다. _편집자
6월4일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골목에 있는 한 카페를 찾았다. 창가로 비치는 햇살 속에 사람들은 커피를 마시거나 노트북을 들여다보고 있었다. 서너 살로 보이는 아이는 유모차에 앉아 입을 반쯤 벌린 채 낮잠을 잔다. 여느 동네 카페와 다를 것 없는 풍경이다. 하지만 이곳에 들어오면 “자세히 보아야 예쁘다, 오래 보아야 사랑스럽다”는 유명한 시의 한 구절을 떠올려야 한다. 그래야 보이지 않는 것들이 보인다. 3년 전 시작한 일회용 컵 안 쓰기 카페 한쪽 벽면에 텀블러 30여 개가 진열돼 있다. 새것이 아니라 사람 손을 탄 흔적이 있는 텀블러다. 텀블러 진열대 아래에는 도서관 대출카드처럼 대출일과 반납일이 적힌 ‘텀블러 대여 카드’가 있다. 카페를 다시 한번 둘러봤다. 일회용 빨대나 일회용 컵을 찾을 수 없다. 카페 한쪽에는 스테인리스·유리·쌀 재질의 빨대와 다회용 포장재, 천가방을 판다. 카페 뒤 창고에는 텀블러 500여 개가 상자 안에 차곡차곡 쌓였고, 카페 출입구 밖에는 무인 텀블러 반납함이 설치돼 있다.이곳은 일회용품 없는 카페로 유명한 ‘보틀팩토리’다. 음료 테이크아웃을 하려는 손님에게 회원 가입 뒤 텀블러를 빌려주고 나중에 돌려받는 ‘보틀클럽’을 운영 중이다. 정부가 지난해 8월1일 카페 매장 내 일회용컵 사용을 금지하기 한참 전부터 일회용 컵을 쓰지 않는 ‘실험’을 해왔다. 디자이너였던 정다운(39)·이현철(35) 보틀팩토리 대표가 3년째 하고 있는 실험이다. 두 사람이 일회용품 없는 카페를 꿈꾼 건 3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2016년 서울 마포구 상수동에 디자인 작업실을 얻어 ‘본업’에 열중하던 두 사람은 작업실에 오전 몇 시간만 문을 여는 팝업스토어로 카페를 열기로 했다. 정 대표는 플라스틱 등 환경문제에 관심 있었고, 이 대표는 카페 운영에 흥미가 있었다. ‘보틀카페’라는 이름을 붙이고 평소 꿈꿔온 일회용품 없는 카페를 해보자고 의기투합했다. 정 대표는 “정식으로 카페를 차리는 것은 엄두가 안 났고 하루 몇 시간만 실험해보자는 생각으로 시작했다”고 당시를 떠올렸다. 테이크아웃을 원하는 손님에게 일정 금액의 보증금을 받고 유리병(유리잔)에 음료를 담아줬다. 손님이 유리병을 반납하면 보증금을 돌려주는 방식이었다. 예상보다 취지에 공감하는 손님이 많았지만 사람들의 인식을 바꾸기는 쉽지 않았다. “지금은 재활용 쓰레기 대란(2018년 4월)을 겪어 플라스틱과 일회용 컵에 대한 문제의식이 높아졌지만 당시에는 그런 인식이 없어 사람들에게 일일이 설명하는 게 어려웠어요.“(정다운 대표) 보틀팩토리에서 손님들에게 빌려주는 텀블러 진열장(위). 보틀팩토리 밖에 설치된 텀블러 무인 반납함.
<한겨레21>이 후원제를 시작합니다<한겨레21>이 기존 구독제를 넘어 후원제를 시작합니다. <한겨레21>은 1994년 창간 이래 25년 동안 성역 없는 이슈 파이팅, 독보적인 심층 보도로 퀄리티 저널리즘의 역사를 쌓아왔습니다. 현실이 아니라 진실에 영합하는 언론이 존속하기 위해서는 투명하면서 정의롭고 독립적인 수익이 필요합니다. 그게 바로 <한겨레21>의 가치를 아는 여러분의 조건 없는 직접 후원입니다. 정의와 진실을 지지하는 방법, <한겨레21>의 미래에 투자해주세요. *아래 '후원 하기' 링크를 누르시면 후원 방법과 절차를 알 수 있습니다.후원 하기 ▶ http://naver.me/xKGU4rkW문의 한겨레 출판마케팅부 02-710-0543
독자 퍼스트 언론, <한겨레21> 정기구독으로 응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