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살균제 피해자와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등이 2월5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사회적참사 특조위’ 위원 추천을 미루는 자유한국당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연합뉴스
진상규명 방해자 추천한 한국당 이날 토론회에서는 세월호 참사 웹아카이브 ‘4·16 모으다’도 공개됐다. 국민조사위와 가족협의회, 아카이브랩이 만든 웹아카이브에는 참사 당시 해경의 통신 기록, 1기 특조위 청문회 기록 등 다양한 진상규명 자료가 포함돼 있다. 시민들의 추모 기록, 가족협의회의 활동 내용 등도 풍부하게 담겼다. 1기 특조위 강제 해산 이후 시민의 힘으로 세월호의 진실을 찾아내기 위해 만들어진 국민조사위의 공식 활동은 이날로 마무리됐다. 그러나 사회적참사 특조위의 가동 시점은 계속 늦춰지고 있다. 특조위 활동의 근거 법이 되는 ‘사회적참사의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사회적참사 특별법)은 지난해 12월12일 공포됐다. 사회적참사 특별법은 법 공포 이후 30일 내에 9명의 특조위 위원을 임명하도록 돼 있고, 이 기간이 끝나고 1개월이 지난 뒤에도 9명 위원이 선임되지 않으면 위원의 3분의 2 이상으로 위원회를 구성할 수 있게 했다. 위원 선임 문제로 사회적참사 특조위 구성이 무기한 미뤄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항이다. 이에 앞서 더불어민주당은 특조위에 문호승 전 감사원 사무차장, 최예용 가습기살균제 참사 전국네트워크 공동운영위원장, 안종주 사회안전소통센터장, 공익변호사그룹 공감의 황필규 변호사를 추천했고, 정세균 국회의장은 장완익 법무법인 해마루 대표변호사를 추천했다. 또 국민의당은 양순필 당 수석 부대변인을 추천했다. 하지만 자유한국당은 특조위 위원 구성 마지막 날인 2월9일에야 1기 특조위 상임위원을 지냈던 황전원 전 위원과 홍상범 대한중환자의학회 총무이사, 홍성칠 법무법인 서일 대표변호사를 추천했다. 이 가운데 황 전 위원은 가족협의회 등 세월호 진상규명을 위해 노력한 단체들 처지에선 받아들이기 힘든 인사다. 새누리당 추천으로 1기 특조위에서 활동한 그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세월호 참사 당일 행적 조사에 반발해 사퇴한 뒤 제20대 총선 때 새누리당 예비후보로 등록했다가 중도 하차했다. “한국당, 진상규명 의지 없어” 사회적참사 특별법을 발의했던 더불어민주당의 박주민 의원은 <한겨레21>과 한 통화에서 “황전원 전 위원은 1기 특조위 조사를 방해했다는 의혹을 받는 사람이다. 자유한국당이 진상규명을 할 의지가 없다는 사실을 잘 보여주는 추천이다”라고 말했다. 황 전 위원은 비판 여론과 관련한 입장을 묻는 <한겨레21>에 문자로 “당에서 공식 통보도 받지 않았고 이 건과 관련해 따로 드릴 말씀이 없다. 양해 부탁한다”고 답변했다. 정환봉 기자 bonge@hani.co.kr
독자 퍼스트 언론, <한겨레21> 정기구독으로 응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