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거제시 남부면 갈곶리에 쌓인 해양쓰레기.
3주가 되자 다시 쓰레기가 쌓였다
낙동강과 바다가 만나는 부산 사하구 일대의 낙동강 습지에도 해양쓰레기가 많다. 부산 다대포해수욕장 바로 옆에 펼쳐진 도요등과 백합등 등 섬에도 해양쓰레기가 쌓여 있다. 특히 백합등은 모래와 초지가 어우러진 생태계의 보고임에도 섬의 서쪽 끝 양쪽 길게 뻗어 내린 습지 곳곳에 해양쓰레기가 즐비하다. 이곳은 국내 최대 철새도래지 중 하나라 생태적 가치가 뛰어나다. 문화재보호구역,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전지역 등 보호구역 3관왕인 곳이다. 그렇지만 해양쓰레기는 자유롭게 드나든다.계곡과 하천에서 바다로 흘러들어온 해양쓰레기는 플라스틱 종류가 제일 많았다. 이것들은 잘게 부서져 해변의 모래와 섞여 바다를 오염시킨다. 해양생태계는 물론이고 수산물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미세플라스틱이 몸속에 쌓인 어류를 우리가 먹는다. 플라스틱이 눈에 보이지 않을 뿐이다. 해양쓰레기는 육지에서 떠내려온 것이 약 67%를 차지한다. 집중호우나 홍수 때 계곡과 하천에서 바다로 떠밀려오거나 해변에서 버려진 것들이다. 바다에서 어업활동 과정에 버려지거나 방치되는 어구(어업도구), 선박 생활쓰레기 등 해상에서 유입된 것이 33% 정도다. 2017년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의 발표 자료를 보면, 연간 해양쓰레기는 17만6807t가량으로 추정된다. 67%는 육지에서, 33%만 바다에서 나와
해양쓰레기는 우리의 현주소이자 환경의 사각지대다. 해양수산부, 지방자치단체 등 관련 기관은 실태를 파악하지 못하거나 지속·일상적인 수거와 정화를 하지 않는다. 해양쓰레기의 특성에 걸맞은 전담 조직과 장비가 없어서다. 해양수산부 해양보전과 최성용 과장은 “우리나라는 해안선의 길이가 약 1만5천㎞에 달한다. 긴 해안선에 해양쓰레기가 떠다니기에 제때 수거하기 힘든 면이 있다. 해양쓰레기에 대해 해양수산부 차원에서 여러 노력을 하고 해양권역별로 지방자치단체, 관련 기관 등과 협력 체계를 구축해 대응하고 있다. 해마다 수거 인력도 증원한다”고 밝혔다. 도시의 생활쓰레기는 기초지자체별로 전담 조직과 용도에 맞는 장비가 투입돼 날마다 처리하지만, 해양쓰레기는 행사처럼 월별이나 분기별로 수거한다. 더구나 바다를 떠다니는 해양쓰레기의 이동 경로와 집중되는 해안 지점에 대한 정보와 실태도 제대로 파악 못하고 있다. 군대도 해군이 있는 것처럼 해양쓰레기도 전담 상설 조직이 항시 수거와 정화를 맡아야 한다. 전문 인력과 장비를 통한 정화 작업이 필수적이다. 해양쓰레기는 도시의 환경미화원보다 더 전문적 작업이 요구된다. 하지만 현재 해양쓰레기 수거와 정화에 종사하는 인력은 기간제 노동자가 주를 이룬다. 장비는 바다로 접근 가능한 선박이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다. 이제부터라도 남해안·서해안·동해안 등 해안 권역별 전담 조직을 두고 일상적 수거와 정화, 모니터링, 연구 등을 수행해야 한다. 글·사진 서재철 녹색연합 생태조사팀 전문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