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 아시아는 〈한겨레21〉창간 20주년 기획연재 '동아시아 핵발전 현장을 가다'(제1002호~제1005호) 기사를 PC와 모바일 등 디지털 환경에 적합하도록 구현한 콘텐츠입니다. 지면에서 만나지 못한 현장감을 느낄 수 있는 보다 많은 콘텐츠들을 경험해 볼 수 있습니다. 이 콘텐츠는 PC 환경이 '인터넷 익스플로러 8' 이하인 경우에는 볼 수 없습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9' 이상으로 업데이트 하시거나 HTML5를 지원하는 최신 브라우저를 설치해주시기 바랍니다. [자세히 보기]▶ 핵 아시아 바로가기
① 차이나 신드롬의 습격
중국의 핵발전 건설 현장 르포 ···전세계 건설 중인 72기 가운데 28기 차지. ‘대력발전핵전’에서 ‘안전고효발전핵전’ 정책 바뀌었지만 핵발전 팽창 속도가 폭발적인 유일한 나라사진을 클릭하면 해당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
② 홍콩은 한국의 위험한 미래?
핵발전소 끼고 살지만 아무런 정보 알 수 없는 홍콩,‘홍콩-중국’의 상황이 ‘한국-중국’과도 크게 다르지 않아사진을 클릭하면 해당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
③ 후쿠시마, 그리고 한국
핵발전소 사고 3년, 일본 현지 르포 ···후쿠시마에 남겨진 그리고 떠난 사람들이 말하는 “핵발전소 참상 보여 주는 증거들”사진을 클릭하면 해당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
④ 룽먼의 메시지
동아시아에서 핵발전소 사회적 논쟁 뜨거운 대만 현지르포 ···가수·배우 등 주도한 ‘맘 러브스 타이완’ 활동 주목사진을 클릭하면 해당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
⑤ 아시아가 아시아에게
‘핵의 평화적 이용과 비확산’ 주장하는 동아시아 국가들 ··· 핵발전의 경쟁적 수출로 위험 확산 중동아시아 핵 문제 전문가들 “최악 시나리오 막기 위해 각국 국민들이 적극 나서야”사진을 클릭하면 해당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