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21 ·
  • 씨네21 ·
  • 이코노미인사이트 ·
  • 하니누리
표지이야기

사람을 찾습니다.

<한겨레21>이 새로운 독자편집위원회(독편)를 구성합니다

1218
등록 : 2018-06-26 12:08 수정 : 2018-07-10 01:19

크게 작게

<한겨레21>이 새로운 독자편집위원회(독편)를 구성(1218호 ‘010-7510-2154 문자를 보내주세요!’)합니다. 완전히 새로운 이번 독편, ‘독편3.0’은 과거 두 유형의 독편과 구성 방식, 운영 방식, 운영 목적에서 다릅니다. 독편 등록은 7월13일(금)까지입니다.

1. 독편3.0이 무엇인가?

독편3.0은 선발 절차가 없습니다. <한겨레21> 정기구독자라면 누구나 독편이 될 수 있도록 문턱을 없애고 완전히 개방합니다. 독자 위에 또 다른 독자, 즉 ‘옥상옥 체제’를 허물어 모든 독자가 원하면 언제든 <한겨레21>에 지지·응원·비판·조언을 할 수 있는 완전히 ‘열린 체제’가 독편3.0입니다. 독편3.0의 궁극적인 목표는 모든 정기구독자가 독편이 되어주시는 것입니다.

2. 독편3.0 어떻게 참여하나?


독편3.0 참여 방법은 간단합니다. <한겨레21> 정기독자 전용 휴대폰, 010-7510-2154로 3가지 ‘기초 정보’만 보내주시면 됩니다. ①이름 ②성별 ③나이입니다. 저희가 정기독자 여부를 확인해 등록 완료 회신을 보내드리겠습니다.  

3. 독편3.0 어떻게 운영하나?

참여 유형을 다양화했습니다. 아래 3유형 가운데 관심과 애정, 여건에 맞는 유형을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 각 유형별 리워드는 독편3.0이 구성되는 대로 독편 여러분과 함께 결정할 계획입니다.

1유형은 정기독자 전용 휴대전화에 핵심 정보를 보내 ‘독편’으로 등록하는 것입니다. 1유형은 <한겨레21>이 한 달에 한두 차례 실시하는 독자 수시 조사에 참여합니다. ‘올해의 표지’ ‘올해의 사건’ ‘올해의 인물’ 등 이벤트 투표에도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2유형은 카카오톡 오픈채팅방, ‘21방’에 참여하는 것입니다. 1유형 독편 등록을 하신 분들 가운데, 좀더 적극적으로 의견을 주고 싶은 분들은 일종의 ‘단톡방’(단체 카톡방)인 ‘21방’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편집장이 하루 하나 좋은 칼럼을 추천하거나, 기자들의 취재 일정 가운데 독자에게 개방할 수 있는 인터뷰의 경우 참관인을 모집하는 이벤트 등 ‘뉴스 커뮤니티’를 경험하실 수 있습니다.

3유형은 ‘21 독자 대표’(21독대)가 되는 일입니다. ‘21독대’는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을 기반으로 ‘21 모바일 소모임’을 운영하는 독자입니다. ‘21방’을 모체로 하고 ‘21 모바일 소모임’이 파생되는 것이지요. 의정부방(지역 소모임), 40대방(연령 소모임), 교사방(직업 소모임), 정치방(관심 분야 소모임) 등 ‘21동지’를 찾으려는 분은 ‘21독대’로 자원하시면 됩니다. 3유형 독자에 대한 사례 또는 보상(리워드)은 ‘올해의 독자 10인’을 선정해 선물을 드리는 것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사실 독자 여러분은 각자 생업이 있고 <한겨레21>에 대한 지지와 관심, 참여 정도가 모두 다릅니다. 지금까지는 많은 시간을 들여야 하는 ‘고강도’ 참여 방식이어서, 모든 독자의 참여를 보장하지 못했습니다. 새 시도는 과거에 대한 반성이기도 합니다.

4. 독편3.0 왜 하나?

<한겨레21>은 독편3.0 구성을 계기로 한 번도 시도되지 않았던 일을 처음 실험합니다. 바로 독자 조사와 독자 참여 지면 혁신입니다.

<한겨레21>은 휴대전화번호 등록으로 독편이 되신 분에게 <한겨레21> 최초의 ‘독자 조사’를 실시합니다. 기사에 대한 거창한 소감이 없어도, 시간을 내어 정기회의에 참석하지 않아도 휴대전화로 전송되는 간략한 설문에 응답해주시면, 저희에게는 나침반과 길잡이가 생깁니다.

<한겨레21>은 독자 여러분이 너무도 궁금합니다. ‘2017 언론수용자 의식조사’(한국언론진흥재단)를 보면 ‘잡지’ 이용률은 3.5%로 신문과 방송 등 8개 미디어 가운데 가장 이용률이 낮습니다. 이 ‘특별한’ 독자를 저희는 잘 알지 못합니다. 편집회의 때마다 기자들은 ‘공급자 마인드’(기사를 생산하는 기자에게만 중요하고 독자에게는 무가치한 일)를 경계하지만, 이 역시 ‘직관’과 ‘짐작’의 수준입니다. 저희에게는 데이터가 절실합니다.

<한겨레21> 역사상 처음 독자가 참여하는 ‘지면 개편’을 하겠습니다. 편집장이 교체되면 으레 편집·디자인 개편, 외고 필진 교체 같은 크고 작은 콘텐츠 개편이 있었지만 대체로 뉴스룸 내부에서 결정되는 폐쇄적인 방식이었습니다. 류이근 편집장 체제에서 처음 정기독자의 의견을 사전에 반영하는 개방형 지면 개편을 합니다. 많은 분이 독편에 참여해주시는 만큼, 독자 여러분이 원하는 잡지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진명선 기자 torani@hani.co.kr


독편3.0 구성 경과 보고

124명의 독편

독자편집위원회3.0(독편3.0) 모집 2주 동안 독편에 등록해주신 정기독자는 모두 124명입니다. 남성이 72명(58.1%)으로 여성 52명(41.9%)보다 많습니다. 연령대로 살펴보면, 40대(39.5%)-30대(25.8%)-50대(16.9%)-20대(10.5%)-60대 이상(6.5%)-10대(0.8%) 순으로 신청자가 많았습니다. 독편3.0의 특징은 참여 강도에 따라 1유형(문자로 설문조사나 간단한 피드백에 참여), 2유형(카카오톡 오픈 채팅방에 참여), 3유형(카카오톡 오픈 채팅방을 별도로 만들어 소모임을 운영하는 21 독자대표로 참여)으로 나누는 것인데요, 124명 중 33명의 독자가 참여 유형을 적어주시는 것을 깜빡했습니다. 독편3.0 구성이 완료되면 다시 한번 참여 유형을 확정짓는 문자를 보낼 예정입니다. 다만 참여 유형을 적어주신 91명의 독자는 1유형(51.6%), 2유형(44.0%), 3유형(4.4%)으로 신청했습니다. <21>의 크고 작은 이벤트에 참여하겠다고 선택해주신 독자가 1유형에 버금간다는 게 저희에게는 무척 의미가 있습니다. 독편3.0은 신청 기간을 7월20일(금)로 일주일 연장했습니다. 010-7510-2154, 문자를 보내주십시오!

독자  퍼스트  언론,  <한겨레21>  정기구독으로  응원하기!

전화신청▶ 1566-9595 (월납 가능)

인터넷신청▶ http://bit.ly/1HZ0DmD

카톡 선물하기▶ http://bit.ly/1UELpok


좋은 언론을 향한 동행,
한겨레를 후원해 주세요
한겨레는 독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취재하고 보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