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을 명문화하라
두 명의 활동가가 차별금지법 제정을 호소하며 단식농성 중인 서울 국회 앞 ‘평등 텐트촌’
등록 : 2022-04-29 11:44 수정 : 2022-04-29 11:49
차별금지법제정연대 인권활동가 10여 명이 2022년 4월26일 서울 여의도동 국회 앞 금산빌딩 옥상에 올라 차별금지법 제정을 촉구하는 무지개색 대형 펼침막을 내걸고 있다. 4월 임시국회 회기 안에 차별금지법 제정을 요구하며 단식을 이어가는 이종걸·미류 인권활동가를 응원하고, 다수당이면서 법 제정에 미온적인 더불어민주당을 압박하려는 기습행동이다. 펼침막은 경찰과 건물 관리자의 제지로 10여 분 만에 내려졌다.
서울 여의도동 국회 앞에서 차별금지법 제정을 호소하는 인권활동가 두 명이 단식을 이어가고 있다. 2022년 4월11일부터 단식농성에 들어간 이종걸 차별금지법제정연대 공동대표와 미류 인권운동사랑방 상임활동가가 그들이다.
이종걸 대표와 미류 활동가는 4월 임시국회가 이번 정부에서 차별금지법을 제정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 여겨 절박하다. 보수정권 아래에선 입법 환경이 더 어려워질 것이라 더욱 절실하다. 두 활동가는 단식에 들어가며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는 일상의 차별 속에서, 존재하는 대로 당당하게 살아보고자 행동에 나선다”고 각오를 밝혔다. 평등한 사회를 염원하는 시민들도 일인용 텐트 10여 개를 치고 이들 곁을 지킨다. 시민들은 이곳을 ‘평등 텐트촌’이라 부른다.
4월23일 지지 집회에 참석한 김진숙 민주노총 부산지역본부 지도위원은 “인간은 차별을 견디는 존재가 아닙니다. 비인간이었던 이들이 비문명적 방식으로 싸워온 결과 이 세상은 문명을 말할 수 있게 됐습니다”라며 끝까지 함께 싸워나갈 것을 다짐했다.
차별금지법은 성별·장애·병력·나이·출신국가 등 어떤 이유로도 차별받지 않을 것을 명문화한 법이다. 2007년 노무현 정부 시절에 처음 발의된 뒤 15년간 발의와 폐기가 반복됐고, 현재도 제정안 4건이 국회에 계류 중이다. 국회 앞 농성장에선 매일 오전 11시에 사회단체들의 차별금지법 제정 촉구 기자회견이 열리고, 저녁 7시엔 여러 종교단체의 기도회와 문화공연, 토론회가 이어진다.
단식농성 중인 이종걸 차별금지법제정연대 공동대표(왼쪽)와 미류 인권운동사랑방 상임활동가가 4월18일 박광온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과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에게 공개서한을 전달하려다 국회 정문에서 출입이 막혀 바닥에 앉아 있다.
차별금지법 제정을 지지하는 시민들이 국회 정문 앞 농성장을 방문해 이종걸·미류 활동가를 응원하고 있다.
‘차별금지법 4월 쟁취 집중문화제’에 참가한 시민들이 4월23일 국회 앞에서 ‘차별금지법 제정’을 외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