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21 ·
  • 씨네21 ·
  • 이코노미인사이트 ·
  • 하니누리
표지이야기

이렇게 된 이상 OTT 접수한다

1389
등록 : 2021-11-19 17:50 수정 : 2021-11-21 08:53

크게 작게

wavve 제공

넘쳐나는 드라마의 홍수 속에 시청자들이 즐거운 비명을 지르고 있다. “오티티(OTT)들아 오리지널 콘텐츠 좀 그만 만들어. 몇 개를 가입해야 하는 거야 대체~.”

케이(K)콘텐츠 열풍이 불면서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공룡들이 한국 시장 공략에 나서자, 토종 사업자들의 반격이 시작됐다. 승부처는 오리지널 콘텐츠다. 애플티브이플러스(TV+)는 영화만 만들던 김지운 감독을 드라마판으로 끌어들였고, 웨이브는 지상파에선 볼 수 없었던 신박한 정치풍자 드라마를 만들어 입소문을 끌고 있다. 이번주 화제가 된, 웨이브 유료 가입자 견인 1위 드라마는 <이렇게 된 이상 청와대로 간다>였다.

드라마 배경은 바야흐로 코로나19 시국. 전임 장관이 온라인 회의를 끝내고, 카메라와 마이크가 켜진 줄 모르고 음란행위를 한다. 보좌진이 ‘장관님! 멈추세요!’를 외치지만 변태쇼는 시작되고 그렇게 공석이 된 자리. 누굴 임명할지 긴급회의가 열리고 관계자들은 게임을 시작한다. “리스트 미리 뽑아놨지?” “일단 관상부터 좀 보시죠.” “아무래도 남자는 다 접읍시다.” “아들 군면제도 접어!” “다주택, 위장전입, 탈세, 논문 표절, 거리두기 2.5단계에 개념 없이 회식 사진 올린 인간 다 접어!” 어라, 다 접으니 아무도 안 남는다. 이 얼마나 현실을 반영한 웃픈 상황인가. 결국 전직 올림픽 사격 국가대표이자 셀럽인 김성령이 갑작스레 문체부 장관으로 임명되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일단 1화를 시작하면 멈추기가 힘들어요. 이거 뭐 블랙코미디가 아니고 페이크다큐 아닌가?”(music0**) “대단하다 진짜…레알 존잼…”(rnef**) “작가나 감독 성향이 너무 좌파라 몰입에 방해가 되는 것 빼곤 킬링타임용으로 재밌는 드라마”(리온이)

작품은 여당, 야당, 극우, 좌파를 가리지 않고 신랄하게 풍자한다. 각자 정치성향에 따라 어떻게 읽힐진 모르겠으나 현실을 120% 반영한 것만은 확실하다. 한국 드라마 최초로 ‘한남’이라는 말이 욕으로 나올 정도이니.

정성은 콘텐츠 제작사 ‘비디오편의점’ 대표PD

관심 분야 웃기고 슬픈 세상사
좋은 언론을 향한 동행,
한겨레를 후원해 주세요
한겨레는 독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취재하고 보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