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21 ·
  • 씨네21 ·
  • 이코노미인사이트 ·
  • 하니누리
표지이야기

[컬처타임] <모여라, 아리랑의 모든 것>

646
등록 : 2007-02-02 00:00 수정 : 2008-09-17 21:10

크게 작게

정통부터 퓨전까지 다양하게 진화한 아리랑과의 만남 <아리랑 갈라 콘서트>

▣ 김수병 기자 hellios@hani.co.kr

아직도 많은 사람들의 가슴속에 <아리랑>은 살아 있다. 한반도를 대표하는 소리로 일컬어지는 <아리랑>은 남쪽 지역은 물론 북의 대표 문화상품으로도 그 이름이 새겨져 있다. 그만큼 오랫동안 민족과 함께한 소리이기 때문이리라. 2월2일 열리는 아리랑국제방송 개국 10주년 기념공연 <아리랑 갈라 콘서트>는 <아리랑>의 과거와 현재, 미래가 함께하는 자리다. 여기에 서양 악기의 합주와 변주, 장중하고 힘찬 궁중무, 다양한 창법과 구성 등이 <아리랑>에 다양한 색깔을 입힐 것으로 보인다.


먼저 한 아이가 등장해 태곳적 소리 <아리랑>을 흥얼거린다. 이어 공연이 시작되면 지역별로 다른 느낌을 지닌 <아리랑>을 메들리로 들을 수 있다. 중요 무형문화재 57호 경기민요 기능보유자 이춘희 선생이 <긴아리랑> <정선아리랑> <밀양아리랑> 등을 들려준다. 놀랍게도 연주는 색소폰의 이정식, 피아노의 곽윤찬, 첼로의 이경은이 맡았다. 명창과 연주자가 즉흥연주로 들려줄 <본아리랑>도 기대할 만하다. 백대웅이 작곡한 국악관현악 <남도아리랑>은 40여 명으로 구성된 창작악단의 연주로 만난다.

아리랑과 장사익의 만남도 기대할 만하다. 민족의 냄새가 짙게 풍기는 걸출한 목소리를 소유한 그는 퓨전식으로 해석한 <아리랑>과 함께 자신의 대표곡 <티끌 같은 세상 이슬 같은 인생> <국밥집에서> 등을 들려준다. 여전히 신세대 국악 그룹이라는 말이 어색하지 않은 타악 그룹 ‘푸리’의 <푸리비나리>는 21세기 아리랑을 예감케 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창의적인 디자인이 돋보이는 <다드리>도 연주한다. 대표적인 궁중음악 <수제천>(정읍)과 궁중무용 <처용보등무합설>은 궁중 연희의 역동적인 면모를 엿보게 할 것이다. 관람하고 싶은 사람은 event@arirang.co.kr로 신청해 선착순으로 무료초대권을 받을 수 있다. 2월2일 저녁 7시30분, 서울 서초동 국립국악원 예악당, 02-3475-5252.


좋은 언론을 향한 동행,
한겨레를 후원해 주세요
한겨레는 독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취재하고 보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