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셸 초서도브스키 캐나다 오타와대학 명예교수가 6월7일 서울 광화문의 한 카페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박승화 기자
이석기 전 의원이 구속되기 전에 처음 만났다. 또 2014년과 이번 방한 때 면회를 했다. 처음 만났을 때 굉장히 카리스마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다 ‘내란음모 사건’이 벌어졌다는 소식을 접한 뒤 관련 자료와 뉴스를 찾아보고 변호인들을 통해 정보를 얻었다. 내용을 알아볼수록 말이 안 되는 사건이다. 대법원은 내란음모 혐의에 무죄를 선고했다. 그런데 헌재에서 정당 해산 결정을 내린 것은 정치적 판단이었다고 볼 수밖에 없다. 박근혜 정부가 표현의 자유와 인권을 탄압한 것이다. 이 문제에 대해서도 박 전 대통령과 헌재에 죄를 묻고 과거 결정을 무효로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고위 관료들이 전술 핵무기 안전하다 거짓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뒤 국제적 긴장이 높아지고 있다. 트럼프 취임 뒤 미국 정치가 점점 무모해지고 있다. 이런 무모함이 핵무기 사용으로 이어지는 게 아닐까 염려된다. 냉전시대에는 미국 대통령이 핵무기 사용의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2002년 이후 전술 핵무기는 군이 타당성 있다고 볼 경우 스스로 판단해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제대로 된 통제가 힘들어진 것이다. 게다가 미국은 전술 핵무기가 위험성이 낮다고 홍보한다. 제거할 대상만 공격하지, 주변에 피해를 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담뱃갑에다 ‘담배는 몸에 해롭지 않다’고 써놓는 것과 같은 거짓말이다. 전술 핵무기 역시 민간인에게 많은 피해를 줄 수 있다. 하지만 미국 고위 관료들은 전술 핵무기 사용이 안전하다는 선동을 그치지 않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해 핵무기 사용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고 보나. 전술 핵무기가 위험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트럼프 정부의 고위직을 차지하고 있다. 대표적 인물이 ‘미친 개’란 별명을 가진 제임스 매티스 국방부 장관이다. 2004년 이라크 전쟁 때 팔루자 공격을 지휘한 그는 아주 위험한 사람이다. 트럼프도 문제다. 그는 통치 행위가 리얼리티 쇼라고 생각하는 것처럼 보인다. 외교를 통해 문제를 푸는 법도 모르는 것 같다. 트럼프라면 자신에게 유리하게 쇼를 이끌기 위해 어떤 일이든 저지르겠다는 우려가 있다. 그로 인해 미국이 북한을 상대로 전술 핵무기를 사용할 가능성이 과거보다 더 높아졌다고 생각한다. 중요한 건 미국 시민들의 인식이다. 미국 시민들은 한국의 지리적 특성을 모른다. 당연히 평양과 서울이 얼마나 가까운지도 모른다. 이 때문에 한국이 북한을 상대로 한 미국의 핵무기 사용을 반대하면 “미국이 도와주려는데 왜 그러냐”는 반응을 보이는 것이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 도입도 논란이 되고 있다. 사드는 북한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중국과 러시아를 겨냥한 것이다.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제주 강정에 건설한 ‘해군기지’와 마찬가지다. 중국이 제국의 꿈을 꾼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하지만 중국은 거대한 자본주의 국가로 성장해 세계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며 미국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미국은 경제적으로 위협받으면 군사적 압박으로 대응하는 역사가 있다. 이런 대응에 한국이 이용당하고 있다고 본다. “한국이 전시작전권 환수해야” 복잡한 국제 정세 속에 놓인 한국에 조언한다면. 전시작전권 환수가 가장 중요하다. 전시작전권이 없으면 한국 국민이 의도하지 않은 전쟁이 일어날 수 있다. 현재 상태에선 한국에서 전쟁이 일어났을 때 군 통수권을 트럼프가 행사하게 된다. 한국 국민의 의도와 다른 파괴적인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전쟁이 일어나지 않더라도 미국과 중국, 러시아 사이에 힘의 줄다리기는 계속될 것이다. 군사적 행동이 일어날 수도 있다. 이 줄다리기에서 한국이 자유로워지기 위해서라도 전시작전권을 환수받아 미국의 그늘에서 벗어나야 한다. 미국 그늘을 벗어나면 한국이 남북 평화협정을 맺는 등의 방법으로 동아시아 평화 정착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미국은 남북 평화협정에 동의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북한과 중국, 유엔군이 맺은 1953년 정전협정(한국은 협정 당사국이 아니다)을 평화협정으로 대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남북이 별도로 평화협정을 맺는 것은 가능하다. 전시작전권 환수와 남북 평화협정이 이뤄진다면 적어도 미국 등 다른 국가에 의해 동아시아에서 전쟁 위기가 고조되는 일은 사라질 것이다. 정환봉 기자 bonge@hani.co.kr
독자 퍼스트 언론, <한겨레21> 정기구독으로 응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