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운데), 고무라 마사히코 자민당 부총재(왼쪽), 다니가키 사다카즈 자민당 간사장이 7월10일 선거 승리를 축하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아베 총리는 자민당 총재로서 2018년 9월에 임기가 끝난다. 현행 자민당 당규로는 재선은 인정하지 않고 있다. 아베 내각이 남은 임기 안에 헌법 개정이란 ‘판도라의 상자’를 열 것인가? 아베 내각은 이전 선거에서도 안보법제 추진을 공약으로 거론하지 않았음에도 선거 승리 이후 불도저처럼 안보법제 실현을 주도해왔다. 헌법 개정도 ‘막가파 스타일’로 추진할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이번 일본의 참의원 선거 결과를 좀더 냉철하게 분석하면 아베 내각이 참의원 선거 결과만으로 헌법 개정을 추진하기 쉽지 않다는 점도 알 수 있다. 일부 미디어가 ‘이번 참의원 선거를 자민당의 대승리’라고 과잉 보도하고 있지만 실제 고려해야 할 요소가 많다. 첫째, 이번 참의원 선거는 헌법 개정보다 대내외적 경제위기 속에 아베노믹스를 확대 추진하기 위한 국민의 신임을 묻는 성격이 강했다. 참의원 선거 뒤 <아사히신문>이 실시한 전국여론조사(7월13일)를 보면, 헌법 개정에 찬성한 사람들(35%) 중에서도 아베 내각이 중점적으로 실시해야 할 정책으로 사회보장제도(32%), 경기 회복 및 고용정책(28%), 외교 및 안전 보장(13%), 교육(12%)에 이어 헌법 개정(4%)은 5순위였다. 참의원 선거에서 아베 내각 및 자민당을 지지한 유권자들은 헌법 개정에 대한 불안보다, 선거 직전에 발생한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에 따른 엔고 현상이 일본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훨씬 동요했다. 또 방글라데시에서 일어난 테러로 일본인 7명이 이슬람국가(IS) 추종자들에 의해 잔인하게 살해된 사건, 중국 대두, 북핵 위협도 대중의 불안감을 자극했다. 정치·경제적으로 불안한 상황에서 유권자는 ‘매력도, 구체적 대안도 없는 야당’(<아사히신문>의 여론조사 71%) 대신 강력한 연립여당을 다시 한번 밀어주자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아베 총리는 숙원사업인 헌법 개정을 위해서도, 헌법 개정보다 경기 회복이 중요하다고 생각할 것이다. 둘째, 참의원 선거에서 헌법 개정을 저지하려는 4개 야당의 공투가 어느 정도 억지력을 발휘했다. 참의원 선거에서 자민당은 단독 과반 확보에는 실패했다. 결국 자민당 혼자 법안을 처리할 수 없기에 항상 공명당이나 다른 정치세력의 협조가 필요하다. 공명당은 이번 선거에서 역대 최다인 14명(지역구 7명, 비례대표 7명)을 당선시키며 대승리를 이루었다. 기존 11석을 더해 25석을 가진 공명당은 헌법 개정과 관련해서 자민당에 대한 억지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자민당 단독 과반 확보는 실패
※이미지를 누르면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독자 퍼스트 언론, <한겨레21> 정기구독으로 응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