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을 씻고 다시 봤다. 대구의 한 학원에서 논술 강사로 일하는 최규식(53)씨가 보내온 퀴즈큰잔치 엽서에 적힌 글을 읽고서다. ‘<한겨레> <한겨레21> <씨네21>을 모두 갖고 있습니다. 필요하시면 연락 주세요.’ 꼭 한번 그 광경을 보고 싶다는 마음이 들었다. 인터뷰 내내 빼곡하게 쌓인 애정이 느껴졌다.
그 많은 신문과 잡지는 어떻게 보관하나.
신문은 다락방에 다 채워넣었고, <한겨레21>과 <씨네21>은 책장에 쫙 꽂아놓고 넘치는 것은 책장 위에 쌓아두고 있다.
한겨레와의 첫 만남이 어땠길래?
<한겨레> 창간운동을 할 때부터 관심이 있었지만 당시 실업자라 주주로 참여하지는 못했다. 독자로라도 참가하자 싶었다. 주변에도 많이 권했다. 하지만 대구라는 지역이 좀 그렇다. 외톨이 신세다. 지금도 그런 분위기는 여전하다.
논술 강사를 하게 된 이유는 뭔가.
수능 언어영역도 함께 가르쳤었다. 그런데 언어영역은 가르칠 때 교과서 범위를 벗어날 수 없다. 논술은 그렇지 않다. 학생들과 토론하고 이야기하는 데 제일 적합한 과목이다. 온갖 세상 이야기를 하고, 서로의 생각을 주고받을 수 있다. 그래서 이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젊은 학생들과의 소통이 즐거운가보다. 학교나 사회에서 만난 친구들은 지금 뿔뿔이 흩어지고, 함께 이런저런 이야기를 할 사람이 거의 없다. 그러니까 젊은 친구들이랑 이야기하는 게 편하고 즐겁다. 그들 아버지 세대와 달리 생각도 많이 깨어 있는 편이고. 최근에 읽고서 반가웠던 기사는 무엇이었나. 주간 고공21을 다시 시작했던 게 기억에 남는다. 일반 신문에서는 거의 다루지 않는 내용이 아닌가. 그 기사를 학생들에게 보여주면 이런 세상이 있느냐고 놀라는 친구가 많다. 1년 동안 <한겨레21>을 지켜보셨다. 앞으로 어땠으면 하나. 두 가지 바람이 있는데 동시에 이룰 수 없는 것이라…. 내가 보기엔 <한겨레21>이 연성화된 것 같다. 좀더 왼쪽으로 강하게 나갔으면 싶다. 그런데 젊은 사람들을 끌어들이자면 또 그게 안 통하니까. 실은 젊은 친구들에게 <한겨레21>을 읽어보라면 논술 등 시험에 필요하니까 보지 즐거워서 보는 친구는 없다. 몰랐던 사실을 알게 된 충격은 있는데 재미는 없다고 한다. 인터뷰를 꼭 싣고 싶었다. 하지만 그의 사진은 함께 싣지 못할 사정이 생겼다. 최규식씨는 스마트폰도 쓰지 않고, 전자우편도 쓰지 않는단다. 그래서 그득하게 쌓인 <한겨레21> 사진으로 대신한다. 언젠가는 꼭 그의 책장을 직접 볼 수 있기를 바라며. 이정연 기자 xingxing@hani.co.kr
한겨레 김명진 기자
젊은 학생들과의 소통이 즐거운가보다. 학교나 사회에서 만난 친구들은 지금 뿔뿔이 흩어지고, 함께 이런저런 이야기를 할 사람이 거의 없다. 그러니까 젊은 친구들이랑 이야기하는 게 편하고 즐겁다. 그들 아버지 세대와 달리 생각도 많이 깨어 있는 편이고. 최근에 읽고서 반가웠던 기사는 무엇이었나. 주간 고공21을 다시 시작했던 게 기억에 남는다. 일반 신문에서는 거의 다루지 않는 내용이 아닌가. 그 기사를 학생들에게 보여주면 이런 세상이 있느냐고 놀라는 친구가 많다. 1년 동안 <한겨레21>을 지켜보셨다. 앞으로 어땠으면 하나. 두 가지 바람이 있는데 동시에 이룰 수 없는 것이라…. 내가 보기엔 <한겨레21>이 연성화된 것 같다. 좀더 왼쪽으로 강하게 나갔으면 싶다. 그런데 젊은 사람들을 끌어들이자면 또 그게 안 통하니까. 실은 젊은 친구들에게 <한겨레21>을 읽어보라면 논술 등 시험에 필요하니까 보지 즐거워서 보는 친구는 없다. 몰랐던 사실을 알게 된 충격은 있는데 재미는 없다고 한다. 인터뷰를 꼭 싣고 싶었다. 하지만 그의 사진은 함께 싣지 못할 사정이 생겼다. 최규식씨는 스마트폰도 쓰지 않고, 전자우편도 쓰지 않는단다. 그래서 그득하게 쌓인 <한겨레21> 사진으로 대신한다. 언젠가는 꼭 그의 책장을 직접 볼 수 있기를 바라며. 이정연 기자 xingxing@hani.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