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21 ·
  • 씨네21 ·
  • 이코노미인사이트 ·
  • 하니누리
표지이야기

이 기사, 주목

1062
등록 : 2015-05-21 17:41 수정 :

크게 작게

www.facebook.com/groups/dok21

노지원 아프고 불편할 수밖에 없는 길

레드 기획에서 지적한 대로 한국 사회에서 ‘레인보 콤플렉스’가 보수 개신교와 이들을 등에 업은 보수 정치인들에 의해 교육 영역으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친한 친구가 커밍아웃했던 날이 떠오른다. 그 뒤 세상의 차별을 온몸으로 받아내는 그의 삶을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게 됐다. 성소수자 인권에 대한 교육은 중요하다. 그들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고 가르치는 교육은 무지와 혐오를 재생산할 뿐이다. 아직도 나는 무지의 강에서 허우적대고 있을지 모른다. 한국 사회에 주입된 편견과 오해를 아직 다 해소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무지는 편안하고 앎으로 가는 과정은 아프고 불편할 수밖에 없다.

함규원 어떤 파장을 일으킬까?

토마 피케티는 19세기 경제학자들이 분배 문제의 장기적 경향을 연구한 것을 두고, 그 답보다 그들이 던진 질문이 훌륭했다고 평가했다. 카를 마르크스의 지적 유산으로 우리는 더 인간적인 자본주의 모델을 고민하게 됐다. 좋은 질문은 답을 찾는 과정에서 우리를 더 나은 곳으로 데려다준다. 경제 ‘불평등 완화, 이제 행동이 필요하다’에 나온 앤서니 B. 앳킨슨 교수는 분배 문제가 경제학의 본질적 부분이어야 한다며 좋은 질문을 던진다. 그는 불평등에 맞서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현실적 수단들을 고민한다. 특히 ‘기초자본’을 보장하자는 제안이 인상적이었다. 한국 사회에서 그의 주장이 어떤 파급력을 일으킬지 궁금하다.



좋은 언론을 향한 동행,
한겨레를 후원해 주세요
한겨레는 독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취재하고 보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