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21 ·
  • 씨네21 ·
  • 이코노미인사이트 ·
  • 하니누리
표지이야기

살아남길 바랍니다, 끝까지

1045
등록 : 2015-01-17 14:47 수정 : 2015-01-17 15:23

크게 작게

꾸지람을 들었다. 지난해 한가위 퀴즈큰잔치 응모엽서에 “오탈자가 자주 발견되는 것이 아쉽습니다”라고 꾸짖어준 독자님. 충남대 의학전문대학원 피부과학교실 연구원으로 일하는 손경철(48)씨다. 자식이 잘되길 바라는 부모의 마음이었을까. 인터뷰 내내 <한겨레21>을 향한 단단한 애정이 묻어났다. 그는 <한겨레21>이 살아남길 바라는 마음에 구독을 계속한다고 했다.

-<한겨레21>은 언제부터 구독했나.

=원래는 <한겨레>를 지하철에서 읽었다. 지하철을 탈 일이 없어져서 <한겨레21>로 바꿨다. 바꾼 지는 4년 정도 됐다.

-<한겨레21>에 대한 인상은 어떤가.

=특종이 좀 약하다. 그래서 아쉬울 때도 있지만 ‘인권밥상’ 기사는 재미있게 읽었다. ‘고경태의 1968년 그날’도 인상 깊었다. (내가) 68년생이라 그 기사에 꽂혔을 수도 있다. (웃음)

-굳이 정기구독을 하는 이유가 있나.

=폐간되지 않고 살아남길 바라기 때문이다. 후배 하나도 의무감으로 <한겨레21>을 읽는다. 둘이 만나면 <한겨레21>에서 다뤘던 기사 주제를 갖고 술을 푼다. 이번에 만나면 ‘통합진보당 해산’ 때문에 이야기를 한껏 나눌 것 같다. 그러고 보니 ‘최악의 판결, 최고의 판결’ 기사도 좋았다. 읽으면서 눈물이 좀 났다.


-오탈자가 많다고 하셨다.

=읽는 데 불편함은 없는데 ‘이 사람들이 끝까지 집중을 못했구나, 마무리를 못했구나’ 그런 생각이 든다. 안타까운 마음에서 쓴 거다. 나야 애정 있게 보긴 하지만 가끔 <한겨레21>을 보는 사람들이 실망할지도 모르니까.

-부부가 연구직이니, 따님은 공부를 잘할 것 같다.

=글쎄. <한겨레21>에서 추천해준 마거릿 헤퍼넌의 <경쟁의 배신>을 읽었다. 책을 읽고 나서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게, 길만 알려줘야겠다’ 싶었다. <한겨레21>이 추천해준 책들 중에 좋은 책이 많다.

-<한겨레21>에 해주고 싶은 이야기가 또 있다면.

=깊게, 집요하게 파고들어서 기사를 써주면 좋겠다. 주변에 의무감을 갖고 <한겨레21>을 보는 사람이 많다. 기사 쓰기 힘들다는 거 알지만, <한겨레21> 기자분들은 사명감을 가지셨으면 좋겠다. 너무 무거운 바람일까. (웃음)

이수현 인턴기자 alshgogh0@gmail.com

좋은 언론을 향한 동행,
한겨레를 후원해 주세요
한겨레는 독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취재하고 보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