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투기 기종 비교분석 아쉬워
이슈추적 ‘너도나도 전투기 팔아요’를 읽고 몇 가지 문제점을 느꼈습니다. 기사에 미국 기종에 대한 설명이 너무 적습니다. 이미 미국 전투기에 대한 설명들을 다른 매체에서 다뤘다는 전제 아래에서 그랬을 수도 있지만 아무래도 불공정하게 보입니다. 유럽쪽의 전투기를 중점으로 다룬 데에는 뭔가 이유가 있겠지만, 유럽 외의 기종을 선호하는 사람들에게는 오히려 반감을 불러일으켜 역효과를 낼 수 있지 않을까요? 그리고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경쟁기종들을 좀더 상세히 비교한 내용도 있는 게 좋겠습니다. 일반인이 접근하기 어려운 사안이지만 4조원 이상의 예산이 걸렸다면 그냥 외면하고 있다가 결과만 받아들여서는 안 될 것 같습니다.
최우경/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
퀴즈에서 얻은 깨달음 내심 당첨을 기대하며 <한겨레21>이 오기만을 기다렸는데 1번 문제부터 틀렸더군요. 다시 문제를 보니 갑자기 그런 생각이 들더군요. “내가 참 고지식한 사람이구나. 추석이니까 추석 얘기가 아닌 건 틀렸다는 사실 하나에 집착(?)했고 더 생각하려 하지 않았구나. 이것뿐만이 아니라 살아가는 생활방식 자체가 그렇지 않았나. 홍석천씨 커밍아웃 얘기나 동성애자 등 <한겨레21>에 소개되는 많은 사람들 얘기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척하면서 정작 내 마음속은 꽁꽁 묶인 아집으로 살아왔는지 모른다.” 제 딴에는 <한겨레21>을 오랫동안 정기구독하면서 열린 생각의 소유자라고 자부했거든요. 순식간에 부끄러워졌습니다. 무슨 퀴즈 문제 하나 갖고 장황하다 할지 모르겠지만 전 크게 깨닫게 되네요. 혹시 저와 같은 느낌 갖게 되신 분 계신가요? 정영문/ 인터넷 독자 설날은 아직 멀었나? 한가위 퀴즈 큰잔치를 풀고서 당첨자 발표를 기다리다가 덥석 사고보니 380호더군요. 어리석게도 <한겨레21>이 주간지라는 사실도 몰랐습니다. 하여튼 381호를 보니 운좋게 0단계에 당첨되었더군요. 정말 그 난센스 퀴즈 푸느라고 만나는 사람마다 물어보고, 어이없게 2단계, 3단계에서 틀리고, 4단계는 다 맞고…. 아, 이 재미에 정기구독할까 생각중입니다. 설날 퀴즈 큰잔치는 아직 멀었나? 정귀연/ 서울시 양천구 신정7동 지자체는 주민의 것 정치면 ‘지자체는 누구 거지?’를 읽고 한국 지방자치제도는 아직 멀었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저는 양비론을 싫어하지만 이번 문제를 둘러싼 국회의원과 지방자치단체장들과의 갈등은 양비론의 입장에 설 수밖에 없네요. 물론 지방자치단체장이 권한을 남용하는 사태를 막기 위한 어느 정도의 규제장치는 필요하겠지요. 하지만 민주당의 지방자치법 개정안은 지방자치를 중앙통제로 환원시키려 한다는 의혹을 살 수밖에 없군요. 아직까지 지방자치가 완전히 뿌리내리지 못한 현실에서 통제만 남발한다면 어느 세월에 풀뿌리 민주주의가 완성되겠습니까. 또한 시민단체가 요구하는 국민소환제를 자신들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완강히 거부하는 국회의원들의 태도에도 실망했습니다. 자치단체장도 마찬가지입니다. 너무 자신들의 이해관계에만 집착하고 있어서 자기혁신 없이 반대만 일삼는 듯한 모습입니다. 양쪽 모두 한 가지 중요한 사실을 잊고 있군요. 지자체는 바로 주민의 것이라는 사실 말입니다. 이동수/ 서울시 강서구 등촌동 자전거는 달리고 싶다 마이너리티 ‘발바리들의 상쾌한 질주’를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저도 어쩌다 자전거를 타고 시내에 나가면, 두려움을 느낄 때가 많습니다. 자동차들은 자전거의 안전을 아예 신경도 쓰지 않더군요. 그뿐이 아닙니다. 유명무실한 자전거도로로 다닐 수 없어 인도와 차도 사이에서 아찔한 곡예를 해야 합니다. 자전거는 공원에서만 타는 레저스포츠가 아니라 엄연한 교통수단입니다. 저는 자유롭게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외국노동자들을 볼 때마다 부러움을 느낍니다. 교통사고 사망률이 세계 최고수준이라는 한국. 자전거의 안전운행만 보장해주면 어느 정도 해결되지 않을까요? 김진성/ 서울시 서초구 방배동 독자만화
퀴즈에서 얻은 깨달음 내심 당첨을 기대하며 <한겨레21>이 오기만을 기다렸는데 1번 문제부터 틀렸더군요. 다시 문제를 보니 갑자기 그런 생각이 들더군요. “내가 참 고지식한 사람이구나. 추석이니까 추석 얘기가 아닌 건 틀렸다는 사실 하나에 집착(?)했고 더 생각하려 하지 않았구나. 이것뿐만이 아니라 살아가는 생활방식 자체가 그렇지 않았나. 홍석천씨 커밍아웃 얘기나 동성애자 등 <한겨레21>에 소개되는 많은 사람들 얘기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척하면서 정작 내 마음속은 꽁꽁 묶인 아집으로 살아왔는지 모른다.” 제 딴에는 <한겨레21>을 오랫동안 정기구독하면서 열린 생각의 소유자라고 자부했거든요. 순식간에 부끄러워졌습니다. 무슨 퀴즈 문제 하나 갖고 장황하다 할지 모르겠지만 전 크게 깨닫게 되네요. 혹시 저와 같은 느낌 갖게 되신 분 계신가요? 정영문/ 인터넷 독자 설날은 아직 멀었나? 한가위 퀴즈 큰잔치를 풀고서 당첨자 발표를 기다리다가 덥석 사고보니 380호더군요. 어리석게도 <한겨레21>이 주간지라는 사실도 몰랐습니다. 하여튼 381호를 보니 운좋게 0단계에 당첨되었더군요. 정말 그 난센스 퀴즈 푸느라고 만나는 사람마다 물어보고, 어이없게 2단계, 3단계에서 틀리고, 4단계는 다 맞고…. 아, 이 재미에 정기구독할까 생각중입니다. 설날 퀴즈 큰잔치는 아직 멀었나? 정귀연/ 서울시 양천구 신정7동 지자체는 주민의 것 정치면 ‘지자체는 누구 거지?’를 읽고 한국 지방자치제도는 아직 멀었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저는 양비론을 싫어하지만 이번 문제를 둘러싼 국회의원과 지방자치단체장들과의 갈등은 양비론의 입장에 설 수밖에 없네요. 물론 지방자치단체장이 권한을 남용하는 사태를 막기 위한 어느 정도의 규제장치는 필요하겠지요. 하지만 민주당의 지방자치법 개정안은 지방자치를 중앙통제로 환원시키려 한다는 의혹을 살 수밖에 없군요. 아직까지 지방자치가 완전히 뿌리내리지 못한 현실에서 통제만 남발한다면 어느 세월에 풀뿌리 민주주의가 완성되겠습니까. 또한 시민단체가 요구하는 국민소환제를 자신들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완강히 거부하는 국회의원들의 태도에도 실망했습니다. 자치단체장도 마찬가지입니다. 너무 자신들의 이해관계에만 집착하고 있어서 자기혁신 없이 반대만 일삼는 듯한 모습입니다. 양쪽 모두 한 가지 중요한 사실을 잊고 있군요. 지자체는 바로 주민의 것이라는 사실 말입니다. 이동수/ 서울시 강서구 등촌동 자전거는 달리고 싶다 마이너리티 ‘발바리들의 상쾌한 질주’를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저도 어쩌다 자전거를 타고 시내에 나가면, 두려움을 느낄 때가 많습니다. 자동차들은 자전거의 안전을 아예 신경도 쓰지 않더군요. 그뿐이 아닙니다. 유명무실한 자전거도로로 다닐 수 없어 인도와 차도 사이에서 아찔한 곡예를 해야 합니다. 자전거는 공원에서만 타는 레저스포츠가 아니라 엄연한 교통수단입니다. 저는 자유롭게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외국노동자들을 볼 때마다 부러움을 느낍니다. 교통사고 사망률이 세계 최고수준이라는 한국. 자전거의 안전운행만 보장해주면 어느 정도 해결되지 않을까요? 김진성/ 서울시 서초구 방배동 독자만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