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태어나니 변화가 크겠다. 임신했을 때부터 칼럼 ‘곤란해도 괜찮아’를 눈여겨보았다. 내 이야기가 되겠구나 싶어서. 아이를 낳고 나니 생각이 많이 달라진다. 예전에도 내가 가르치는 아이들 자체에 문제가 있다고는 생각지 않았지만 아이를 낳아보니 공부를 잘하건 못하건 행실이 어떻건 이렇게 귀한 아이였구나 새삼 느껴진다. <한겨레21>에 바라는 점은. 교사로서 아이들과 나눠볼 수 있는 ‘눈높이 기사’가 많이 실리면 좋겠다. 예전에 1천원으로 사는 아이들에 대한 기사가 실린 적이 있는데 아이들과 이야기할 기회가 생기면 복사해서 주었다. 개인적으로는 노동현장과 병원을 직접 찾아가는 ‘OTL’ 기사가 좋았다. 올해 소원이 있다면. 아이가 잘 크는 게 가장 큰 바람이다. 6년차 교사로서 남은 육아휴직 기간 동안 재충전도 하고 생각을 다듬어서 학교로 돌아가면 좋겠다.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은. 정말 내 얘기가 실리는가. 아기 재우다가 얼떨결에 전화받아서 대답이 부실했는데. 지켜만 보던 기회가 오다니 기쁘고도 기쁘다. 남은주 기자 mifoco@hani.co.kr
아이가 태어나니 변화가 크겠다. 임신했을 때부터 칼럼 ‘곤란해도 괜찮아’를 눈여겨보았다. 내 이야기가 되겠구나 싶어서. 아이를 낳고 나니 생각이 많이 달라진다. 예전에도 내가 가르치는 아이들 자체에 문제가 있다고는 생각지 않았지만 아이를 낳아보니 공부를 잘하건 못하건 행실이 어떻건 이렇게 귀한 아이였구나 새삼 느껴진다. <한겨레21>에 바라는 점은. 교사로서 아이들과 나눠볼 수 있는 ‘눈높이 기사’가 많이 실리면 좋겠다. 예전에 1천원으로 사는 아이들에 대한 기사가 실린 적이 있는데 아이들과 이야기할 기회가 생기면 복사해서 주었다. 개인적으로는 노동현장과 병원을 직접 찾아가는 ‘OTL’ 기사가 좋았다. 올해 소원이 있다면. 아이가 잘 크는 게 가장 큰 바람이다. 6년차 교사로서 남은 육아휴직 기간 동안 재충전도 하고 생각을 다듬어서 학교로 돌아가면 좋겠다.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은. 정말 내 얘기가 실리는가. 아기 재우다가 얼떨결에 전화받아서 대답이 부실했는데. 지켜만 보던 기회가 오다니 기쁘고도 기쁘다. 남은주 기자 mifoco@hani.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