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가장 먼저 보는 기사는. 뒤에서부터 본다. 칼럼을 좋아한다. 세상을 보는 눈이 신선해진다. 매너리즘에 빠진 나에게 좋은 자극이 된다. 5. 혼자 보기 아깝지 않나. 남편이나 아이들과 돌려본다. 한 명이 바빠서 재미있는 기사를 놓치면 서로 챙겨준다. 인상 깊은 기사는 복사해서 학생들에게도 나눠준다. 6. 좋은 선생님이다. 50살까지는 아이들과 호흡을 잘 맞추며 지내왔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요즘엔 아이들을 쫓아가지 못하는 듯해 더럭 겁이 날 때가 있다. 7. 노력을 많이 하겠다. 5~6년 동안 TV를 끼고 살았다. 아이들과 대화하려고 개그 프로그램을 다 챙겨본다. 수업 자료도 유튜브에서 아이들 입맛에 맞는 걸로 고른다. 8. 학교 가기가 두렵다는 교사가 많다. 교사에 대한 학생들의 감정이 나빠졌다기보다는 경쟁에 대한 두려움이 욕설이나 폭력 등으로 표출되는 것 같다. 9. 전교조의 고민도 크겠다. 답답하다. 지금 정부가 바뀐다고 사회가 변할 것 같지 않다. 전반적으로 너무 보수화됐다. 그에 대한 심층 분석과 대안을 보고 싶다. 참, ‘정의’가 무엇인지도 정의해달라. 10. 이번 주말 계획은. 수업이 끝나고 제주도에 왔다. 지금 중문해수욕장에 가는 길이다. 남편과 오름도 올라가고 올레도 걸을 계획이다. 서보미 기자 spring@hani.co.kr
4. 가장 먼저 보는 기사는. 뒤에서부터 본다. 칼럼을 좋아한다. 세상을 보는 눈이 신선해진다. 매너리즘에 빠진 나에게 좋은 자극이 된다. 5. 혼자 보기 아깝지 않나. 남편이나 아이들과 돌려본다. 한 명이 바빠서 재미있는 기사를 놓치면 서로 챙겨준다. 인상 깊은 기사는 복사해서 학생들에게도 나눠준다. 6. 좋은 선생님이다. 50살까지는 아이들과 호흡을 잘 맞추며 지내왔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요즘엔 아이들을 쫓아가지 못하는 듯해 더럭 겁이 날 때가 있다. 7. 노력을 많이 하겠다. 5~6년 동안 TV를 끼고 살았다. 아이들과 대화하려고 개그 프로그램을 다 챙겨본다. 수업 자료도 유튜브에서 아이들 입맛에 맞는 걸로 고른다. 8. 학교 가기가 두렵다는 교사가 많다. 교사에 대한 학생들의 감정이 나빠졌다기보다는 경쟁에 대한 두려움이 욕설이나 폭력 등으로 표출되는 것 같다. 9. 전교조의 고민도 크겠다. 답답하다. 지금 정부가 바뀐다고 사회가 변할 것 같지 않다. 전반적으로 너무 보수화됐다. 그에 대한 심층 분석과 대안을 보고 싶다. 참, ‘정의’가 무엇인지도 정의해달라. 10. 이번 주말 계획은. 수업이 끝나고 제주도에 왔다. 지금 중문해수욕장에 가는 길이다. 남편과 오름도 올라가고 올레도 걸을 계획이다. 서보미 기자 spring@hani.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