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21 ·
  • 씨네21 ·
  • 이코노미인사이트 ·
  • 하니누리
표지이야기

[독자10문10답] 소설 쓰는 비정규직 아빠

785
등록 : 2009-11-12 16:31 수정 :

크게 작게

최경빈씨 가족
마흔을 앞둔 남자다. 광주에 살고 ‘무직’이란다. 그가 보낸 독자엽서에는 <한겨레21> 흉만 쓰여 있었다. 그러면서도 그는 10문10답을 신청했다. 욕먹을 각오로 최경빈(39)씨에게 전화했다.

1. ‘무직’인가.

비정규직을 전전하고 있다. 지금은 한 회사에서 주당 42시간을 일한다. 시급은 최저임금인 4천원에 못 미친다. 이 나이만 돼도 취직할 곳이 없다. 막노동도 해봤는데 50kg의 몸으로 버티기 어렵다.

2. 비정규직의 삶은 어떤가.

힘들다. 1980년대 고등학교 시절 화염병을 들고 맨 앞에 섰다. 대학에 진학했지만 중퇴했다. 대학에 꼭 다녀야 하나 고민했다. 비정규직으로 살자니 대학 졸업장이 아쉽다. 비정규직은 내가 그만두거나 회사에서 그만두라고 하는 일이 반복된다.

3. 사진 속 가족들의 표정은 여유롭다.

‘적게 벌면 적게 소비하자’는 생각이다. 동갑내기인 아내와는 만 19살, 대학교 1학년 때 만났다. 둘 다 광주 토박이다. 10년을 사귀고 결혼해 또 10년이 흘렀다. 힘들어도 초등학교 5학년과 1학년 아들과 웃으며 살려고 한다.


4. <한겨레21>은 언제부터 읽었나.

<한겨레>는 창간 때부터 읽었다. 군대를 다녀와서부터 <한겨레21>을 읽었다. 직장에 다니면서는 출퇴근 시간에 주로 읽었다.

5. 어려운 상황인데 <한겨레21> 정기구독을 했나.

원래는 가판이나 서점에서 사서 봤다. 한데 얼마 전 <한겨레21>이 꼭 읽고 싶어 사려고 보니 동네에 서점이 없었다. <한겨레21> 한 권을 사려고 차를 끌고 시내에 나갔다. 그 직후 정기구독을 신청했다. 내 생일에 맞춰 11월부터 보내달라고 했다. 생일선물인 셈이다.

6. 그날 기를 쓰고 <한겨레21>을 산 까닭은.

‘누구나 소설 쓰는 시대’라는 표지이야기를 읽기 위해서다. 사실 얼마 전부터 아들들을 위한 소설을 쓰려고 준비 중이었다. 이런 기사가 나와 반가웠다.

7. <한겨레21>이 ‘손바닥문학상’을 공모했는데 좀 서둘러서 제출하지 그랬나.

아직 그럴 실력이 못 된다. <한겨레21> 기사를 보다 보면 재밌고 논리적이어서 ‘아, 참 잘 썼다’ 싶을 때가 많다. 기자들은 다들 국문학을 전공한건지….

8. 그렇진 않다. 한데 독자엽서에 ‘소야촌’(765호 김학민의 주류인생)이 맛없다고 불평했다.

<한겨레21> 필진이 추천한 광주 맛집이라 한걸음에 달려갔다. 한데 음식도 분위기도 별로였다. 광주에는 맛집이 많다. 광주를 찾은 이들이 소야촌만 가본 뒤 판단하지 않길 바란다.

9. 이제 집으로 배송될 <한겨레21>에 바라는 점은.

다른 데서는 볼 수 없는 기사를 많이 실어달라. ‘박노자의 국가의 살인’과 ‘노동 OTL’이 좋다. 애들한테도 읽혔다. 아들에게 아빠가 좋은 직장에 취직하기 어려운 현실도 함께 얘기해줬다.

10. 가족들에게 한마디.

돈도 잘 못 버는데 불평 없는 아내에게 늘 고맙다. 초등학교 5학년 아들은 전교 회장이다. 알아서 잘 자라주니 고맙다. 아이들이 살아갈 세상은 좀 달라졌으면 좋겠다.

임지선 기자 sun21@hani.co.kr

좋은 언론을 향한 동행,
한겨레를 후원해 주세요
한겨레는 독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취재하고 보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