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21 ·
  • 씨네21 ·
  • 이코노미인사이트 ·
  • 하니누리
표지이야기

[독자10문10답] 화나고 애잔한 두 대통령의 서거

775
등록 : 2009-08-28 10:35 수정 :

크게 작게

이주현씨
경기 안양에 사는 이주현(22·서강대 중국문화학과 2학년)씨는 엄지족이다. 전화를 걸었는데 받지 않더니 곧 문자 공세가 쏟아졌다. “누구시죠?? 지금 수업 중이라^^;;”부터 “제가 2시간 후에 연락드리겠습니다^^”, “배터리가 나가서 그런데 3시 이후에 전화드릴게요”, “한겨레 기자님 연락 받다니 두근두근하네요!! 감사합니다”까지….

1. 방학인데 수업을 받나.

전화했을 때 ‘수업 중’이라고 문자가 자동 저장돼 있어 그렇게 갔다. GMF라는 모던 음악 페스티벌의 자원봉사 모임에 참가하고 있었다.

2. 언제부터 <한겨레21>을 봤나.

고등학생 시절 교실에 들어오던 것을 보기 시작했고, 대학에 와서 매주 사보고 모으고 있다. 그러다 얼마 전 무슨 활동을 돕고 딱 15만원을 받게 됐다. 처음엔 옷이나 가방을 살까 했는데, 비용 대비 최고의 가치가 무엇인지 찾다가 <한겨레21> 정기구독을 선택하게 됐다.

3. 최근 가장 기억에 남는 기사는.

커피를 하루에 다섯 잔 정도 마신다. 공정무역에 대해 별다른 생각이 없었는데, Why Not 기사를 읽고 아름다운 커피나 피스 커피로 바꿔 마시기 시작했다.


4. <한겨레21>을 받고 제일 먼저 찾아보는 꼭지는.

딴지 총수 김어준씨를 좋아하기 때문에 그분이 쓴 글이나 관련된 글이 있는지 제일 먼저 살핀다.

5. <한겨레21>에 바라는 기사는.

문화, 그중에서도 스포츠의 경우 몇몇 프로 스포츠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는 생각이 드는데, 그 뒤편에도 언제나 착취받거나 정당한 대우를 받지 못하는 사람들, 예를 들면 프로 경기의 심판이나 2군 선수들이 있다는 이야기도 해줬으면 좋겠다.

6. 스포츠에 관심이 많은 것 같다. 혹시 취미는.

2002년 월드컵 이후 축구에 빠지면서 수원 삼성 서포터스 활동도 하게 돼 경기장을 자주 찾고 가끔 원정도 다닌다.

7. <한겨레21>에 바라는 점은.

지금의 색깔을 잃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게 한겨레가 가진 최고의 힘 아니겠나. 과학이나 기술 분야에 대한 이야기도 많았으면 좋겠다. 그리고 표지 종이가 좀 두꺼웠으면….

8. 노무현·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는 어떻게 봤나.

두 분의 서거 모두 슬픈 일이지만 느낌이 다른 것 같다.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때는 주변이 그렇게 만든 것 같아 슬픔과 동시에 화가 치밀었다.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는 애잔한 느낌이 더 강하다.

9. 김대중 전 대통령에 대한 기억이나 인상은.

인터넷이 생각난다. PC통신을 오래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김 전 대통령 이후 확실히 인터넷이 빨라졌다는 기억이 난다.

10. <한겨레21>에서 취재했으면 하는 것은.

학교 안에 매점이 별로 없다. 대개 24시간 편의점으로 바뀌었다. 매점은 보통 학생들의 편의를 위해 시중보다 좀더 싸게 판매했는데…. 학생들의 지갑은 더 얇아지는데 별로 인식하지 못하고 그냥 지나치고, 이러다 보니 결국 88만원 세대의 딜레마에 빠지는 것 아닐까.

류우종 기자 wjryu@hani.co.kr

좋은 언론을 향한 동행,
한겨레를 후원해 주세요
한겨레는 독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취재하고 보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