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아, 춤을 춘다. 시뻘건 불덩이가 춤을 춘다.”
서울 남대문이 화염에 휩싸이고, 용산 재개발 구역에서 불이 났습니다. 좁디좁은 고시원에도, 드넓은 경남 화왕산에도 불이 났습니다. 화마에 휩쓸려 사람들도 쓰러졌습니다.
화가 납니다. 광우병 쇠고기에 분노한 시민들이 지난해 여름 내내 촛불을 들고 거리로 나왔습니다. 시민 앞에 명박산성을 쌓으니 더 화가 났습니다. 사이버 토론 광장에선 미네르바가 구속됐습니다. 펀드는 반토막 났는데 대통령은 주식을 권합니다. 방송은 ‘조·중·동’과 재벌에 넘기려 하고, 그러거나 말거나 취직은 안 됩니다.
이 화나는 세상에서 ‘생존’하고 싶은 분들을 위해 마련했습니다. <한겨레21> 인터뷰 특강이 3월16일부터 31일까지 여섯 번에 걸쳐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매주 월·화요일 저녁 7시, 서울 숙명여대 백주년기념관으로 오십시오. 교양(2004년)·상상력(2005년)·거짓말(2006년)·자존심(2007년)·배신(2008년)에 이어 여섯 번째 열리는 올해 인터뷰 특강의 주제는 ‘화’입니다.
‘화자’들이 궁금하다고요? 첫 타자는 입에서 불을 뿜는 진중권 중앙대 겸임교수입니다. 시민들이 왜 촛불을 들고 나섰는지, 인터넷이 왜 들끓는지 모르는 권력자들을 향해 그가 ‘대중의 화’를 이야기합니다. 2회에는 정재승 카이스트 교수가 ‘과학, 화를 말하다’를 말합니다. 화를 내는 동안 뇌와 몸에선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한겨레21>에 ‘진중권과 정재승의 크로스’를 연재하고 있는 두 강연자는 인터뷰 특강의 첫 주에 ‘크로스’ 합니다.
3회에는 현직 검사로서 <한겨레>에 ‘제대로 수사받는 법’을 기고했던 금태섭 변호사가 ‘분노의 법, 사형제’를 말합니다. 살인범의 얼굴을 공개하고 어서 사형을 집행하라는 세상의 분노 앞에 그는 어떤 얘기를 꺼내놓을까요? 4회는 홍기빈 금융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의 ‘울화와 돈’입니다. 그는 “사회 전체의 돈이 뭉쳐 울화가 돼 사방으로 그 불기운이 튕기고 있다”고 말합니다.
5회 강사는 <과자, 내 아이를 해치는 달콤한 유혹>의 저자 안병수씨입니다. 잊을 만하던 멜라민이 다시 찾아왔습니다. ‘화난 음식이 화를 부른다’니 내막을 알고 가려 먹어야겠습니다. 화나면 음식도 미치는 법이죠. 마지막 강연은 <딴지일보> 김어준 총수의 ‘웃으며 화내는 법’입니다. 도대체 왜 화났는데 웃으라는 건지, 웃으면서 어떻게 화내라는 건지 들어봅시다.
인터뷰 특강은 관객과 강연자가 서로 사귀고 싸우는 즐거운 파티입니다. 파티를 더 빛나게 해줄 사회자로 배우 오지혜씨가 참여합니다. 자리는 350석인데, 해마다 신청자가 좌석 수를 넘겼습니다. 이럴 땐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가장 공평한 기준인 ‘선착순’을 적용합니다. 늦기 전에 빨리 신청하세요.
◎ 인터뷰 특강이란
유쾌하고 솔직한 지식과 교양의 한마당.
2004년 3월, <한겨레21> 창간 10돌을 기념해 시작된 ‘인터뷰 특강’은 해마다 관객의 과분한 사랑을 받으며 6년째를 맞이했습니다. 인터뷰 특강에서는 강연자가 혼자 떠들지 않습니다. 사회자·강연자·청중이 좀더 가까운 거리에서 친밀하게 이야기를 나누는 토크쇼 형식을 지향합니다. 강연자와 사회자의 대화, 강연, 강연자와 관객의 대화순으로 진행됩니다.
후원 한겨레출판(주)
화가 나셨습니까?. 사진/ 한겨레 김명진 기자
‘화자’들이 궁금하다고요? 첫 타자는 입에서 불을 뿜는 진중권 중앙대 겸임교수입니다. 시민들이 왜 촛불을 들고 나섰는지, 인터넷이 왜 들끓는지 모르는 권력자들을 향해 그가 ‘대중의 화’를 이야기합니다. 2회에는 정재승 카이스트 교수가 ‘과학, 화를 말하다’를 말합니다. 화를 내는 동안 뇌와 몸에선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한겨레21>에 ‘진중권과 정재승의 크로스’를 연재하고 있는 두 강연자는 인터뷰 특강의 첫 주에 ‘크로스’ 합니다.
인터뷰 특강 모습. 사진/ <한겨레21> 박승화 기자
인터뷰특강 일정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