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21 ·
  • 씨네21 ·
  • 이코노미인사이트 ·
  • 하니누리
표지이야기

[이주의 정기독자] 투루판을 영상에 담아볼까요

693
등록 : 2008-01-10 00:00 수정 :

크게 작게

▣ 임지선 기자 sun21@hani.co.kr

박정환씨.

‘꿈꾸는 열정적인 남자’. 박정환(25)씨의 이메일 끝자락 서명이다. 지금 그의 꿈은 영상을 향해 있다. 대학에서 언론영상을 전공하고 있는 그의 머릿속엔 ‘무엇을 어떻게 찍을까’ 하는 고민이 늘 자리한다. “영상을 통해 사람들에게 다가가는 것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한겨레21>을 통해 다양한 세상 이야기와 새로운 관점을 접해 도움이 많이 되죠.”

평소 문화재에 관심이 많던 그는 <한겨레21> 648호에 실렸던 투루판 유물 반환 운동 관련 기사를 잊지 못한다. “기사를 보는 순간 우리가 스스로 하지 못하면서 누군가에게 바란다는 게 얼마나 어리석은 일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문화재를 되돌려주자는 각국의 양심 있는 사람들처럼 우리도 노력해야 하지 않을까 싶었죠.” 그는 이 내용으로 올봄에 다큐멘터리를 만들어볼 생각이다. 활자로 박혀 있던 내용들이 알알이 영상으로 살아날 생각에 벌써 설렌다.

이런 꿈을 가슴에만 품고 군대에 있던 시절, 그는 <한겨레21>을 구독할 계획을 세웠다. 일병 때까지는 ‘짬밥’이 안 돼서 엄두를 못 내다 상병이 되고서야 휴가를 나와서 정기구독 신청을 했다. “군인으로서는 거금을 투자했던 건데 하도 벼르다가 신청한 거라 얼마나 기뻤는지 몰라요.” 그 뒤 만리재에서부터 노 땡큐까지 샅샅이 읽어가며 사랑을 키워갔다고.


그렇게 군대에서 사랑을 나눈 <한겨레21>이 아까워서 모아뒀다가 제대할 때 갖고 나왔다고 한다. 택배로 보내야 했는데 방법이 없어 위병소 간부 이름을 몰래 쓰는 아슬아슬함도 감수했다. 이렇게 모아 모아 뭘 하려는 걸까. “나중에 결혼하고 자식이 크면 그때 아버지가 이러한 잡지를 보는 사람이었다고 꼭 보여주고 싶어요.” 마지막 한마디, “마감 시간을 맞추는 죽은 글이 아닌 진정으로 살아 있는 글, 언론을 공부하는 학생으로서 귀감이 될 기사 부탁합니다.”


좋은 언론을 향한 동행,
한겨레를 후원해 주세요
한겨레는 독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취재하고 보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