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21 ·
  • 씨네21 ·
  • 이코노미인사이트 ·
  • 하니누리
표지이야기

[나의 오래된 물건] 아버지 사랑이 출렁이는 벼루

687
등록 : 2007-11-29 00:00 수정 :

크게 작게

▣ 권혜경 경기 광주시 퇴촌면

초등학교 6학년 때 우리 반 70여 명은 날마다 본수업이 시작되기 전에 1시간씩 붓글씨를 썼다. 40대 중반의 담임 선생님이 붓글씨에 남다른 실력과 애정이 있으셔서 우리에게 날마다 붓을 잡게 하셨다. 처음 시작했을 땐 발가락 끝처럼 뭉쳐버리는 획을 제비 꼬리처럼 날렵하게 만들기란 삶은 밤에 싹트기를 바라는 것만큼이나 불가능하게 여겨졌다. 하지만 한 달이 지나면서 한두 글자씩 글씨를 쓰기 시작했다. 우리나라, 무궁화 삼천리, 대한민국 화려강산, 남북통일….

아버지는 그런 나를 무척 대견스러워하셨다. 어느 날 출장을 다녀오신 아버지의 가방 속에는 벼루가 들어 있었다. 많은 친구들이 문방구에서 파는 어른 손바닥만 한 시멘트 벼루를 쓰고 있을 때, 거북이 모양까지 새겨진 뚜껑이 있는 내 벼루는 군계일학이었다. 중학교 2학년 때까지 서예반 활동을 하며 몇 차례 휘호대회에서 입상했다. 그때마다 먹물을 담고 나의 붓끝을 적셔주던 벼루가 바로 이것이다.

중학교 졸업 뒤 사회인이 될 때까지 벼루를 꺼내볼 여유조차 없었다. 그렇지만 결혼 뒤 나의 신혼방으로 자리를 옮긴 벼루는 여전히 책상 서랍의 가운데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 벼루가 다시 역할을 되찾은 것은 첫아이가 초등학교에 입학한 뒤였다. 수업 시간에 붓글씨를 써야 한다는 아이의 말에 나는 이 벼루를 아이 앞에 자랑스럽게 내놓았다. 마치 돌아가신 아버지를 자랑하듯이. 이제 그 아이마저 ‘어른’을 앞두고 있다. 손꼽아 헤아려보니 어느새 33년. 지금은 거북이 머리도 한쪽이 깨지고, 사면의 한 귀퉁이 담도 무너져내려 물을 부으면 반 이상은 흘러버린다. 아버지가 돌아가신 지도 벌써 18년. 지금도 벼루를 보면 환하게 웃으시며 아버지와 같은 취미를 가진 딸을 마냥 자랑스러워하시던 모습이 물기 속에 출렁인다.



좋은 언론을 향한 동행,
한겨레를 후원해 주세요
한겨레는 독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취재하고 보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