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21 ·
  • 씨네21 ·
  • 이코노미인사이트 ·
  • 하니누리
표지이야기

[나의 오래된 물건] 석유버너 불꽃에 추억이 이글이글

671
등록 : 2007-08-02 00:00 수정 :

크게 작게

▣ 조현영 대전시 서구 월평동

낚시를 좋아하시던 아버지를 따라서 한 살 위의 형과 네 살 아래인 동생, 가족 모두가 낚시터에서 취사할 때 사용하던 버너가 생각났다. 석유통은 황동이고 삼발이가 있던, 알코올로 예열을 하고 불이 붙으면 쉬~이 소리를 내던 버너. 지난해 이맘때 인터넷 카페를 검색하다가 버너 관련 카페에서 아버지가 쓰시던 버너를 보았다. 그 외에도 무수히 많은 종류의 버너를 발견했는데 20~30년에서 길게는 40~50년 된 것들이었다. 순간 묘한 향수를 느끼게 되었고, 그때부터 옛 석유 버너에 대해 흥미와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 다음날 작업실의 먼지를 털어가며 30여 년이 지난 아버지의 버너를 찾아 작동해봤지만 불을 붙일 수 없었다. 안타까웠다. 며칠에 걸쳐 구조를 파악하고 카페의 도움을 받아 석유를 붓고 불을 붙이니 어릴 적 보았던 파랗고 빨간 불꽃을 볼 수 있었다. 불꽃은 그 속에 빠지고 싶을 정도로 아름다웠다. 그 뒤 집사람의 핀잔을 들으며 하나둘 모은 버너가 이젠 20여 개, 정말 버너를 통해 지난 시간을 추억하고 아날로그의 향수를 사랑하는 사람들이라면 한 시절의 기억을 공유하는 데 힘을 다할 것이다.

버너의 역사도 알게 되었는데, 스웨덴의 옵티무스, 스베아, 오스트리아의 호에브스, 미국의 콜멘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명품들 속에서 여러 종류의 국산 버너들을 만나게 되었다. 그 종류와 수량이 가히 범세계적이라 해도 무방할 정도로 250여 종이나 됐다. 한국인이 태어나면서 가지고 있는 번득이는 아이디어와 세계적 손재주가 만들어낸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순수 예술작품은 아닐지 몰라도 그 당시 버너를 만들던 장인들은 분명 예술가였을 것이다. 조각가가 소조 작품을 브론즈(청동)로 완성하는 것과 같은 재료이어서 그럴까? 나는 더욱 애정이 간다.



좋은 언론을 향한 동행,
한겨레를 후원해 주세요
한겨레는 독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취재하고 보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