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지선 기자 sun21@hani.co.kr
“어릴 적부터 꿈꿔온 기자의 꿈을 이뤄 첫 단행본을 막 교정받은 소방방재 전문지 <119매거진>의 이대원 기자입니다. 아직 기자 일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아 하루에도 몇 번씩 실수를 하지만 제가 꿈꿔온 모습에 가까운 사람이 되기 위해 열심히 배우고 있습니다.” 이주의 정기독자에 도전한다며 보내온 메일에서는 이대원(29)씨의 순수함이 묻어났다. 꼭 1년 전, 한겨레 주주총회장에 갔다가 <한겨레21> 구독 신청도 했다는 그는 “경제적으로 무척 힘들 때여서 쉬운 결정은 아니었지만 지금 생각하면 내게 꼭 필요한, 올바른 선택이었다”고 자평했다. 급기야 “한동안은 괜히 지적으로 보이려고 다 읽은 <한겨레21>을 반으로 접어든 채 지하철을 타고 다녔다”는 고백까지!
그는 <한겨레21> 연재만화인 ‘대한민국 원주민’의 최규석 작가를 좋아한단다. “예전에 <습지생태보고서>를 친구에게 빌려보고는 감동을 받아서 최규석 작가님 홈페이지에 글을 남겼어요. 친히 답글로 ‘다음부턴 사서 보라’고 하시더라고요.” 그 ‘조언’ 덕분이었을까. 그는 매주 <한겨레21>을 통해 대한민국 원주민을 챙겨봤다.
2년 전 우연히 길윤형 기자를 만난 적이 있다는 그는 이후 <한겨레> 기자가 되고 싶다는 소망을 갖게 됐단다. “예전에 작은 잡지사에 기자로 들어갔다 경영진과의 마찰로 월급도 못 받고 그만두게 되었는데, 그날 인터넷 한겨레에 제가 블로그에 올린 글이 기사로 뜬 것을 보고 다시금 마음을 다잡았습니다. 열심히 노력해서 꼭 <한겨레21>의 기자가 되고 싶습니다.”
그런 그의 애정을 담은 제안 하나. “<한겨레21>은 젊은 층이 가장 선호하는 주간지니까 그들에 대한 시선을 강화했으면 좋겠어요. 청년실업 시대에 노력하는 젊은이들의 모습, 존경할 어른이 사라진 시대에 존경받아 마땅한 분과 같은 다양한 소재를 다뤄줬으면 좋겠네요.”
덧붙여 하나 더. “개봉동에 살던 옛 친구 김용규를 찾습니다. 아버지 건강이 좋지 않다는 이야기를 들은 직후에 연락이 끊겨 더 마음이 급하네요. 용규야! 이 기사 보면 나한테 연락 줘!”
이대원 기자
덧붙여 하나 더. “개봉동에 살던 옛 친구 김용규를 찾습니다. 아버지 건강이 좋지 않다는 이야기를 들은 직후에 연락이 끊겨 더 마음이 급하네요. 용규야! 이 기사 보면 나한테 연락 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