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21 ·
  • 씨네21 ·
  • 이코노미인사이트 ·
  • 하니누리
표지이야기

[나의오래된물건] 애호박 송송송, 할머니의 밥상

618
등록 : 2006-07-12 00:00 수정 :

크게 작게

▣ 기광희 서울시 강동구 명일동

보기만 해도 소박함이 묻어나는 이 상은 친정어머니의 혼수용품 중 하나였다. 그러니까 족히 50년은 된 듯하다. 지금은 상다리가 휘청거리고 상 둘레 칠이 벗겨져 초라해 보이지만, 내 어린 시절 추억이 가득 담긴 정겨운 밥상이다. 이 작은 밥상을 가운데에 두고 할아버지, 할머니, 엄마, 오빠와 나, 어쩔 땐 삼촌까지 모두 동그랗게 앉아서 밥을 먹을 수 있었다니 어떻게 그것이 가능할까 싶어 남편, 아이들과 함께 재연해보기도 하면서 웃었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할머니와 어머니는 상 아래 따로 밥을 두고 식사를 하셨던 것 같다.

추운 겨울엔 화로 위의 보글보글 끓는 된장찌개와 함께하던 밥상으로, 한여름엔 텃밭에서 방금 따온 고추와 가지무침, 오이, 호박잎 등 채소에 빙 둘러서 먹던 그 정겨운 저녁 밥상이다. 담장과 돼지 막사 지붕 위의 애호박을 따다가 송송 썰어넣고 할머니께서 콩가루를 넣어 방망이로 손수 밀어 만드신 칼국수. 매운 고추를 듬뿍 넣어 땀 흘리며 드시던 할아버지의 모습. 할머니는 간식이 없던 시절에 칼국수 끝자락을 뚝 떼어 아궁이에 던져 과자처럼 만들어주셨다. 별것 없이도 능숙하게 계절마다 한 상씩 차려내시던 할머니의 놀라운 솜씨가, 그 음식들이 이 상을 볼 때면 정말 그리워진다.


3년 전까지만 해도 할아버지 댁에선 이 밥상이 본연의 의무를 초라하지만 묵묵히 지켜가고 있었지만, 93살의 연세로 할아버지께서 우리 곁을 영원히 떠나신 뒤 오래된 화로와 밥상이 우리 아파트 거실로 이사오게 되었다. 차를 마시거나 신문을 읽거나 지금처럼 무엇을 쓸 때 이외에는 거실 한쪽에서 조용히 지난날을 추억하는 이 밥상이 어쩌면 시절을 서글퍼할는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어쩌겠는가. 사람이든 밥상이든 세월이 지나면 어쩔 수 없는 것을. 그저 지난 것들을 나도 밥상도 추억할밖에. 하늘에서 평안하실 할아버지, 할머니, 삼촌, 아버지. 그곳에서도 모두 모이셔서 그때 그날처럼 정겨운 식사를 하시는지요.


좋은 언론을 향한 동행,
한겨레를 후원해 주세요
한겨레는 독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취재하고 보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