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21 ·
  • 씨네21 ·
  • 이코노미인사이트 ·
  • 하니누리
표지이야기

[이주의정기독자] 선생님의 비밀은 스크랩

605
등록 : 2006-04-12 00:00 수정 :

크게 작게

▣ 김수현 기자 groove@hani.co.kr

이규태, 배국남, 봉준호…. 저마다의 분야에서 평균 이상의 반열에 오른 이 사람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답은 바로 자료 수집광이라는 데 있다. 필요한 정보가 눈에 띄는 족족 오리고 붙이고 끼워서 보관해둔다. 유일무이한 스크랩북이 인터넷 검색을 비웃으며 콘텐츠의 개성을 창조한다. 김익록(40)씨의 보관함에도 중학교 도덕교사에게 필요한 정보들이 잘 정리돼 있다. “교재 연구에 긴요하게 활용됩니다. <한겨레21>은 컬러 잡지라 신문보다 보기 좋아 스크랩물로서 가치가 높습니다.” 그는 현재 원주 대성중학교에서 교사로 근무 중이다.

12년간 한결같이 외길 구독을 한 것은 아니다. “창간 당시 한겨레신문사에서 만든 잡지이니 당연히 봐야겠다고 덥석 정기구독을 신청했습니다. 하지만 신문과 잡지의 기사 중복이 눈에 띄고 미처 읽지 못한 잡지가 쌓여가는 걸 보며 낭비를 없애야겠다 싶어 구독을 중단했습니다.” 그러다 우연히 옆자리 동료 교사의 <한겨레21>을 집어든 김익록씨. ‘아! 다시 구독해야겠다’는 맘이 절로 들었다. 그가 찾던 기사들이 <한겨레21> 안에 있었다.


“학생들에게 무엇을 가르쳐야 할지 힌트를 줍니다. 성적 소수자와 외국인 노동자들의 인권 문제, 반전평화와 생태환경을 둘러싼 운동들. 기사들을 자주 인용합니다. 주변에서 딴 말씀을 하시는 분들이 있긴 합니다. 그분들은 본능적으로 특정 당의 시각을 추종하면서 <한겨레21>의 시각이 편중됐다고 하는데 그건 내용을 모르고 하는 말입니다.” 편집장의 생각을 아는 게 잡지 읽기의 한 축을 이룬다고 판단한 요즘은 ‘만리재에서’를 제일 처음 본다.

“요즘 잡지의 감각이 젊어져서 좋습니다. 창간 시절 추구한 가치들이 트렌드에 밀리지 않도록 조심만 해주신다면 더 바랄 게 없습니다.” 또한 ‘염치’를 아는 기사를 많이 써줄 것을 주문한다. “새만금 판결이나 천성산 사태 등을 지켜보며 우리 사회가 점점 염치를 잃어버리는 게 아닌가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단순하게 생각해도 알 수 있는 옳고 그름을 외면하고 각자 이해관계에 따라 자의적으로 해석하고 주장합니다. 이를 바로잡는 기사를 꾸준히 써주십시오.”


좋은 언론을 향한 동행,
한겨레를 후원해 주세요
한겨레는 독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취재하고 보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