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21 ·
  • 씨네21 ·
  • 이코노미인사이트 ·
  • 하니누리
표지이야기

[이주의 정기독자] “고교생들에게 던져줍니다”

553
등록 : 2005-03-30 00:00 수정 :

크게 작게

▣ 김수현 기자 groove@hani.co.kr

그것은 ‘물물교환’이었다. 3년 전 어느 날, 선후배간이었던 <한겨레21>의 모 기자와 <문화일보>의 모 기자는 ‘정기구독 1년’을 맞거래하기로 협의했다. 그리고 세월이 흐른 지금, 여전히 <한겨레21>은 매주 그 집으로 찾아가고 있다. 결국 이 거래의 진정한 승자는 갑자기 정기구독을 시작한 남편을 지켜보며 3년의 세월을 지어 올려낸 박영미(32)씨였다. 고마운 독자다.

“인터넷으로 볼 수도 있지만, <한겨레21>의 기사를 아끼는 마음에서 재정적으로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싶었어요. 종이로 보는 게 읽기도 수월하고요.” 입시학원에서 국어강사로 논술을 지도할 때 가끔 활용한다. “아이들이 잘 이해하냐”는 질문에 “사실 보통의 고교생들은 사회에 별다른 관심이 없어요. 제가 가르치는 학원이 교육열이 높은 곳에 있지만, 그렇다고 사회에 대해서 고민을 하는 건 아니죠. 주로 ‘디지털 사기열전’ 같은 역사를 다룬 글이나 문화 기사를 보여주는데, 주제가 소화가 안 돼도 배경 지식과 어휘 실력을 갖추는 데엔 도움이 되지 않겠어요? 제가 한번 잔소리하면 아이들이 한번 생각을 해보는 거죠.”


얼마 전 표지로 다룬 고령화 사회 이야기가 남달랐단다. “주간지엔 기승전결과 전후 맥락이 있어 좋아요. 그리고 전 <한겨레21>이 세상에 접근하는 관점이 가장 편안하거든요. 그건 기본적인 철학에 동의하기 때문이 아닐까요. 직장인이 되면서 고민을 잘 못하니 <한겨레21>이 해답을 제시해주면 좋겠네요. 기사에서 대안이 없으면 얘기를 듣다 마는 것 같거든요.”

그리고 난이도를 조정해줄 것을 요청했다. “어른들에게도 어려운 기사들이 많아요. 아이들은 물론이고요. 주니어 <한겨레21>은 어떤가요. 역사나 철학, 여성, 환경 같은 주제들이 정리되면 좋겠어요. 쉽게 접근한 기사도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기사와 독자가 겉돌잖아요.”


좋은 언론을 향한 동행,
한겨레를 후원해 주세요
한겨레는 독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취재하고 보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