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21 ·
  • 씨네21 ·
  • 이코노미인사이트 ·
  • 하니누리
표지이야기

[이주의 정기독자] ‘배지’들의 동업자 의식 싫어~

542
등록 : 2005-01-06 00:00 수정 :

크게 작게

▣ 김수현 기자 groove@hani.co.kr

매주 진행하게 될 정기독자와의 만남, 설렘의 첫 상대는 프리랜서 비디오 저널리스트(VJ) 정강민(35)씨다. 그는 교육방송 프로그램 <일과 사람들>에서 다양한 직업의 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저도 6mm 카메라를 들고선 자연스럽게 포즈를 잡아보라고 사람들에게 꽤나 소리 질러봤지만, 막상 카메라 앞에 서니 얼굴이 확 굳네요.” 말문을 여는 그가 천연덕스러워 보인다. 한동안 한국방송의 아침 프로그램에서 시사 코너를 맡아 태풍 매미의 피해 현장부터 남북평화축전이 열린 제주도, 서울 여의도 국회까지 종횡무진 바쁘게 뛰어다녔다는 그는 말 그대로 ‘생생하게’ 산다.

“<한겨레21>은 빙 둘러 말하지 않아서 매력적이에요.” 그는 언론들이 더 과감해졌으면 좋겠다고 말한다. “방송물에서 한 정당을 30초 담으면, 다른 당도 30초 담아야 하죠. 기계적으로 편집하면서 양쪽의 부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그냥 양비론으로 끝내니 국민들의 정치 불신만 높아져요.” 그는 줏대 있는 정치물을 찍어보고 싶단다. 또 그는 TV토론에 대한 불만도 털어놓는다. “니 편 내 편 갈라서 나와선, ‘존경하는 의원님 말씀 잘 들었습니다’라며 암묵적으로 ‘우리 거기까지만 말하자’라고 선을 긋고 있으니 보는 국민들 답답하죠.” 다들 같은 ‘배지’라고 괜한 동업자 의식에 몸을 사리니 토론이 겉돈다고 비판한다.


“<한겨레21>에서 본격적인 대담을 진행해주면 안 될까요?” 장관·의원들로 대담의 양쪽 자리를 채우지 말고, 한쪽엔 ‘배지’를, 다른 쪽엔 시민이 앉아 끝장 토론을 해봤으면 좋겠단다. “전문가라는 사람들은 일반인들이 중언부언하고 생각도 정리가 안 된다고 말하는데, 제가 꽤 많은 사람들을 만나봤지만 누구나 평소 관심을 가진 사안들에 대해선 말씀들을 정말 잘하세요.”

인터뷰를 마친 뒤 국가보안법 폐지 찬성집회에 갈 예정이란다. “중요한 사안엔 당 구분 없이 참여하곤 합니다. 그리고 민주노동당원들만 한다고 생각하시는데, 열린우리당원인 저도 열심히 ‘생활정치’를 하고 있습니다. ‘열린 동작’분들과 2005년을 힘차게 보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언론을 향한 동행,
한겨레를 후원해 주세요
한겨레는 독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취재하고 보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