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21 ·
  • 씨네21 ·
  • 이코노미인사이트 ·
  • 하니누리
표지이야기

499호를 보고

500
등록 : 2004-03-11 00:00 수정 :

크게 작게

서민 위한 부동산 대책을

지난해 10·29 부동산 대책이 발표된 이후 집값이 안정돼, 아직 내 집이 없는 사람으로서 참 반가웠다. 열심히만 모으면 내 집을 가질 수 있을 것 같았다. 요즘 조금 오른다고는 하지만 이도 계절적 요인인 것 같고 부동산값이 점차 가라앉는 듯했다. 그런데 ‘10·29 부동산 대책 흔들리나’ 기사를 보니 꼭 그런 것 같지 않아 화가 난다. 정부 관료들이 아직 시작도 안 된 정책을 두고 내수경기 위축을 빌미 삼아 이러쿵저러쿵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 솔직히 없는 사람은 부동산 대책이 엄격해지든 말든 상관없고 돈 있는 사람들이 투기 못할까봐 세금이 무거워지면 트집 잡는 것 아닌가. 우리나라의 정책들은 돈 있고 힘있는 사람들 위주였다. 이제는 그런 사람들의 변명으로 인해 또다시 서민들의 가슴에 피멍 드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다. -황정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

브릭스를 주목하라

브릭스 관련 특집기사를 읽었다. 브릭스의 눈부신 발전상뿐만 아니라 간과하기 쉬운 어두운 면도 함께 제시한 점이 무척 좋았다. 분명 브릭스의 부상은 우리에겐 위기이자 동시에 기회임이 틀림없다. 브릭스가 우리보다 유리한 경쟁 조건을 발판으로 삼아 날로 격화되는 세계 무역시장에서 우리의 입지를 더욱 좁힐 수 있지만, 우리가 비교우위를 잃지 않는 한 그들이 곧 우리의 신흥 거대시장이 될 수 있는 매력을 충분히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현재 극심한 내수침체의 늪에 빠진 우리 경제가 수출에서 활력을 찾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믿는다. 우리 경제는 앞으로도 브릭스를 예의주시해야 할 것 같다. -손영태/ 부산시 동래구 안락동


후련하게 파헤친 중국의 모순

‘오귀환의 디지털 사기열전’의 열독자이다. <한겨레21>의 다른 연재기사도 좋지만 특히 이 기사는 세상을 보는 여러 관점들과 눈여겨보아야 할 대상들을 소개하고 알려주는 점이 마음에 든다. 요즘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한 국내의 관심이 높아지는 시점에서 ‘고구려 시리즈’를 게재하여 더 관심 있게 보는데, 이번주의 ‘영웅 악비를 폄하하지 말라’는 동북공정을 비롯해 중국 정부 당국에 의해 주도면밀하고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이 현재의 중국 사회에서 허울 좋은 이데올로기로 전락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악비에 대한 중국 정부의 재해석이 현재 중국 대다수를 이루는 한족들의 동의마저 끌어내지 못하는 사례를 제시해 문제의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이 자가당착의 논리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명확히 드러냈다. 민족, 그리고 역사 공동체는 인위적으로 이루어지기가 힘든데 이를 애써 무시하는 중국 당국에 냉소를 거둘 수 없다. 중국 정부 당국의 논리에 문제가 많음을 가르쳐주면서 통괘함과 후련함을 주었다. 앞으로도 훌륭한 기사를 기대하겠다. -반필선/ 부산시 동래구 명륜동

젊은이들이여 투표하자

총선이 다가오면서 각종 언론매체에서 선거에 관련된 여론조사를 실시하여 발표하는 것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젊은이들의 투표에 대한 무관심은 여전히 높았다. 그래서 선거일에 나들이 떠나는 행렬이 9시 뉴스를 장식하기도 한다. 공산주의 국가가 아니기 때문에 강제적으로 투표에 참여하게 할 수는 없다. 하지만 주어진 의무를 다하지 않은 채 자신의 권리가 침해되었을 때만 정치권을 맹렬히 비난하기 전에 먼저 투표권을 행사하라고 말하고 싶다. 극도의 불신과 실망감을 안겨준 16대 국회였지만 이는 우리의 손으로 선택한 것이 아니었나. 투표권을 제대로 행사하기 위해 각 정당의 정강정책 등을 꼼꼼히 살펴보고, 여러 시민단체에서 유권자들에게 제공하는 정당별·후보자별 자료들을 면밀히 검토해보길 바란다. 그리고 각자가 판단하여 투표일에 국민의 의무이자 권리인 투표권을 행사하자. 한 일간지에 따르면 젊은 유권자의 약 50%가 투표를 하지 않겠다고 답변했다. 부끄럽고 창피한 일이다. 젊은 층에겐 장년층 이상에서 나오는 경험과 관록은 없지만 정당과 후보자를 순수하게 보고 상대적으로 깨끗하게 정직한 표를 행사할 수 있다고 본다. 앞으로 이 나라를 이끌어가야 할 젊은이들이 투표에 참여하지 않는다면 나라의 미래는 한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상황으로 될 것이다. 국민들이 자신에게 주어진 의무를 제대로 행사하고, 또 그런 사람들이 우리 대한민국에서 다수가 될 때 경제성장도 가능할 것이다. 대한민국 국민들의 저력을 믿는다. -김대명/ 전북 전주시 덕진구 금암동

[독자만화]

이성렬 ddiry@hanmail.net


☞ 독자 여러분의 의견, 만평, 사진을 기다립니다. 이름·주소·전화번호와 함께 담당자 앞으로 보내주십시오. 채택되신 분께는 3만원 상당의 문화상품권을 드립니다.

- 이메일: groove@hani.co.kr
- 팩스: (02)710-0510
- 우편: (우)121-750 서울시 마포구 공덕동 116-25 한겨레신문사 <한겨레21> ‘독자와 함께’ 담당자 앞



좋은 언론을 향한 동행,
한겨레를 후원해 주세요
한겨레는 독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취재하고 보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