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21 ·
  • 씨네21 ·
  • 이코노미인사이트 ·
  • 하니누리
표지이야기

시·산문·그림·만화 10월31일까지

422
등록 : 2002-08-14 00:00 수정 :

크게 작게

두나라 각각 96명 수상… 수상작엔 상금·상패와 푸짐한 도서상품

‘한-베 어린이 문예대회’가 내건 ‘평화랑 뽀뽀해요’라는 큰 주제는 폭이 넓다. ‘전쟁과 평화’, ‘베트남 친구를 만난다면’, ‘미래의 한국과 베트남’, ‘이웃나라와 친구하기’ 등 여러 가지를 작은 주제로 삼을 수 있다. ‘평화랑 뽀뽀해요’라는 큰 주제와 부합되는 어떤 작품도 상관없다는 뜻이다. 이번 대회가 ‘베트남 친구들과 함께하는 어린이 문예대회’니만큼, 이러한 특성을 감안하면 된다.

또한 반드시 ‘베트남전 민간인학살’에 초점을 맞출 필요도 없다. <한겨레21>이 99년부터 해온 베트남 캠페인의 핵심주제는 ‘학살’이었지만, 이번 문예대회는 ‘학살’을 포함한 모든 소재를 망라하는 미래지향적 행사다. 베트남전에서 다치고 돌아온 참전군인 할아버지의 아픔을 형상화한다고 해도 아무 문제가 되지 않는다. 중요한 것은 솜씨이자 상상력이다. 교사들과 학부모들은 이 점을 잘 숙지해 어린이들을 독려해주기 바란다.

이번 대회는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1∼6학년 학생이면 누구나 응모가 가능하다. 베트남에선 푸옌성 인민위원회와 문화통신청이 정한 규정에 따라 성 내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1∼5학년 학생이 참여할 수 있다. 베트남의 경우엔 한국처럼 우편접수를 받을지, 아니면 백일장 행사를 가질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대회는 시·산문, 그림, 만화 등 4개 부문으로 나뉘어 실시된다. 시의 분량은 자유이되 반드시 2편이상을 보내야 하며, 산문은 200자 원고지 기준 6매 안팎(A4용지 1매)이면 된다. 그림은 4절(375mm×535mm) 도화지에 크레파스나 붓으로 그리면 된다. 만화 역시 4절 종이에 자유형식으로 그리면 되겠다. 응모 마감은 2002년 10월31일이며 이 날짜까지 우편물이 도착해야 한다. 작품은 우편번호 121-750 서울시 마포구 공덕동 116-25 한겨레신문사 5층 <한겨레21> 문예대회 담당자 앞(우편번호 121-750)으로 보내면 된다. 우편물 상단에 ‘문예대회 응모작’ OO부문이라고 명기해야 한다. 또한 이름과 소속학교, 학년·반, 보호자 성명, 주소, 집 전화번호를 정확히 적고 작품제목을 정해넣어야 한다. 학교나 가족 단위의 단체응모도 환영한다. 한 학생이 두개 이상의 부문에 응모하거나 각 부문에서 작품을 여러개 보내는 것도 가능하다. 제출된 작품은 돌려주지 않는다.

한국 학생들의 응모가 마감되면 예선과 본심 등 엄정한 심사를 거쳐 시·산문·그림·만화 4개 부문별 대상 1명과 우수상 3명, 장려상 20명을 선발한다. 각 부문 대상 1명(총 4명)에겐 상패 및 상금 30만원과 25만∼30만원 상당의 도서상품, 각 부문 우수상 3명(총 12명)에겐 상패 및 상금 10만원과 12만∼16만원 상당의 도서상품, 각 부문 장려상 20명(총 80명)에겐 상장 및 6만∼10만원 상당의 도서상품이 주어진다. 시는 사계절출판사, 산문은 창작과비평사, 그림은 보리출판사, 만화는 푸른숲출판사가 도서상품 협찬을 맡았다(아래 참조).


베트남쪽의 경우 각 부문 대상1명(총 4명)에 상패 및 상금 100만동(10만원 상당)과 VCD1대, 각 부문 우수상 3명(총12명)엔 상패 및 상금 80만동(8만원 상당)과 카메라 1대, 각 부문 장려상 20명(총80명)에겐 상장 및 학용품이 수여된다(구체적 금액은 변동될 수 있음). 베트남 학생들에 대한 상품은 한국과 베트남의 합작기업인 삼성비나가 협찬했다.

수상작은 11월 중에 발행되는 <한겨레21>을 통해 발표되고 주요 작품은 <한겨레21> 지면에 실린다. 더불어 ‘한-베 평화공원’ 준공식장에도 전시된다.

베트남전 관련자료는 인터넷에서 <한겨레21> 기사모음을 참고하면 되겠다(http://www.hani.co.kr/h21/vietnam/vietnam.html, 문의 02-7100-504,k21@hani.co.kr).

>>>출판사 협찬내역

  • 사계절출판사(시 부문)

    대상 1명(<역사신문> 6권, <세계사신문> 6권, <한국생활사박물관> 시리즈 5권, <남북어린이가 함께 보는 전래동화>)

    우수상 3명(<한국생활사박물관> 시리즈 5권, <역사신문> 6권)

    장려상 20명(<남북어린이가 함께 보는 전래동화> 10권)

  • 창작과비평사(산문 부문)

    대상 1명(창비아동문고 50권)

    우수상 1명(창비아동문고 10권, <신나는 책읽기> 6권)

    장려상 20명(창비아동문고 10권)

  • 보리출판사(그림 부문)

    대상 1명(식물도감·동물도감·나무도감·곤충도감 각 1권, 보리어린이세트 11권)

    우수상 3명(겨레아동문학선집 10권, 보리어린이세트 11권)

    장려상 20명(보리어린이세트 11권)

  • 푸른숲출판사(만화 부문)

    대상 1명(<세계어린이와 함께 배우는 시민학교> 5권, 푸른숲작은나무 시리즈 7권, <세계명화로 보는 그리스로마신화>, <세계명화와 함께하는 역사이야기>, <구석구석 세계사 탐험>, <한반도 30억년의 비밀> 3권, 닭고기스프 시리즈 3권, <아름답고 슬픈 야생동물이야기>, <바람의 딸 우리땅에 서다>, <중국견문록>, <봉순이언니>)

    우수상 3명(<세계어린이와 함께 배우는 시민학교> 5권, 푸른숲작은나무 시리즈 7권, <세계명화로 보는 그리스로마신화>, <세계명화와 함께하는 역사이야기>, <구석구석 세계사 탐험>)

    장려상 20명(<세계어린이와 함께 배우는 시민학교> 5권, <세계명화로 보는 그리스로마신화>, <세계명화와 함께하는 역사이야기>)


  • 좋은 언론을 향한 동행,
    한겨레를 후원해 주세요
    한겨레는 독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취재하고 보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