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21 ·
  • 씨네21 ·
  • 이코노미인사이트 ·
  • 하니누리
표지이야기

[야스쿠니 캠페인] 이희자와 후루가와의 야스쿠니

662
등록 : 2007-05-31 00:00 수정 :

크게 작게

진통 끝에 탄생한 다큐멘터리 <안녕, 사요나라>, 지난주 DVD로도 선보여

▣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

“그게 아마 2004년 10월이었죠?” <안녕, 사요나라>의 제작 과정을 설명하며 김태일 감독이 말했다. “젊은 세대들에게 야스쿠니신사가 오늘날 동아시아인들에게 의미하는 게 뭔지 알려줄 수 있는 교재가 필요하다는 데 한-일 두 나라 사람들의 의견이 모아졌던 것 같아요.” 일본 재한군인군속재판지원회에서 활동하고 있던 일본인 후루가와 마사키의 제안에 해방 60년, 한-일 국교 정상화 40년째를 맞아 비슷한 사업계획을 고민하던 민족문제연구소와 태평양전쟁보상추진협의회가 뜻을 같이하면서 동아시아의 평화를 가로막는 야스쿠니신사의 본질을 캐묻는 기록영화 <안녕, 사요나라> 제작 작업이 시작됐다. 김은식 태평양전쟁보상추진협의회 사무국장은 “젊은 사람들이 봐야 하니까 글보다는 영상물이, 극영화보다는 제작이 간편한 다규멘터리가 좋다는 데 두 나라 사람들의 의견이 일치됐다”고 말했다.

한·일 두 나라 젊은이들에게 야스쿠니신사의 의미를 알리기 위한 다큐멘터리 영화 <안녕, 사요나라>의 DVD 작업이 끝났다. 민족문제연구소에서 구입할 수 있다(왼쪽은 영화의 한 장면).


섭외부터 한-일간 의견 차이

제작 방침이 정해지자 제작진과 극의 흐름을 이끌어나갈 주인공 선정 작업이 시작됐다. 한국 쪽에서는 독립영화 감독으로 민족문제연구소와 꾸준히 관계를 맺어온 김태일 감독이, 일본 쪽에서는 2001년 6월29일 시작된 야스쿠니신사 합사 취하소송 과정을 꾸준히 화면에 담아온 일본의 진보적인 영상제작단체 스피리통(SPIRITON)의 가토 구미코 감독이 작업을 맡기로 했다. 작품 제목은 불행한 과거에 ‘사요나라’(작별)를 고하고, 새로운 미래를 ‘안녕’으로 반긴다는 의미에서 <안녕, 사요나라>로 정해졌다.

다음 작업은 주인공 선정이었다. 한국 쪽 주인공은 아버지가 야스쿠니신사에 합사돼 있는 이희자 태평양전쟁보상추진협의회장으로 하자는 데 양쪽 의견이 일치했다. 문제는 일본 쪽 주인공이었다. 초기 단계부터 한국과 일본 제작진들은 첨예한 의견 대립을 빚기 시작한다.

애초 일본 쪽 의견은 “일본에도 이희자씨와 같은 피해자를 섭외해 양쪽의 고통을 비교해보자는 것”이었다. 한국 쪽에서는 “그렇게 되면 비슷한 얘기가 겹치고 희망적인 미래의 얘기를 담는 게 어렵다”고 반대했다. 결국, 전쟁을 겪지 않은 젊은 세대를 일본 쪽 주인공으로 뽑자는 데까지 이견이 좁혀졌다. 다음 문제는 섭외였다. 한국 쪽은 재한군인군속재판지원회에서 활동하는 후루가와 마사키가 좋다는 의견이었지만, 일본 쪽은 “그렇게 되면 운동단체의 자기 홍보의 장이 되고 만다”며 반대했다. 두 나라 제작진 사이에서는 싸늘한 냉기가 돌았다.

김태일 감독은 “주인공과 스토리 라인을 확정하지 못한 상태에서 시간이 흘러 초조감이 극에 달했다”고 말했다. 작품은 애초 8월15일에 맞춰 한국과 일본 두 나라에서 동시 상영하기로 예정돼 있었다. 그 일정을 맞추려면 늦어도 3월까지는 스토리 라인이 완성돼야 하고, 6월까지는 촬영이 끝나야 했다. 시간은 흘러 4월 중순을 넘기고 있었고, 대안이 없었던 일본 쪽의 양보로 후루가와의 출연이 확정됐다.

극은 한국의 이희자씨와 일본의 후루가와가 지금까지 살아온 여정을 설명하는 독백으로 시작된다. 이씨는 1943년 1월 경기도 강화에서 태어났다. 이듬해 그의 아버지 이사현씨는 일본 육군 군속으로 징용돼 1945년 중국의 계림 근처에서 부상을 당한 뒤 병사했다. 그와 모친은 부친의 사망 소식을 전달받지 못했다. 결혼해 아이를 키운 뒤 피해자단체 활동을 시작해 1992년 부친의 사망 기록을 확인하게 된다. 야스쿠니신사 합사 사실을 알게 된 것은 그로부터 다시 5년이 흐른 1997년이다.

1963년생인 후루가와는 1987년 오키나와 가데나 기지 포위행동에 참가하면서 사회운동에 눈을 뜨게 된다. 1995년 고베 대지진 때 시민들을 고려하지 않는 고베 시정을 비판하다 다른 부서로 전직됐다. 둘이 첫 대면을 한 것은 고베 대지진으로 일본 열도가 충격에 빠졌던 1995년이다. 이희자씨는 “일본 사람들이 그만큼 나쁜 일을 저질렀으니 그런 일을 당해도 어쩔 수 없다는 생각이었다”고 말했다. 후루가와는 “그를 그렇게 분노하게 만든 것은 무엇이었을까” 고민에 빠진다. 둘 사이에는 한두 마디 위로의 말로 메울 수 없는 절망적 간극이 있었다.

영화에 담기지 않은 인터뷰 장면도

제작진도 마찬가지였다. 목적은 같았지만 방법을 두고 크고 작은 갈등이 끊이지 않았다. 둘은 쉽게 마음을 모으지 못했다. 애초 계획은 일본 쪽 영상은 일본에서, 한국 쪽 영상은 한국에서 만든다는 것이었지만 의사소통이 안 되는 상태에서 작업은 방향을 잃었다. 한국은 큰 틀에 맞으면 작은 문제는 그냥 감수하며 넘어가는 데 견줘, 일본은 세부적인 부분까지 명확히 납득할 수 있어야 일이 진행됐다. 갈등이 폭발하기 직전에 한국과 일본 두 나라 제작진은 모든 작업을 한데 뭉쳐 해나가기로 결정했다. 10여 명의 팀이 한국~일본~중국~오키나와를 오가야 했고 그 탓에 애초 4천만원 정도로 예상했던 제작비는 2억5천만원으로 껑충 뛰고 만다. 그 돈을 부담한 것은 한국에서는 민족문제연구소였고, 일본에서는 영화 제작에 찬성하는 시민들이었다.

작업은 한 발짝씩 앞으로 나아갈 수 있었다. 6월 말 정도에 촬영이 끝났고 편집이 시작됐다. 한국어·일본어·중국어·영어가 뒤섞인 필름 테이프 200여 개가 제작진 앞을 가로막고 있었다. 두 나라 번역 자원봉사자들이 대거 투입됐다. 상영 전날인 8월14일까지 밤을 꼬박 새워야 했고, 아침까지 작업을 추가해 가편집본을 들고 상영회 날짜를 맞출 수 있었다. 한국에서는 국회 의원회관, 일본에서는 도쿄, 오키나와 두 군데에서 상영이 시작됐다. 사람들의 반응은 뜨거웠고, 영화는 2005년 10회 부산국제영화제 와이드앵글 운파펀드상을 받기에 이른다.

영화에는 한-일 두 나라 피해자들과 진보세력의 목소리뿐 아니라, 일본 우익들의 목소리도 날것 그대로 숨쉬고 있다. <안녕, 사요나라>의 DVD판은 2년 가까운 후속 작업 끝에 지난 5월25일 완성됐다. 값은 3만8천원(우송료 포함 4만원)으로 정해졌고, 민족문제연구소(02-969-0226)를 통해 구입할 수 있다. 한국어·일본어·중국어·영어 자막을 선택해 볼 수 있고, 영화에는 담기지 않은 한-일 두 나라 전문가들의 귀중한 인터뷰 장면도 만날 수 있다.


[야스쿠니신사 합사 피해자 돕기]
할아버지들의 영혼을 찾아옵시다

11,239,000원

5월25일 현재 모금액 1123만9천원

한국과 일본은 가깝고도 먼 나라라고 합니다. 야스쿠니신사에 억눌려 있는 2만1천여 명의 할아버지들의 사연을 화면에 담으려 했던 <안녕, 사요나라> 제작팀은 크고 작은 의견 차이로 마음고생이 심했습니다. 답답해진 양쪽은 눈을 마주치고, 얼굴을 마주 보고, 대화하고, 설득하고, 설득당하면서 한발씩 앞으로 나아갈 수 있었습니다. 영화는 완성됐지만, 할아버지들의 영혼을 돌려받기 위한 소송은 지고 말았습니다. 한-일 두 나라의 활동가들은 또 하나의 힘겨운 소송을 진행하려 합니다.

그동안 일본 정부에 전쟁 책임을 묻기 위한 소송은 일본 시민단체들의 자발적인 모금에 의존해왔습니다. 이제는 우리 힘으로 야스쿠니신사에 갇혀 있는 할아버지들의 원혼을 모셔와야 합니다. <한겨레21>과 민족문제연구소는 우리가 모아낸 작은 정성들이 하루가 다르게 우경화로 치닫는 일본 사회에 둔중하고 의미 있는 충격을 줄 수 있을 것이라 믿습니다. 독자 여러분, 작은 정성을 모아주세요.

계좌이체 우리은행 1006-401-235747, 예금주 야스쿠니반대공동행동
ARS 060-707-1945·한 통화 3천원
주관민족문제연구소, ‘노합사(NO 合祀)’, <한겨레21>
문의 민족문제연구소(02-969-0226), 홈페이지 야스쿠니반대공동행동 한국위원회(www.anti-yasukuni.org), 서울시 동대문구 청량리동 38-29 금은빌딩 3층(우편번호 130-866)

모금자 명단

권은정(5천원) 김재윤(1만원) 윤창수(1만원) 김덕진(2만원) 윤철희(10만원) 이상의(2만원) 조기현(3만원) 강병문(10만원) 박현주(10만원) 김미숙(3만원) 홍소연(10만원) 전종철(2만원) 조명숙(3만원)

*그 밖에 ARS로 21명이 힘을 모아주셨습니다.



좋은 언론을 향한 동행,
한겨레를 후원해 주세요
한겨레는 독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취재하고 보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