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포럼 공동 참석에 이어 전직 대통령 참여하는 동북아평화회의 구상도 거론
노무현 대통령 진영과 김대중 전 대통령 진영 사이에 ‘관계 복원’을 향한 의미 있는 응수타진이 오가고 있다.
노 대통령과 가까운 이해찬 의원(열린우리당)은 12월 초 임동원 전 통일부 장관과 만나 장시간 깊은 대화를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서 이 의원은 “전직 대통령이 자신의 경륜을 퇴임 뒤에도 펼쳐 나라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며 동북아평화회의를 창설하자는 구상을 꺼내보였다.
이해찬-임동원, 총선 뒤 추진에 공감
구상의 요지는 동북아시아의 전직 정상들과 산·관·학계의 유수 지도자들이 참여하는 포럼 형태의 기구를 만들되 김 전 대통령이 의장을 맡도록 하는 방향이라고 한다. 김 전 대통령이 한때 아태평화재단을 통해 국제사회의 지도자로 활동하길 희망했던 ‘퇴임 뒤 구상’의 연장선에 선 아이디어인 셈이다. 김 전 대통령의 희망은 그 뒤 두 아들 비리에 아태재단 관계자들이 휩쓸린 가운데 아태재단을 연세대에 기부(현재 김대중 도서관으로 전환)하면서 제동이 걸린 상태다. 이 의원은 임 전 장관에게 노 대통령과 김 전 대통령에게 각기 뜻을 건의해 성사시켜보자고 제안했으며, 임 전 장관도 원칙적으로 공감을 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총선을 앞둔 상황에서 ‘속보인다’는 시선을 받을 수 있으니 본격적인 추진 시점은 총선 뒤가 좋겠다는 선에서 두 사람은 이야기를 나눴다고 한다. 이 구상은 여러 측면에서 성사 가능성이 제법 높아 보인다. 당장 12월14일부터 16일까지 서울에서 외교통상부 주최로 열린 동아시아포럼(EAF) 창립총회에 노 대통령과 김 전 대통령이 나란히 참석해 기조연설을 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동아시아포럼은 동아시아 13개국 산·관·학계 대표가 참석하는 포괄적 성격의 포럼으로, 1998년 아세안+3 정상회의(캄보디아)에서 김대중 당시 대통령이 창설하자고 제안한 바 있다. 노 대통령이 이번 창립총회에 흔연히 참석한 것도 김 전 대통령의 이런 뜻을 존중한 결과라고 한다. 이번 총회에는 마하티르 전 말레이시아 총리, 보 반 키엣 전 베트남 총리, 하타 쓰토무 전 일본 총리 등도 참석해 ‘동아시아 공동체-공동 비전을 찾아서’라는 주제로 각각 연설했다. 김 전 대통령쪽, 근본적인 ‘뭔가’ 기대? 특히 열린우리당쪽에선 대북송금 특검 수용을 계기로 맺힌 노 대통령과 김 전 대통령쪽의 응어리를 치유했으면 하는 희망이 갈수록 강해지고 있다. 동교동 비서 출신인 배기선 의원(열린우리당)은 12월13일 ‘김 대통령 노벨평화상 수상 3주년 기념강연’에서 “노 대통령은 6·15 정상회담의 의미를 높이 평가하면서 햇볕정책 계승 발전의 의지를 명확히 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김 전 대통령도 ‘노 대통령의 한반도 평화와 남북간 협력증진 정책이 더욱 성공하도록 격려하고 지원해야겠다’며 참여정부의 평화번영 정책에 대한 지지를 공개적으로 천명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김 전 대통령쪽이 이런 흐름을 일단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면서도 좀더 근본적인 ‘뭔가’를 기대하는 정서가 강하다는 점도 주목해야 할 것 같다. 김 전 대통령의 의중에 정통한 민주당의 한 핵심인사는 최근 기자에게 “노 대통령이 최근 이런저런 자리에서 김 전 대통령을 높이 평가하는 것은 그리 나쁘지 않은 일”이라고 반응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노 대통령이 김 전 대통령과의 관계를 복원하길 희망한다면 특검 수용이 빚은 결과에 대한 ‘진솔한 소회 표명’ 등 근본적인 자세 전환이 필요할 듯하다”고 말했다. 박창식 기자 cspcsp@hani.co.kr

사진/ 지난 12월15일 김대중 전 대통령이 참석한 동아시아포럼 창립총회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는 노무현 대통령.(청와대사진기자단)
구상의 요지는 동북아시아의 전직 정상들과 산·관·학계의 유수 지도자들이 참여하는 포럼 형태의 기구를 만들되 김 전 대통령이 의장을 맡도록 하는 방향이라고 한다. 김 전 대통령이 한때 아태평화재단을 통해 국제사회의 지도자로 활동하길 희망했던 ‘퇴임 뒤 구상’의 연장선에 선 아이디어인 셈이다. 김 전 대통령의 희망은 그 뒤 두 아들 비리에 아태재단 관계자들이 휩쓸린 가운데 아태재단을 연세대에 기부(현재 김대중 도서관으로 전환)하면서 제동이 걸린 상태다. 이 의원은 임 전 장관에게 노 대통령과 김 전 대통령에게 각기 뜻을 건의해 성사시켜보자고 제안했으며, 임 전 장관도 원칙적으로 공감을 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총선을 앞둔 상황에서 ‘속보인다’는 시선을 받을 수 있으니 본격적인 추진 시점은 총선 뒤가 좋겠다는 선에서 두 사람은 이야기를 나눴다고 한다. 이 구상은 여러 측면에서 성사 가능성이 제법 높아 보인다. 당장 12월14일부터 16일까지 서울에서 외교통상부 주최로 열린 동아시아포럼(EAF) 창립총회에 노 대통령과 김 전 대통령이 나란히 참석해 기조연설을 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동아시아포럼은 동아시아 13개국 산·관·학계 대표가 참석하는 포괄적 성격의 포럼으로, 1998년 아세안+3 정상회의(캄보디아)에서 김대중 당시 대통령이 창설하자고 제안한 바 있다. 노 대통령이 이번 창립총회에 흔연히 참석한 것도 김 전 대통령의 이런 뜻을 존중한 결과라고 한다. 이번 총회에는 마하티르 전 말레이시아 총리, 보 반 키엣 전 베트남 총리, 하타 쓰토무 전 일본 총리 등도 참석해 ‘동아시아 공동체-공동 비전을 찾아서’라는 주제로 각각 연설했다. 김 전 대통령쪽, 근본적인 ‘뭔가’ 기대? 특히 열린우리당쪽에선 대북송금 특검 수용을 계기로 맺힌 노 대통령과 김 전 대통령쪽의 응어리를 치유했으면 하는 희망이 갈수록 강해지고 있다. 동교동 비서 출신인 배기선 의원(열린우리당)은 12월13일 ‘김 대통령 노벨평화상 수상 3주년 기념강연’에서 “노 대통령은 6·15 정상회담의 의미를 높이 평가하면서 햇볕정책 계승 발전의 의지를 명확히 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김 전 대통령도 ‘노 대통령의 한반도 평화와 남북간 협력증진 정책이 더욱 성공하도록 격려하고 지원해야겠다’며 참여정부의 평화번영 정책에 대한 지지를 공개적으로 천명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김 전 대통령쪽이 이런 흐름을 일단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면서도 좀더 근본적인 ‘뭔가’를 기대하는 정서가 강하다는 점도 주목해야 할 것 같다. 김 전 대통령의 의중에 정통한 민주당의 한 핵심인사는 최근 기자에게 “노 대통령이 최근 이런저런 자리에서 김 전 대통령을 높이 평가하는 것은 그리 나쁘지 않은 일”이라고 반응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노 대통령이 김 전 대통령과의 관계를 복원하길 희망한다면 특검 수용이 빚은 결과에 대한 ‘진솔한 소회 표명’ 등 근본적인 자세 전환이 필요할 듯하다”고 말했다. 박창식 기자 cspcsp@hani.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