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정당사(史)에서는 분열 세력이 대체로 성공하지 못했다. 지지세력의 분열이 패배로 이어졌다.
대표적인 사례가 1987년 대선이다. 김영삼·김대중 전 대통령은 당시 후보단일화에 실패한 뒤 각각 통일민주당과 평화민주당 후보로 출마했다. 이들이 선거에 실패함으로써 군사독재정권에 합법성을 부여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1995년 지방선거 결과는 집권여당의 분열 사례로 꼽을 수 있다. 1990년 3당합당으로 거대여당이 탄생했으나, 95년 3월 그 한 축이던 김종필 전 총리가 자유민주연합을 창당한 뒤 치러진 지방선거에서 민자당이 참패했다. 자민련이 대전·충남·충북·강원 등 네곳의 광역단체장을 차지했고, 서울도 조순 민주당 시장이 당선됐다.
이듬해 총선은 정계를 은퇴했던 김 전 대통령이 국민회의를 창당하면서 야권이 분열된 상태에서 치러졌다. 총선 뒤 국민회의는 65석에서 79석으로 늘긴 했으나, 야당 성향이 강한 서울에서 정대철·한광옥·조세형·이종찬 의원 등 야당 중진들이 줄줄이 낙선했다. 전국구 14번에 등록된 당시 김대중 총재도 원외에 머물게 됐다. 신한국당은 서울 47석 가운데 27석을 얻었고, 전체 의석의 46.5%(299석 중 139석)를 차지했다. 이기택 총재의 민주당은 30석에서 15석으로 줄었다.
실패한 사례만 있는 것은 아니다. ‘민정당 2중대’라고 비판받던 민한당에서 탈당해 김영삼·김대중 민추협 공동의장 주도로 만들어진 신민당은, 1985년 2·12 총선에서 제1야당으로 부상했다. 선거 뒤 민한당 등의 의원들이 개별 입당해 102석을 차지해 야당 사상 처음으로 100석을 넘겼다. 신민당은 이후 대통령 직선제 개헌 등 반독재 투쟁을 강화하게 된다.
이런 과거 사례는, ‘분열=패배’일 가능성이 크지만 어떤 분열이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즉, 지지자들이 고개를 끄덕일 만한 ‘명분’이 있을 때, 표가 분산되지 않는 것이다. ‘2·12 돌풍’이 강력한 반독재 민주화 투쟁이라는 명분이 있었던 반면, 김대중 전 대통령의 정계은퇴 번복과 국민회의 창당으로 인한 야권의 분열은 설득력이 부족했던 것이다.
국민참여통합신당이 내건 정치개혁과 지역구도 극복이라는 명분이, 분당 이전 민주당 지지자들의 공감을 끌어내 돌풍을 일으킬지 아니면 지지세력의 분열로 인한 참패로 이어질지 지켜볼 일이다.
김보협 기자 bhkim@hani.co.kr

사진/ 정치권에서 신당 창당은 우여곡절을 겪게 마련이다. 지난 1995년 민주당 영남지역 지구당 위원장들이 당시 김대중 아태재단 이사장의 신당 창당작업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보협 기자 bhkim@hani.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