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29일 결정되는 신당파와 잔류파의 행보… 연말까지 양쪽의 ‘선명성 경쟁’이 불가피
떠나는 자와 남는 자. 민주당 의원 대부분이 실존적인 고민에 빠져 있다. 극적인 반전이 없는 한, 수개월째 끌어온 민주당의 신당 논의가 9월20일 ‘갈라짐’으로 결론날 전망이다. 신당파와 잔류파 모두 ‘재앙’이라고 규정한 분당 사태가 현실로 나타나는 것이다.
50명 이상? 30명 안팎?
이번 탈당 규모에 대해서는 양쪽의 전망이 엇갈린다. 신당파는 “40명 남짓”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신당주비위(위원장 김원기 의원)에 참여하고 있는 의원이 43명(비례대표 7명 포함). 36명인 지역구 의원 대부분은 지난 4일 주비위 발족식 때 김 위원장에게 탈당서를 제출한 상태다. 18일 주비위 전체모임에서 최종 취합할 경우 40명을 넘길 수 있고, 여기에 탈당 의사를 밝힌 전국구 의원까지 포함하면 신당행 의원이 50명을 넘길 것이라고 자신하고 있다.
잔류파쪽의 셈법은 좀 다르다. 탈당 규모가 많아야 30명 안팎일 것이라고 분석한다. 잔류파쪽의 한 인사는 “주비위에 참여했던 지역구 의원들 중 일부가 ‘회군’하고 있다”고 말했다.
20일 뚜껑(새 교섭단체 등록)이 열리면 쉽게 판명이 되겠지만, 양쪽이 ‘수’에 집착하는 이유는, 이날 탈당 규모가 앞으로의 기세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신당파쪽에서는 민주당 지역구 의원 83명 가운데 반을 넘긴 42명이 탈당할 경우, 신당으로의 세 쏠림 시간이 단축될 것으로 보고 있다. 같은 이유로 잔류파쪽에서도 ‘신당 성향’이 옅은 의원들을 상대로 집중 공세를 펴 탈당 규모를 최소화하는 데 안간힘을 쓰고 있다.
신당파와 잔류파는 지역과 정치입문 배경, 선수에 따라 일정한 경향성을 띠고 있다. 수도권과 재야 출신, 초·재선 의원들이 ‘신당호’에 많이 합류한 반면, 민주당의 뿌리임을 자처하는 호남·동교동계 출신 당내 중진들 대부분은 ‘민주당 사수파’로 남았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경기·인천 지역(42명)의 절반 정도는 신당행이 점쳐진다. 신기남·천정배·이호웅 의원 등 탈당 정국을 주도한 의원 상당수의 지역구가 수도권이다. 정대철 대표의 거취 표명에 따라 약간의 가감 변수가 있다. 충청·강원·제주권(12명)에서도, 신당 주비위에 참여했거나 신당행을 굳힌 의원이 다수다. 호남(29명) 중 광주·전남(19명)은 박상천·정균환·김옥두 의원 등 당 사수파가 11곳을 점하고 있고, 전북(10명)은 김원기·장영달·정동영 의원 등 신당파의 핵심들이 주도하고 있다.
통합모임은 또 하나의 변수
성향으로 보면, 김근태·이해찬·임채정 의원 등 재야파와 바른정치모임을 중심으로 한 쇄신파 대부분이 신당파의 중심에 서 있는 반면, 김영환·추미애 의원 등은 “분열없는 신당”쪽인 ‘통합모임’에 힘을 싣고 있다. 동교동계 의원들과 한화갑 전 대표와 가까운 의원들은 잔류쪽으로 기운 상태다.
일단 분당이 될 경우, 연말까지 양쪽(신당과 민주당)의 ‘선명성 경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신당파의 한 인사는 “국민들이 ‘아, 이래서 신당을 하려 했구나’라고 느낄 수 있도록 창당 과정부터 과거와는 다른 정치를 선보일 것”이라며 “의원총회에서 원내총무 후보에 대해 청문회를 실시하고, 정책국감 워크숍을 여는 것도 그 일환”이라고 말했다. 전자정당화도 핵심 전략 중 하나다.
잔류파는 정 대표(잔류할 경우) 혹은 박상천 대표(정 대표가 사퇴할 경우) 체제에서 신당 논란으로 유보됐던 당 개혁안을 통과시킨 뒤 11월께 조기전당대회를 열어 당 체제를 정비할 복안을 가지고 있다. 민주당에 남되 ‘정통모임’쪽과는 거리를 두고 있는 ‘통합모임’(대표 조순형·추미애 의원)쪽은 ‘박 대표 체제’를 “또 하나의 재앙”으로 여기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김보협 기자 bhkim@hani.co.kr

사진/ 9월4일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열린 당무회의에서 정대철 대표(앞줄 가운데)가 표결 처리를 하겠다며 의사봉을 두드리자 구주류 당직자들과 정균환 원내총무(오른쪽)가 거칠게 제지하고 있다.(한겨레 김정효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