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 시민정치네트워크 창립에 나선 정대화 교수
정대화 교수(상지대 교양학부)는 시민·사회운동 진영의 정치세력화를 누구보다 앞장서 주장하고 있다. “낡고 부패한 기존 정치권에 정치개혁을 기대하는 것은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기는 것과 같다. 시민사회의 정치세력화를 통해 정치주도세력의 교체를 이뤄야만 가능하다”는 게 그의 지론이다. 참여연대 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인 그는 이제 시민정치운동 조직인 ‘시민정치네트워크’ 창립을 위해 서울과 지역을 분주히 오가며 정치적 신념을 실천에 옮기고 있다.
-시민·사회진영 내부의 정치세력화 요구가 어느 정도인가.
=서울은 약하다. 영남이 제일 강하고, 충청과 호남지역도 요구가 많다. 지역의 정치상황 차이 때문이다. 영·호남에선 지역정당 구조에 대한 불신이 팽배해 있고, 1당 독재를 벗자는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서울의 시민·사회단체에선 논의가 어느 정도 진행 중인가.
=단체차원에서는 별로 없다. 활동가들 차원에서는 문제의식이 꽤 있는 편이다.
-단체차원에서 논의가 없는 이유는 정치적 중립성 논란 때문인가. =그렇다. 정치적 중립성은 90년대 시민운동이 정당성을 획득하는 하나의 근거였다. 이 때문에 함부로 버리기 어렵다. 하지만 시민운동의 활동영역을 일정한 틀 안에서 고정시키는 족쇄이기도 했다. 총선연대의 낙선운동 이후 그 이상의 행보를 하기가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꽤 많은 시민운동가들이 정치적 중립성을 당연하게 여긴다. 난 거부한다. 인류역사에서 중립적인 운동이란 애초에 존재하지 않았다. 시민운동의 중립성은 6월항쟁 이후 시민운동 성장과정에서 나타난 특이한 현상이다. 지역에선 ‘서울에 있는 단체들이 정치적 중립성에 갇혀 ‘식물인간’이 돼 있다고 거침없이 지적한다. -시민·사회운동 진영의 정치세력화가 과거 재야운동단체의 정치권 진출과 어떻게 다른가. =과거 재야와 노동계의 정치세력화나 시민운동단체의 낙선운동은 정치변화의 촉매제이자 출발점 역할을 했다. 하지만 정치의 구조적인 변화를 촉발하는 데까지는 미치지 못했다. 이제 우리 정치의 구조를 뿌리부터 흔들지 않는 한, 정치변화가 불가능하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최근 지역을 중심으로 자생적으로 분출되는 대중의 욕구를 시민운동 진영이 담아내야 한다. -시민사회운동 진영의 정치세력화가 궁극적으로 정당형태로 구체화되는 것인가. =지금 내가 정당을 만들자고 돌아다니는 것은 아니다. 왜냐면 자신이 없어서다. 말을 하면 책임을 져야 하는데 지금 그 말을 꺼내기는 어렵다.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전부는 시민사회의 정치적 구심점을 만들어 정치개혁을 이루고 의회 개혁을 강도 높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건이 되면 시민사회가 정치세력화해야 한다고 본다. 정치세력화는 결국 정당으로 가는 것이다. 사실 그렇게 돼야 지역구도가 해소된다. 그런데 시민운동 내부에서 이에 대한 문제의식이 너무 낮고 논의 경험이 없다. 이번의 논의가 중요한 경험이 될 것이다. -이런 견해에 찬성하는 시민운동가들이 많나. =적다. 서울에선 별로 없다. 이를테면 참여연대가 정치적 중립성을 지키지만 상당수 활동가들은 민주노동당이나 개혁당 소속이다. 조직은 정치적 중립을 지키는데 조직에 속한 개인들은 특정 정당 소속이다. 이것은 모순된 구조다. 이런 모순은 깨질 수밖에 없다. -정 교수도 출마를 생각하나. =아니다. 시민적 정치운동도 영역일 수 있다. 지금은 그럴 생각이 전혀 없다. -중립성이라는 가치를 버리고 총선에서 낙선운동 외에 당선운동까지 펼치면 정치권의 반발이 클 텐데. =이제 총선연대 형태의 연대조직은 힘이 없다. 지난해 대선유권자연대가 힘이 없었다. 노사모가 구체적으로 치고나오는데 아직도 깃발 흔들면서 심판만 보려고 해선 안 된다. 대중은 빨리 들어가서 한골이라도 집어넣으라고 아우성인데 심판만 보면 되겠나. 임석규 기자 sky@hani.co.kr

사진/ 박승화 기자
-단체차원에서 논의가 없는 이유는 정치적 중립성 논란 때문인가. =그렇다. 정치적 중립성은 90년대 시민운동이 정당성을 획득하는 하나의 근거였다. 이 때문에 함부로 버리기 어렵다. 하지만 시민운동의 활동영역을 일정한 틀 안에서 고정시키는 족쇄이기도 했다. 총선연대의 낙선운동 이후 그 이상의 행보를 하기가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꽤 많은 시민운동가들이 정치적 중립성을 당연하게 여긴다. 난 거부한다. 인류역사에서 중립적인 운동이란 애초에 존재하지 않았다. 시민운동의 중립성은 6월항쟁 이후 시민운동 성장과정에서 나타난 특이한 현상이다. 지역에선 ‘서울에 있는 단체들이 정치적 중립성에 갇혀 ‘식물인간’이 돼 있다고 거침없이 지적한다. -시민·사회운동 진영의 정치세력화가 과거 재야운동단체의 정치권 진출과 어떻게 다른가. =과거 재야와 노동계의 정치세력화나 시민운동단체의 낙선운동은 정치변화의 촉매제이자 출발점 역할을 했다. 하지만 정치의 구조적인 변화를 촉발하는 데까지는 미치지 못했다. 이제 우리 정치의 구조를 뿌리부터 흔들지 않는 한, 정치변화가 불가능하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최근 지역을 중심으로 자생적으로 분출되는 대중의 욕구를 시민운동 진영이 담아내야 한다. -시민사회운동 진영의 정치세력화가 궁극적으로 정당형태로 구체화되는 것인가. =지금 내가 정당을 만들자고 돌아다니는 것은 아니다. 왜냐면 자신이 없어서다. 말을 하면 책임을 져야 하는데 지금 그 말을 꺼내기는 어렵다.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전부는 시민사회의 정치적 구심점을 만들어 정치개혁을 이루고 의회 개혁을 강도 높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건이 되면 시민사회가 정치세력화해야 한다고 본다. 정치세력화는 결국 정당으로 가는 것이다. 사실 그렇게 돼야 지역구도가 해소된다. 그런데 시민운동 내부에서 이에 대한 문제의식이 너무 낮고 논의 경험이 없다. 이번의 논의가 중요한 경험이 될 것이다. -이런 견해에 찬성하는 시민운동가들이 많나. =적다. 서울에선 별로 없다. 이를테면 참여연대가 정치적 중립성을 지키지만 상당수 활동가들은 민주노동당이나 개혁당 소속이다. 조직은 정치적 중립을 지키는데 조직에 속한 개인들은 특정 정당 소속이다. 이것은 모순된 구조다. 이런 모순은 깨질 수밖에 없다. -정 교수도 출마를 생각하나. =아니다. 시민적 정치운동도 영역일 수 있다. 지금은 그럴 생각이 전혀 없다. -중립성이라는 가치를 버리고 총선에서 낙선운동 외에 당선운동까지 펼치면 정치권의 반발이 클 텐데. =이제 총선연대 형태의 연대조직은 힘이 없다. 지난해 대선유권자연대가 힘이 없었다. 노사모가 구체적으로 치고나오는데 아직도 깃발 흔들면서 심판만 보려고 해선 안 된다. 대중은 빨리 들어가서 한골이라도 집어넣으라고 아우성인데 심판만 보면 되겠나. 임석규 기자 sky@hani.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