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21 ·
  • 씨네21 ·
  • 이코노미인사이트 ·
  • 하니누리
표지이야기

주목받는 미래전략연구원

446
등록 : 2003-02-13 00:00 수정 :

크게 작게

사진/ 박세일 교수(서울대), 윤영관 교수(서울대), 최장집 교수(고려대), 서주석 연구원(국방연구원), 서동만 교수(상지대)(왼쪽부터).

소장·개혁적 학자들이 대거 포진한 민간 연구단체인 ‘미래전략연구원(www.KiFS.org)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원 소속 연구자들의 범상치 않은 면면 때문이다.

먼저 노무현 당선자가 청와대 개편구상과 관련해 깊은 관심을 보인 바 있는 박세일 교수(서울대)와 최장집 교수(고려대)가 이 연구원의 공동고문이다. 연구원장을 맡아 연구원 설립을 주도한 윤영관 교수(서울대)는 대통령직인수위 외교분과 간사다. 윤 교수는 인수위에 참여하면서 연구원장직에 대한 사의를 표명한 상태다. 인수위 외교분과의 서동만 교수(상지대)와 서주석 연구원(국방연구원)도 이 연구원 소속이다. 인수위 외교분과 위원 4명 가운데 3명이 이 연구원 소속인 셈이다. 이 밖에 임원혁 한국개발원(KDI) 기업정책팀 연구위원, 정연정 한국전산원 선임연구원, 이장원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조정실장 등 이 연구원 소속 연구자 3명이 인수위 자문위원과 전문위원 등으로 활약하고 있다.

미래전략연구원은 2001년 3월10일 ‘정치적으로 독립적이고 재정적으로 투명한 민간연구기관’을 표방하며 첫 걸음을 내디뎠다. 연구원의 뿌리는 1996년 격월간으로 발간된 잡지 <정론21>로 거슬러올라간다. 미래재단의 이철 이사장은 “주류에 편입되지 않으면서 비판적인 비주류로 머물지 말자는 고민이 실력과 역량을 갖춘 새로운 흐름을 형성하자는 움직임으로 발전했으며 그 결과물이 <정론21>이었다”고 말했다. 이 이사장과 구해우(전 SK텔레콤상무)·박영재(청산학원 원장)·정준(쏠리테크 대표)·김정욱 변호사·최원극씨 등 1980년대 학생운동 세대가 주축이었다. 이들은 모두 연구원의 이사진으로 참여하고 있다. 정준 대표는 지난해 말 국내 벤처기업인으로는 처음으로 세계경제포럼(WEF) ‘기술개척자’로 선정돼 화제에 오른 인물이다. 이들은 <정론21>을 발행하면서 연구원 설립을 차근차근 모색한다. 이후 윤영관 교수를 원장으로 위촉했고, 이를 계기로 소장·개혁적인 학자들이 연구위원으로 대거 결합했다. 기업이나 정부기관의 자금에 의존하지 않고 내부 이사진과 후원회원들의 회비를 통해 재정을 확충하고 있다.

미래전략연구원은 비상임 연구위원들의 온라인 활동에 의존하는 일종의 지식인 네트워크다. 정보화, 세계화, 남북국제위원회 등 3개 분야에 30여명의 소장·개혁적 학자들이 참여해 연구활동을 펼치고 있다. 지금껏 20차례가 넘은 월례포럼을 열었고, 지난해 대선 직전엔 ‘새 정부의 개혁과제 토론회’를 주관하기도 했다. 연구 결과물은 매주 ‘논단’, 매월 ‘이슈와 대안’이라는 형태로 홈페이지와 이메일을 통해 제시된다.

미래연구원쪽은 연구위원 여러 명이 인수위원회에 참여하면서 마치 노무현 정부의 외곽 싱크탱크로 비치는 점을 경계한다. <조선일보>가 이 연구원을 ‘노무현 정부의 외곽 싱크탱크’로 지목하자 반론보도를 요청해 정정하는 등 예민한 반응을 보였다. 노무현 정부와 밀착된 연구기관으로 인식될 경우 자칫 독립성과 객관성이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라고 연구원 관계자는 전했다.

연구원 구해우 이사장은 “독립적인 민간 연구기관으로서 미국 브루킹스연구소를 벤치마킹했지만 한편으론 일본 마쓰시다 정경숙 같은 엘리트 교육기관 설립도 모색하고 있다. 80년대 학생운동을 경험한 세대가 탈냉전·정보화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흐름을 형성하기 위한 모색으로 이해해달라”고 말했다.


임석규 기자 sky@hani.co.kr


좋은 언론을 향한 동행,
한겨레를 후원해 주세요
한겨레는 독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취재하고 보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