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전 경남도지사가 대선 패배 한 달 만에 당대표 도전을 선언했다. 6월18일 서울 여의도동 당사에서 당대표 출마 기자회견을 하는 홍 전 지사. 한겨레 강창광 기자
독설의 아이콘 홍준표 전 지사의 독설은 다른 야당에까지 미쳤다. 그는 6월20일 한 토론회에서 “어차피 국민의당은 민주당에 흡수될 것”이라고 상대를 자극했다. 박주선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이에 대해 “점쟁이냐? 그렇게 점치면 우리 당원들로부터 따귀밖에 안 맞는다. 참 말릴 수 없는 사람이다. 막말도 금도가 있는 것이다”라며 강한 불쾌감을 표시했다. 홍 전 지사는 홍석현 전 중앙일보·JTBC 회장을 겨냥해선 “탄핵 대선 과정에서 신문, 방송 갖다 바치고, 조카 구속시키고 청와대 특보 자리 겨우 얻는 그런 언론도 있다”고 공격했다가 해당 언론사의 법적 대응 방침에 부닥치기도 했다. 하태경 바른정당 의원은 “홍 전 지사의 발언을 보면 <개그콘서트>의 ‘다중이’가 생각난다. 다중이는 다중자아를 갖고 있는 사람”이라고 비판했다. 정우택 자유한국당 대표권한대행 겸 원내대표조차 “정치인은 소위 세 치 혀가 모든 문제를 일으킨다고 했다. 정제된 언어를 써야 한다”고 비판하고 나설 정도다. 이런 논란과 무관하게 자유한국당에서는 홍준표 대세론이 퍼지고 있다. 권성동 의원은 “당내에서 전당대회 이야기가 별로 없다. 이미 인지도에서 압도적인 (홍 전 지사 쪽으로) 대세가 기울었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나 홍 전 지사가 표방하는 강경 노선에 우려가 적지 않다. 홍 전 지사는 강성, 우경화 발언을 거침없이 쏟아낸다. 문재인 정부를 향해 “친박 패당 정부에서 주사파 패당 정부로 바뀐 것에 불과하다”고 포문을 열더니, 급기야 “이 정권은 주사파 운동권 정권이어서 국민이 인식하면 오래 못 간다. 원내에서 의원들이 제대로 투쟁만 해주면 연말이 지나서 국민이 운동권 정부에 등을 돌릴 것”이라며 탄핵 암시 발언까지 나아갔다. 홍 전 지사는 대선 유세 기간에도 “5월9일은 친북좌파 심판하는 날” “대한민국 3대 적폐 세력은 종북, 전교조, 강성귀족노조”라며 색깔론을 부각했다. 당 안팎에서는 홍준표 전 지사의 행보가 강경보수와 영남권 일부로 쪼그라든 당의 외연 확대를 꾀하기는커녕 고립의 길로 몰아갈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자유한국당 한 재선 의원은 “지금 우리는 아무리 목소리를 내도 ‘너나 잘하라’라는 이른바 ‘메신저 거부’ 현상에 발목 잡혀 있다. 여전히 종북, 주사파 타령을 하다가는 다 돌아선다”고 말했다. 같은 보수에 뿌리를 둔 바른정당과도 사이가 더 멀어지고 있다. “바른정당은 한국당에서 떨어져나온 기생정당”이라는 홍 전 지사의 말에 김세연 바른정당 사무총장은 “지역, 극우 정당으로 가는 한국당의 처지가 딱하다”고 일갈했다. 유창선 정치평론가는 홍 전 지사가 자유한국당을 이끌면 암울할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홍준표 대표 체제가 되면 확장은 포기하고 그저 열렬 골수 지지층 결집이라는 길로 갈 가능성이 높다. 이대로라면 몸집만 크고 국민의 지지는 못 얻는 보수정당의 궤멸 상태가 상당히 장기화할 수 있다.” 이상일 아젠다센터 대표도 “문재인 대통령 지지도가 80%를 웃도는 상황에서 합리적인 정치세력으로 자리매김하지 못한 채 몽니를 부리는 강성 야당으로만 나아간다면 국민 정서와 멀어져 고립된다”고 말했다. 협치의 훼방꾼 될까 ‘싸움닭’ 홍준표 전 지사의 당대표 등극은 여권에도 적잖은 부담이 될 수 있다. 박지원 국민의당 전 대표는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 체제의 등장을 추가경정예산안,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 문제 등과 함께 문재인 정부의 예상 난관 가운데 하나로 꼽았다. 정치적 금도를 개의치 않는 홍 전 지사의 공세로 이전투구에 휘말리면 문재인 정부와 여당도 함께 흠집 날 가능성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전해철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홍 전 지사가) 청와대나 여권에 강경하게 각을 세우면 협치나 대화가 이뤄지지 않는다.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유창선 정치평론가도 “예측 가능하지 않고 돌출적인, 때로는 막가파식 행보를 보이는 홍준표 전 지사의 리더십을 고려하면 청와대와 여권이 정국 운영에 대단히 어렵고 곤혹스러울 수 있다”고 예측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독자 퍼스트 언론, <한겨레21> 정기구독으로 응원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