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2015년 예산안 심사 방안 기자간담회’에서 백재현 새정치민주연합 정책위의장(왼쪽 네 번째)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영어 교육 예산’이 안전 예산? 이 밖에도 야당은 ‘정부가 복지 예산은 삭감하면서 낭비성·특혜성 예산에 국고를 낭비한다’는 판단에 따라 일부 예산을 삭감하겠다고 벼르고 있다. 새정치연합은 기재부가 55억원의 신규 예산을 편성한 ‘글로벌 창조지식 경제단지 조성사업’ 예산을 대표적 낭비성 예산으로 규정하고 전액 삭감하겠다는 계획이다. 새정치연합은 “창조경제 사업은 대통령 관심 사업이라는 이유로 과다 편성된 사업으로 타당성이 결여됐다. 글로벌 창조지식 경제단지 조성사업의 경우 당초 부처안에도 없었던 사업으로 기본계획조차 수립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은 “현재 사업 기본 방향 도출 및 관계기관 협의를 완료한 상태로 2015년 중 기본계획 수립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창조경제 예산은 첨단기술 산업으로 산업구조의 체질을 바꿔 우리 국민이 가진 무한한 창의성과 잠재력을 발굴해 성장 엔진으로 삼기 위한 예산”이라며 방어막을 펼치고 있다.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정부가 ‘안전’을 강조하려는 목적으로, 안전과 관련이 없는 항목을 안전 예산에 끼워넣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야당 간사인 이춘석 의원은 11월2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새정치연합은 정부의 내년 예산안에 대해 무책임 예산, 무대책 예산이라고 평가한다. 명칭만 번지르르한 예산이 많은데 특히 영어 교육 예산이 안전 예산으로 (분류된) 것도 있다”고 비판했다. 이 의원이 지적한 예산은 국토교통부의 예산으로 정부가 ‘안전 예산’으로 분류한 항목이다. 이 예산은 ‘항공안전 교육훈련’이라고 돼 있지만 실상은 항공영어 강사 인건비, 항공영어 강사 퇴직금 등으로 구성돼 있다. 이에 대해 시민단체인 예산감시네트워크도 “사업의 목적은 항공안전 업무수행 능력 향상과 국제적 자격 기준에 부합하는 교육훈련 및 훈련체계 확립에 있지만, 실상 내용은 항공영어 교육비다. 업무 수행에 영어 활용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지만 개인 역량이 우월한 사람을 채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 항공 분야에서 영어 교육을 추가 지원하는 것이 과연 안전과 직결되는 핵심 사업이라고 판단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예산감시네트워크는 이 밖에 유엔 방재연수원 및 유엔 재해경감 국제전략사무국(UN ISDR) 동북아사무소 분담금과 공단폐수처리시설 지원, 뇌과학 원천기술 개발지원 예산 등을 ‘황당한 안전 예산’ 항목으로 꼽기도 했다. 2014년 대비 153억원이 늘어난 ‘특수활동비’ 예산도 도마 위에 올랐다. 특수활동비는 국가정보원과 청와대, 국방부, 법무부 등 권력기관이 영수증을 첨부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돈이라는 점에서 ‘검은 예산’으로도 불린다. 새정치연합은 “권력기관의 불법 정치활동에 특수활동비가 악용된 사례는 부지기수임에도 내년도 ‘특수활동비’는 국정원(4802억원), 국방부(1794억원), 경찰청(1264억원), 법무부(279억원), 대통령실 및 경호실(268억원) 등 총 8820억원으로 전년 대비 153억원이나 증액됐다. 정부의 자료 제출 거부로 사용처를 확인할 수 없는 권력기관의 특수활동비 증액은 문제가 있다. 특히 유병언 및 세월호 수사와 관련해 지속적으로 경찰과 공 다툼을 하면서 부실한 수사로 일관한 검찰(법무부)의 특수활동비는 삭감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냈다. 정의당 “사회복지세 도입하라” 정의당도 2015년 정부 예산안을 △복지중단 선언 예산 △사회간접자본(SOC)·토건 부활 예산 △지방재정 파탄 예산으로 규정하고, 지속 가능한 복지재정 확충을 위해 ‘사회복지세’를 도입할 것을 제안했다. 예결위원인 박원석 정의당 의원은 “(2015년 정부 예산안에서) 불필요한 사업, 구체적인 사업계획조차 마련되지 못한 사업, 예산이 부풀려진 사업이 다수 발견됐다. 정의당은 빚이 아닌 월급봉투를 늘리는 예산, 땜빵이 아닌 지속 가능한 재정 운용, 그리고 든든한 지방재정과 튼튼한 지방경제 예산 확충을 이번 예산 심사 목표로 설정해 활동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송채경화 기자 khsong@hani.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