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새누리당 신임 대표는 청와대를 위한 ‘거수기 정당’이란 오명을 벗고 박근혜 대통령에게 고언을 할 수 있을까? 김무성 대표(가운데)가 7월14일 전당대회에서 대표로 선출된 뒤 막판까지 치열한 경쟁을 벌인 서청원 의원과 함께 엄지손가락을 치켜들고 있다. 한겨레 이정우 선임기자
그렇다면 김 대표가 당면한 혁신 과제는 집권당으로서 정부와 협조하면서도 민심의 흐름을 가감 없이 전달하고, 행정부를 견제하는 국회 본연의 기능을 회복하는 것이라는 얘기가 된다. 그런데 박 대통령을 향한 김 대표의 첫 일성은 ‘대등한 당·청 관계 수립’과는 거리가 있었다. 7월16일 오전 정성근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가 자진 사퇴하기 전까지, 새누리당은 정 전 후보자를 정리해야 한다는 요구로 들끓고 있었다. 의원들이 개별적으로 청와대에 ‘정성근 불가론’을 전달할 정도였다. 하지만 김 대표는 대표 당선 직후인 7월14~15일 여러 인터뷰에서 “전당대회를 열심히 하다보니 (인사 문제는) 정보가 부족하다. 그 부분은 현 지도부의 판단에 맡기겠다”며 특별한 의견을 내지 않았다. 7월15일 박근혜 대통령과 당 지도부의 오찬 회동에서도 김 대표는 인사와 관련된 이야기는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심지어 김 대표는 청와대가 정 전 후보자의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송부를 재요청한 뒤인 7월16일 오전엔 라디오 인터뷰에서 “(정 전 후보자가) 다소 문제가 있기는 하지만 사실과 달리 (의혹이) 과장되게 알려져 있고, 억울한 면도 있는 것 같다. (임명을 강행키로 한) 대통령 결정에 협조해주시기를 부탁드린다”며 박 대통령을 감쌌다. “‘정성근 불가론’도 못 전하고 무슨 혁신이냐” 이를 두고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은 7월17일 국회에서 열린 ‘쇄신전대 추진모임’에서 “김 대표가 선출된 바로 다음날 약속을 제대로 지키지 못했다. 위증을 하고 자질이 떨어지는 정 전 후보자 임명을 청와대에서 강행하려 하자 당에서 제동을 걸지 않고 수용하기로 한 것 아니냐. 이번 건은 해명과 사과가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한 초선 의원도 “대표로 선출되는 순간 자신이 ‘현 지도부’인데, 정 후보자 문제를 ‘잘 모르겠다’고 하는 건 정말 무책임한 일”이라며 “당은 국민의 눈높이에 맞춰서 (장관 후보자들을) 철저히 검증하겠다고 했고, 김 대표는 혁신하겠다고 했다. 그런데 ‘정성근 불가론’도 전하지 못하는 게 국민 눈높이고, 혁신이냐”고 비판했다. 새누리당 안에선 김 대표도 혁신 대상이라는 의견이 고개를 든다. 전당대회에서 김 대표를 지지했던 한 재선 의원의 얘기다. “사실 친박 주류인 서청원 최고위원과 비박계라는 김 대표가 무슨 차이가 있나. 김 대표가 서 최고위원보다 나이를 덜 먹었다는 것 말고 뭐가 있나. 차마 서 최고위원을 당대표로 세울 수 없으니 김 대표를 지지했을 뿐이지, 김 대표도 새누리당의 대안이나 희망이 될 수는 없다.” 그는 이런 말도 덧붙였다. “이미 당과 청와대는 통치력을 잃고 스스로 고립돼가고 있다. 이대로는 3년 반이나 남은 정권을 못 끌어간다. 김무성 체제 안에서 야당 역할을 할 새로운 주도 세력을 만들어야 하고, 이들이 쇄신운동에 나설 수밖에 없다.” 반론도 있다. 그러잖아도 새 지도부 선출로 ‘친박의 몰락’이 회자되는 마당에, 김 대표가 바로 박 대통령과 각을 세웠다간 당 안팎에서 역풍을 맞을 수도 있기에 목소리를 내지 않을 뿐,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달라질 것이라는 얘기다. 이렇게 보면, 전당대회를 앞둔 지난 6월27일 김 대표가 당 중앙위원을 상대로 한 특강은 의미심장하다. 김 대표는 이 자리에서 “박 대통령이 독선에 빠진 권력이라고 규정하진 않겠지만, 일부 그런 기미가 나타났다. 견제받지 않는 권력은 독선으로 빠진다. 권력이 독선으로 빠지면 여러 부작용이 나타난다”며 박 대통령을 비판했다. 또 “(박 대통령이) 소통이 잘 안 된다고 생각하지 않느냐. 집권여당의 당대표가 대통령을 제대로 만나는 모습을 본 적이 있나. 새누리당은 대통령의 밝은 눈과 큰 귀가 돼 국민 여론을 가감 없이 전달할 의무가 있다”고 했다. 이는 4년 전 김 대표가 했던 이야기와 일맥상통한다. 그는 2010년 8월3일 <세계일보>와 한 인터뷰에서 “(박 대통령은) 민주주의에 대한 개념, 사고의 유연성에서 부족한 점이 감춰져 있다. 민주주의 비용을 지불할 생각이 없는 지도자가 대통령이 돼선 안 된다”고 했다. 박 대통령이 여러 의견을 듣고 소통하는 데 인색하고 독선적이라는 김 대표의 판단은 이미 오래전에 내려진 셈이다. 본격적인 ‘김무성당 만들기’ 착수? 더구나 대통령 임기 중반이 지나면 레임덕(권력누수)에 빠지고, 차기 대선주자들은 대통령과 차별화를 통해 자신의 입지를 넓혀온 그간의 패턴을 보더라도, 김 대표가 박 대통령에게 무조건 허리를 숙일 리는 만무하다는 전망이 적지 않다. 지금 김 대표는 대권 도전의 꿈을 숨기지 않고 있다. 당 안에선 7·30 재보선 이후 김 대표가 친박계 핵심인 윤상현 사무총장을 해임하는 것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김무성당 만들기’에 착수할 것이라는 말도 파다하다. 비박계의 한 의원은 “김 대표가 대권을 내다본다면 청와대와 각 세우기에 나설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며 “최소한 (수평적인 당·청 관계 정립이라는) 개혁의 물꼬는 틀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혜정 <한겨레> 정치부 기자 zesty@hani.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