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21 ·
  • 씨네21 ·
  • 이코노미인사이트 ·
  • 하니누리
표지이야기

‘독자완주론’ 우세… 일부선 쟁점별 정책연대 제안

6·4 지방선거 앞둔 진보정당의 고민

1005
등록 : 2014-04-02 17:18 수정 :

크게 작게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진보정당들도 숨을 고르고 있다. 거대 양당에 맞선 제3세력으로 자리잡는 것이 목표다.

우선 통합진보당과 정의당이 ‘독자 완주’ 원칙을 밝힌 상황에서 연대가 이뤄질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 노동당은 지난 3월26일 서울 정동 금속노조 4층 회의실에서 ‘2014년 지방선거, 진보정치의 선거연대를 묻다’ 토론회를 열고 진보 진영에 선거 연대를 제안했다. 장석준 노동당 부대표는 이 자리에서 “새정치연합의 등장으로 더욱 강력해진 양당 구도가 완전히 뿌리내리기 전에 진보정당운동이 새누리당, 새정치연합에 맞서는 제3의 대안임을 부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장 부대표는 “진보좌파 정당과 정치조직들 중에서 더 신속하고 유기적으로 소통·협력할 수 있는 부분에서 출발해 점차 동심원적으로 확대되는 방식을 취하는 게 현실적”이라며 ‘모든 민영화 반대’ ‘탈핵’ ‘보편복지 확대’ ‘정치 개혁’ 등 각 쟁점별 ‘정책 연대’ 방안을 내놨다.

아직 공식적인 답변은 나오지 않은 상태다. 다만 토론회에 참석한 권태홍 정의당 사무총장은 “노동당과 정의당의 출마자 현황을 공유했고 몇 군데를 빼고는 겹치는 곳이 거의 없어 후보 단일화 없이도 충분히 서로 도울 수 있는 구조”라며 “감정적 충돌을 최소화해 선의의 경쟁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하는 신뢰를 축적해야 한다”고 답했다.

정의당은 현재까지 울산(조승수), 인천(김성진) 등을 비롯해 광역단체장 5곳, 기초단체장 3곳에 예비후보를 등록한 상태다. 아울러 ‘골목복지 대표선수’ ‘골목복지 대표공약’이라는 이름으로 지방선거 후보와 공약을 공모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기초의회에 되도록 많은 당선자를 입성시키겠다는 전략이다. 이에 견줘 노동당은 광역의회에 집중하는 모양새다. 홍원표 노동당 정책실장은 “그동안 진보 진영은 ‘당선 가능성’ 중심으로 후보를 내왔지만 이번에 노동당은 진보정치의 발판을 마련한다는 차원에서 당선 가능성이 큰 기초의회만큼 광역의회 출마에도 무게를 두고 있다. 아울러 지난 민선 5기 때 광역의회의 중요성을 확인한 만큼 민선 6기 광역의회에서 진보정당이 제대로 된 견제·비판 기능을 보여줘야 한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녹색당은 이번 선거를 통해 ‘녹색정치’ 모델을 보여주는 것이 시급하다고 판단한다. 서형원 과천시의원이 출마할 예정인 과천시장을 비롯해 10곳 정도에 후보를 낼 계획이다. 헌법재판소의 ‘정당해산심판’이 진행되는 가운데 선거 전략을 짜고 있는 통합진보당은 이번 선거에 1천여 명 규모의 후보를 출마시킬 예정이다. 정태흥 서울시장 예비후보, 백현종 경기지사 예비후보를 비롯해 현재까지 11개 광역단체장에 예비후보를 등록했다.

좋은 언론을 향한 동행,
한겨레를 후원해 주세요
한겨레는 독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취재하고 보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