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새누리당 대선 후보는 ‘쇄신’과 ‘통합’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을까. 그에게 주어진 시간은 많지 않다. 박 후보가 지난 10월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새누리당사에서 중앙선대위 인선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한겨레 강창광
건재한 ‘문고리 권력 4인방’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상임위원을 지낸 김용직 성신여대 교수 역시 뉴라이트 계열 학자로, <대안 교과서 한국 근·현대사> 집필에도 관여했다. 유성식 시대정신 상임이사와 심용식 전주삼성병원장 등도 같은 성향이다. 부산 미문화원 방화사건의 당사자인 김현장 광주 국민통합 2012 위원, 이종철·최홍재 전 고려대 총학생회장, 이대용·최회원 전 동서남북 회장 등은 모두 뉴라이트로 전향한 운동권 출신 인사로 분류된다. 13명의 위원회 위원 중 절반가량은 강경 보수 성향의 뉴라이트 관련 극우 인사로, 나머지 절반도 특별히 ‘통합’의 의미를 부여하기 어려운 인사들로 채워졌다는 뜻이다. 기획조정 특보를 맡은 최외출 영남대 교수도 박 후보의 오랜 측근이다. 1977년 ‘새마을 장학생’ 1기로 영남대에 입학한 최 교수는 박 후보의 영남대 재단 이사 재임 기간(1980~88년)부터 친밀한 관계를 맺었고, 2007년 대선 국면에선 박 후보의 경제자문회의 소속으로 정책 구상에도 깊숙이 관여했다. 박 후보의 싱크탱크인 국가미래연구원 발기인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야당에선 즉각 “전형적인 친박 돌려막기 인선”이라고 맹비난을 퍼부었다. 내부에서도 쓴소리가 나온다. 김형오 전 국회의장은 공식적으로 출범한 박 후보의 선대위 진용을 두고 “일단은 노력한 점에 대해선 인정을 받을 것 같다”면서도 “하지만 최근 당의 사태에 대해 안타깝게 생각한다. 타이밍도 늦었다”고 했다. 한나라당(현 새누리당) 윤리위원장을 지낸 인명진 목사도 “국민 대통합을 말하고는 있지만 상당한 한계를 드러냈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갈등의 근본 원인은 박근혜 후보의 리더십”이라며 “이러저러한 사람들을 모셔오더라도 모든 사람이 박 후보의 입만 바라보고, 박 후보는 혼자 결정하고 지시하는 구조라면 또다시 위기론이 닥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내부 갈등이 터져나오는 과정에서 ‘문고리 권력 4인방’이 쇄신 대상으로 지목되기는 했지만, 쇄신을 요구했던 쪽은 잡았던 문고리를 슬그머니 놓을 수밖에 없었다. 4인방이란 박 후보가 대구 달성 보궐선거에 당선돼 국회에 입성한 1998년부터 현재까지 보좌진으로 일해온 이재만(정책)·이춘상(온라인) 보좌관과 정호성(메시지)·안봉근(수행) 비서관을 의미한다. 친박 핵심 의원들조차 “박근혜 후보와 직접 이야기하지 못하고 의원실의 보좌진을 거쳐야 한다”는 볼멘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새누리당의 핵심 당직자는 “이들 4명의 보좌진이 새누리당의 진짜 실세”라고 말했다. 측근들에게 두터운 믿음을 주지 않는 박 후보 특유의 성정은 역설적으로 자신을 오랫동안 보좌해온 ‘4인방’에 대한 의존도를 높여왔다. 보좌진에 대한 불만은 10월 초 열린 새누리당 의원총회를 전후로 최고조에 달했다. 이상돈 정치쇄신특별위원은 언론 인터뷰에서 “비서가 엉뚱한 일을 하고 있다”며 “심부름을 할 사람에게는 심부름만 시켜야 한다”고 꼬집었다. “박근혜가 변했다는 믿음 줘야” 박 후보 쪽이 영입 대상으로 거론하던 친이계의 상징적 존재인 이재오 의원은 끝내 선대위에 결합하지 않았다. 김형준 교수는 “100% 새누리당도 만들지 못하는데 무슨 100% 대한민국을 만들겠다는 건지 모르겠다”며 “박근혜 후보는 별로 위기감을 느끼지 못하는 것 같다”고 꼬집으며 이렇게 말했다. “밖에서 누군가를 영입하는 게 중요한 게 아닙니다. 유권자에게 박근혜가 정말 변했다는 믿음을 줘야 해요. 통합의 효과와 정치적 의미가 불분명한 이런 선대위를 구성하는 데 시간을 보내는 것보다 차라리 정수장학회 문제를 빨리 정리하고, 고 장준하 선생 사건을 재조사하는 데 박근혜 후보가 앞장섰다면 지금 국면은 달랐을 겁니다.” 대선은 불과 70여 일 앞으로 다가왔다. 박 후보가 스스로를 변화시킬, 그리고 그 변화의 진정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시간도 얼마 남지 않았다. 송호균 기자 uknow@hani.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