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시부장 대의원 선출방식 개정 제의… 당내 역학구도 맞물려 미묘한 파장
“전당대회 대의원 선출방식을 바꾸자.”
김태랑 민주당 경남도지부장이 최근 전당대회 대의원 선출방식의 개정을 공식 제의해 미묘한 파문이 일고 있다. 당 대의원은 내년 전당대회에서 당 총재 및 대통령 후보를 선출하는 권한을 갖고 있다. 따라서 대의원의 구성이 어떻게 되느냐는 당내 역학구도와 곧바로 연결되는 문제인 것이다.
김태랑 지부장이 제안한 내용의 핵심은 대의원을 선출할 때 인구비례를 반영하자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구당별로 20명씩의 대의원을 일률적으로 배정하는 현재의 방식 대신, 이들 20명씩에다 지구당 인구 9만명 이상 인구 1만명당 대의원 1명을 추가 선출할 것을 제의했다. 또 시·군·구 기초의원의 경우 정당공천을 하지 않는 만큼 당연직 대의원으로 지명하는 것은 불합리하기 때문에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인구비례에 따라 대의원 수 늘려야 한다”
민주당은 지난해 8월30일 전당대회에서 9372명의 대의원을 지명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3026명, 영남 1665명, 호남 1374명, 충청 672명, 강원·제주 446명, 중앙당 2189명 등으로 구성돼 있다. 그러나 김태랑 지부장의 주장대로 지구당 대의원을 1만명당 1명씩 추가하는 방식으로 조정할 경우 이런 구성에 적지 않은 변화가 일어난다. 우선 대의원 수가 전국적으로는 1만1900여명으로 늘어나게 된다. 또 지구당 선출 대의원의 비중이 4540명(48.5%)에서 7126명(59.7%)으로 높아진다. 더욱이 주목되는 부분은 인구가 많은 영남지역 지구당 선출 대의원이 1300여명 늘어나는 데 비해 호남지역 지구당 선출 대의원은 600여명의 증가에 그쳐 영남지역의 영향력이 커지게 된다는 점이다. 당 일각에서는 김태랑 지부장이 이런 주장을 하게 된 배경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김 지부장이 동교동계의 맏형격인 권노갑 전 최고위원과 가까운 사람이라는 점 때문이다. 그러나 대체적인 당 분위기는 김 지부장의 주장이 동교동계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 같다는 쪽이다. 우선 동교동계가 이 문제를 조직적으로 제기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또 대의원 조정결과가 결코 동교동계에 유리한 것만은 아니라는 점 때문이다. 당의 한 관계자는 “김태랑 지부장의 주장대로라면 사실상 동교동계의 몫이나 다름없는 중앙당 대의원의 비중이 줄어드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대의원 조정이 동교동계의 지원을 받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또 영남 대의원 증가는 노무현 상임고문이나 김중권 대표 등 영남권 주자쪽에 유리한 것인데, 이런 결과를 동교동이 기대한다고 보긴 어렵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당내에서는 김 지부장이 내년 대선을 앞두고 영남의 발언권 강화를 겨냥하고 제기한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대선주자 원칙적 동의, 누가 이로운가 당내 대선주자들의 반응은 대체로 조심스러운 편이다. 그렇지만 인구비례에 따라 대의원 수를 늘린다는 원칙 자체에 대해서는 긍정적이다. 특히 이인제 최고위원쪽은 “대의원 숫자를 늘리고 지구당 대의원 비중을 높이는 것은 전국의 민의를 더 잘 반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진전된 것이다. 오히려 인구 1만명당 1명이 아니라, 1천명당 1명의 대의원을 뽑아 전국 대의원을 1만명으로 늘리는 방안을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한발 더 나아갔다. 97년 대선 경선에서 일반국민들이 참여하는 미국식 예비선거제도의 도입을 주장했던 김근태 최고위원쪽 관계자도 “대의원이 늘어날수록 특정정파가 대의원을 장악하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민주주의 원칙에 더 잘 어울린다”고 말했다. 노무현 상임고문쪽은 영남권 대의원의 증가가 손해볼 것 없다는 전략적 계산을 하면서도, 자칫 대의원 조정문제가 당내 갈등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미묘한 문제라는 점을 감안해 조심스럽게 접근하고 있다. 노 고문쪽 측근은 “유불리를 따져볼 수는 있지만 대의원 조정에 대해 크게 개의치 않는다는 우리 입장”이라고 말했다. 향후 내년 전당대회가 다가올수록 파워게임 형태로 전개될 가능성의 높은 대의원문제, 민주당이 과연 어떤 식으로 큰 잡음없이 풀어낼지가 관심거리다. 박병수 suh@hani.co.kr

사진/ 민주당 대권후보는 영남이 결정한다? 사진은 민주당 최고위원들이 회의하는 모습.(이종근 기자)
민주당은 지난해 8월30일 전당대회에서 9372명의 대의원을 지명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3026명, 영남 1665명, 호남 1374명, 충청 672명, 강원·제주 446명, 중앙당 2189명 등으로 구성돼 있다. 그러나 김태랑 지부장의 주장대로 지구당 대의원을 1만명당 1명씩 추가하는 방식으로 조정할 경우 이런 구성에 적지 않은 변화가 일어난다. 우선 대의원 수가 전국적으로는 1만1900여명으로 늘어나게 된다. 또 지구당 선출 대의원의 비중이 4540명(48.5%)에서 7126명(59.7%)으로 높아진다. 더욱이 주목되는 부분은 인구가 많은 영남지역 지구당 선출 대의원이 1300여명 늘어나는 데 비해 호남지역 지구당 선출 대의원은 600여명의 증가에 그쳐 영남지역의 영향력이 커지게 된다는 점이다. 당 일각에서는 김태랑 지부장이 이런 주장을 하게 된 배경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김 지부장이 동교동계의 맏형격인 권노갑 전 최고위원과 가까운 사람이라는 점 때문이다. 그러나 대체적인 당 분위기는 김 지부장의 주장이 동교동계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 같다는 쪽이다. 우선 동교동계가 이 문제를 조직적으로 제기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또 대의원 조정결과가 결코 동교동계에 유리한 것만은 아니라는 점 때문이다. 당의 한 관계자는 “김태랑 지부장의 주장대로라면 사실상 동교동계의 몫이나 다름없는 중앙당 대의원의 비중이 줄어드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대의원 조정이 동교동계의 지원을 받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또 영남 대의원 증가는 노무현 상임고문이나 김중권 대표 등 영남권 주자쪽에 유리한 것인데, 이런 결과를 동교동이 기대한다고 보긴 어렵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당내에서는 김 지부장이 내년 대선을 앞두고 영남의 발언권 강화를 겨냥하고 제기한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대선주자 원칙적 동의, 누가 이로운가 당내 대선주자들의 반응은 대체로 조심스러운 편이다. 그렇지만 인구비례에 따라 대의원 수를 늘린다는 원칙 자체에 대해서는 긍정적이다. 특히 이인제 최고위원쪽은 “대의원 숫자를 늘리고 지구당 대의원 비중을 높이는 것은 전국의 민의를 더 잘 반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진전된 것이다. 오히려 인구 1만명당 1명이 아니라, 1천명당 1명의 대의원을 뽑아 전국 대의원을 1만명으로 늘리는 방안을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한발 더 나아갔다. 97년 대선 경선에서 일반국민들이 참여하는 미국식 예비선거제도의 도입을 주장했던 김근태 최고위원쪽 관계자도 “대의원이 늘어날수록 특정정파가 대의원을 장악하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민주주의 원칙에 더 잘 어울린다”고 말했다. 노무현 상임고문쪽은 영남권 대의원의 증가가 손해볼 것 없다는 전략적 계산을 하면서도, 자칫 대의원 조정문제가 당내 갈등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미묘한 문제라는 점을 감안해 조심스럽게 접근하고 있다. 노 고문쪽 측근은 “유불리를 따져볼 수는 있지만 대의원 조정에 대해 크게 개의치 않는다는 우리 입장”이라고 말했다. 향후 내년 전당대회가 다가올수록 파워게임 형태로 전개될 가능성의 높은 대의원문제, 민주당이 과연 어떤 식으로 큰 잡음없이 풀어낼지가 관심거리다. 박병수 suh@hani.co.kr









